목차
인터네셔널 스타일과 근대건축의 거장
1.모더니즘 스타일
2.인텨내셔널 스타일과 근대건축
3. 근대건축의 거장들
|.르 꼬르뷔제: 건축의 새로운 발견
◎사보아 주택 - 르 꼬르뷔지에
Ⅱ.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미국의 건축
◎ 구겐하임 미술관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Ⅲ.미스 반 데어 로에: 유니버셜 스페이스
◎ 투겐다트 주택 - 미스 반 데 로에 설계 체코슬로바키아 부르노 소재 1928-30년
1.모더니즘 스타일
2.인텨내셔널 스타일과 근대건축
3. 근대건축의 거장들
|.르 꼬르뷔제: 건축의 새로운 발견
◎사보아 주택 - 르 꼬르뷔지에
Ⅱ.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미국의 건축
◎ 구겐하임 미술관 -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
Ⅲ.미스 반 데어 로에: 유니버셜 스페이스
◎ 투겐다트 주택 - 미스 반 데 로에 설계 체코슬로바키아 부르노 소재 1928-30년
본문내용
형테를 제시했다.
②조소적이고 노출 재료를 사용하는 작품 경향은 <롱샹교회>, <라 투레 수도원>등에서 볼 수 있으며 매우 독자적인 경지에 이르고 있다.
:ⓐ<롱샹 교회> 백색 스터코가 칠해진 두터운 벽에 복잡한 곡선으로 된 노출 콘크리트 지붕을 얹은 지나치게 자유롭다고 할 만큼 마치 대지에 솟아 오른 조각같이 보이기도 한다. 내부공간은 그와 반대로 어두운 속에서도 크고 작은 창의 스테인드 글라스 색채가 스며들어, 정숙하면서도 화려함을 보여주고 있다.
ⓑ<라 투레 수도원> 장방형의 중정을 중심으로 승방이 배치된 이 건물은, 전체를 지배하는 엄격한 기하학적 질서와 교묘한 빛의 취급으로 인해 신비적인 공간으로까지 끌어올려졌다.
Ⅱ.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미국의 건축
(1)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건축
①라이트는 위스콘신주 리칠랜드 센터에서 태어나, 유소년기를 중서부의 초원지대에서 보냈다.
②시카고에서 루이스 설리반의 사무실에서 활동한 라이트는 표방하고 실천한 “유기적 건축”은 자연과 융화하는 건축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자연과 융화하는 건축은 동양과 일본 건축의 본질적 이해에 입각한 라이트의 성과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③라이트의 활동기를 3기의 시대로 구분한다
ⓐ제1 황금시대 -<프레리 하우스>라는 자연과 일체화된 스타일을 확립한다.
ⓑ상실의 시대 -<제국호텔>
ⓒ제2 황금시대 -<유소니언 하우스>
(2) 미국의 단독주택
①19세기말 미국의 주택은 콜로니알 리바이벌이 주류를 이룬다. -콜로니알 양식이란 식민지에 이주한 사람들이 모국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으로 이주 전의 기후나 풍토,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에 의해 개작을 가한 것이다.
②콜로니알 리바이벌에서 떨어져 나와, 근대건축으로 이행시키는 추진자는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로스엔젤레스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루돌프 쉰들러 그리고 리차드 노이트라였다.
(3)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건축적 특성
미국의 전통과 그 독자성에 대한 경의에 기초를 둔 것으로, 미국의 독자적인 건축이 자신들만의 독특성을 표현하고, 유럽의 모방으로서가 아닌 새로운 유형을 창조해 가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기도 하다.
1) 라이트의 제1황금시대: <프레리 하우스(Prairie House)>
①<윈슬로우 저택> 이 주택은 건물 전체를 대칭적인 간결한 상자형태의 볼륨으로 계획하여 지붕에 의해 대칭성을 강조하고 있다. 전체의 볼륨은 중심에 위치한 입구를 축으로 그 좌우에 거실을 배치했는데, 3분할 구성은 물론 중심에 난로가 배치되고, 그 주변으로 동선이 집중된다. - 그 결과, 미국의 주택에서 중시해왔던, “가족이 모이고, 흩어지는” 장으로서 난로를 중심으로 한 구성이 파괴되게 된다. 동선부분에 여러 레벨차를 둠으로서, 공간의 분절과 통합이 일어나고 있다.
②<프레리 스타일>의 완성형은 <로비 저택> 간결한 볼륨으로 하고, 난로를 중심으로 한 구성의 파괴와 동선부분의 공간 관입이 진행되어, 난로를 중심으로 거실이 십자형으로 배치된다. 십자형의 실 구성은 그것을 덮는 지붕에도 표현되어 있으나, 지붕은 건물의 본체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간결한 상자라 변화되었음을 강조한다. 그 결과 건물의 종래의 “상자형”의 건축으로부터의 이탈을 의도하고 있다.
2) 라이트의 <상실의 시대>: 텍스타일 블록주택
①1910년부터 30년대 중기 일본에서의 <제국호텔>이나 켈리포니아에서 콘크리트 블록 주택을 설계한다.
②<에니스 저택> 망상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보강한 콘크리트 블록으로 만든 것인데, 그 치밀함 때문에 “텍스타일 블록”이라 불리운다. 외장을 블록과 개구부만으로 환원시키고 매스를 강조했던 점에서 라이트의 1920년대의 조형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3) 라이트의 <제2황금시대>: 유소니안 하우스
①<낙수장> 테라스 측면에는 커다란 개구부를 설치하고, 그 반대측에는 벽면을 두어, 앞과 뒤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있다. 정원측의 개구부는 바닥으로부터 지붕 슬라브까지 전부를 덮으며, 지붕과 테라스의 슬라브는 “면”으로서 건물의 볼륨으로부터 돌출된다. 더욱이 정원쪽의 테라스에는 내부공간과 동일한 마감이 이루어져 있으며, 큰 개구부와 지붕 슬라브의 돌출에 의해 내. 외공간의 유동성이 획득된다.
②<유소니안 하우스> 1890년대의 “중심의 해체”로부터 “프레리 하우스”의 “상자의 해체”를 거쳐 건물의 구성요소를 모두 2차원의 “면”으로서 파악하려 했던 구성방식으로 완성 <죤스 왁스 빌딩> <구겐하임 미술관>
(4) 라이트와 <유기적 건축>
①“유기적 건축”은 호레이쇼 그리노우가 제창한, 다양한 형태를 지니면서 각각의 기능과 대응하고 있는 자연의 조형을 중시하고 그것으로부터 기능에 충실하게 디자인해야 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하고 있다 - 설리반이 계승했고 그것이 라이트로 이어졌던 것이다.
②라이트의 건축은 미국이 지닌 광대한 자연과의 친밀한 관계가 의도된 것으로 내.외공간이 상호침투하고 깊은 처마를 지닌 지붕이 넓은 대지로 낮게 확장되어 가는 형식을 사용함으로서 미국의 대지로 확장되어 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Ⅲ.미스 반 데어 로에: 유니버셜 스페이스
(1)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
①독일의 아헨에서 석공의 아들로 태어난 미스는 정식 건축교육을 받지 않고 제도사로서 근무했으며 1908-1911까지 피터 베렌스의 사무소에서 본격적으로 설계를 배웠다.
②당시 베렌스의 조수로 일하고 있던 그로피우스의 밑에서도 미스는 일을 했다.
③미스는 1918년 11월에 베를린에서 결성된 <11월 그룹>에 참가함으로서 표현주의에도 근접하고 있었으나 그가 아방가르드 건축가로서 인식되었던 것은 1921-1924년에 걸쳐 발표한 5개의 획기적인 계획안 때문이다 - 두 개의 고층 빌딩안, 콘크리트 오피스 빌딩안, 콘크리트와 벽돌조의 두 개의 전원 주택안이다.
④<프리드리히가 마천루 계획안> 의 <유리 마천루 계획안>에서는 고층건물의 외관 전체를 균일한 유리의 피막으로 덮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⑤<콘크리트 오피스 빌딩 계획안>: 동일 평면이 각층에 반복된 전술한 두 건물의 특징이 구체적으로 균질적인 구조와 연결되어 매우 균질한 새로운 공간개념의 원형이 제시되었다. -그 결과 전면적으로 부재의 규격화를 실현할 수 있
②조소적이고 노출 재료를 사용하는 작품 경향은 <롱샹교회>, <라 투레 수도원>등에서 볼 수 있으며 매우 독자적인 경지에 이르고 있다.
:ⓐ<롱샹 교회> 백색 스터코가 칠해진 두터운 벽에 복잡한 곡선으로 된 노출 콘크리트 지붕을 얹은 지나치게 자유롭다고 할 만큼 마치 대지에 솟아 오른 조각같이 보이기도 한다. 내부공간은 그와 반대로 어두운 속에서도 크고 작은 창의 스테인드 글라스 색채가 스며들어, 정숙하면서도 화려함을 보여주고 있다.
ⓑ<라 투레 수도원> 장방형의 중정을 중심으로 승방이 배치된 이 건물은, 전체를 지배하는 엄격한 기하학적 질서와 교묘한 빛의 취급으로 인해 신비적인 공간으로까지 끌어올려졌다.
Ⅱ.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미국의 건축
(1)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건축
①라이트는 위스콘신주 리칠랜드 센터에서 태어나, 유소년기를 중서부의 초원지대에서 보냈다.
②시카고에서 루이스 설리반의 사무실에서 활동한 라이트는 표방하고 실천한 “유기적 건축”은 자연과 융화하는 건축이라고 말 할 수 있다 -자연과 융화하는 건축은 동양과 일본 건축의 본질적 이해에 입각한 라이트의 성과라고 해도 좋을 것이다.
③라이트의 활동기를 3기의 시대로 구분한다
ⓐ제1 황금시대 -<프레리 하우스>라는 자연과 일체화된 스타일을 확립한다.
ⓑ상실의 시대 -<제국호텔>
ⓒ제2 황금시대 -<유소니언 하우스>
(2) 미국의 단독주택
①19세기말 미국의 주택은 콜로니알 리바이벌이 주류를 이룬다. -콜로니알 양식이란 식민지에 이주한 사람들이 모국의 전통적인 건축양식으로 이주 전의 기후나 풍토, 쉽게 구할 수 있는 소재에 의해 개작을 가한 것이다.
②콜로니알 리바이벌에서 떨어져 나와, 근대건축으로 이행시키는 추진자는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와 로스엔젤레스를 중심으로 활약했던 루돌프 쉰들러 그리고 리차드 노이트라였다.
(3) 프랭크 로이드 라이트의 건축적 특성
미국의 전통과 그 독자성에 대한 경의에 기초를 둔 것으로, 미국의 독자적인 건축이 자신들만의 독특성을 표현하고, 유럽의 모방으로서가 아닌 새로운 유형을 창조해 가는 과정을 기록한 것이기도 하다.
1) 라이트의 제1황금시대: <프레리 하우스(Prairie House)>
①<윈슬로우 저택> 이 주택은 건물 전체를 대칭적인 간결한 상자형태의 볼륨으로 계획하여 지붕에 의해 대칭성을 강조하고 있다. 전체의 볼륨은 중심에 위치한 입구를 축으로 그 좌우에 거실을 배치했는데, 3분할 구성은 물론 중심에 난로가 배치되고, 그 주변으로 동선이 집중된다. - 그 결과, 미국의 주택에서 중시해왔던, “가족이 모이고, 흩어지는” 장으로서 난로를 중심으로 한 구성이 파괴되게 된다. 동선부분에 여러 레벨차를 둠으로서, 공간의 분절과 통합이 일어나고 있다.
②<프레리 스타일>의 완성형은 <로비 저택> 간결한 볼륨으로 하고, 난로를 중심으로 한 구성의 파괴와 동선부분의 공간 관입이 진행되어, 난로를 중심으로 거실이 십자형으로 배치된다. 십자형의 실 구성은 그것을 덮는 지붕에도 표현되어 있으나, 지붕은 건물의 본체로부터 크게 돌출되어, 간결한 상자라 변화되었음을 강조한다. 그 결과 건물의 종래의 “상자형”의 건축으로부터의 이탈을 의도하고 있다.
2) 라이트의 <상실의 시대>: 텍스타일 블록주택
①1910년부터 30년대 중기 일본에서의 <제국호텔>이나 켈리포니아에서 콘크리트 블록 주택을 설계한다.
②<에니스 저택> 망상으로 철근을 배근하고 보강한 콘크리트 블록으로 만든 것인데, 그 치밀함 때문에 “텍스타일 블록”이라 불리운다. 외장을 블록과 개구부만으로 환원시키고 매스를 강조했던 점에서 라이트의 1920년대의 조형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3) 라이트의 <제2황금시대>: 유소니안 하우스
①<낙수장> 테라스 측면에는 커다란 개구부를 설치하고, 그 반대측에는 벽면을 두어, 앞과 뒤의 차이를 명확히 하고 있다. 정원측의 개구부는 바닥으로부터 지붕 슬라브까지 전부를 덮으며, 지붕과 테라스의 슬라브는 “면”으로서 건물의 볼륨으로부터 돌출된다. 더욱이 정원쪽의 테라스에는 내부공간과 동일한 마감이 이루어져 있으며, 큰 개구부와 지붕 슬라브의 돌출에 의해 내. 외공간의 유동성이 획득된다.
②<유소니안 하우스> 1890년대의 “중심의 해체”로부터 “프레리 하우스”의 “상자의 해체”를 거쳐 건물의 구성요소를 모두 2차원의 “면”으로서 파악하려 했던 구성방식으로 완성 <죤스 왁스 빌딩> <구겐하임 미술관>
(4) 라이트와 <유기적 건축>
①“유기적 건축”은 호레이쇼 그리노우가 제창한, 다양한 형태를 지니면서 각각의 기능과 대응하고 있는 자연의 조형을 중시하고 그것으로부터 기능에 충실하게 디자인해야 한다는 개념에서 출발하고 있다 - 설리반이 계승했고 그것이 라이트로 이어졌던 것이다.
②라이트의 건축은 미국이 지닌 광대한 자연과의 친밀한 관계가 의도된 것으로 내.외공간이 상호침투하고 깊은 처마를 지닌 지붕이 넓은 대지로 낮게 확장되어 가는 형식을 사용함으로서 미국의 대지로 확장되어 가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Ⅲ.미스 반 데어 로에: 유니버셜 스페이스
(1) 미스 반 데어 로에의 건축
①독일의 아헨에서 석공의 아들로 태어난 미스는 정식 건축교육을 받지 않고 제도사로서 근무했으며 1908-1911까지 피터 베렌스의 사무소에서 본격적으로 설계를 배웠다.
②당시 베렌스의 조수로 일하고 있던 그로피우스의 밑에서도 미스는 일을 했다.
③미스는 1918년 11월에 베를린에서 결성된 <11월 그룹>에 참가함으로서 표현주의에도 근접하고 있었으나 그가 아방가르드 건축가로서 인식되었던 것은 1921-1924년에 걸쳐 발표한 5개의 획기적인 계획안 때문이다 - 두 개의 고층 빌딩안, 콘크리트 오피스 빌딩안, 콘크리트와 벽돌조의 두 개의 전원 주택안이다.
④<프리드리히가 마천루 계획안> 의 <유리 마천루 계획안>에서는 고층건물의 외관 전체를 균일한 유리의 피막으로 덮는 아이디어를 제시했다.
⑤<콘크리트 오피스 빌딩 계획안>: 동일 평면이 각층에 반복된 전술한 두 건물의 특징이 구체적으로 균질적인 구조와 연결되어 매우 균질한 새로운 공간개념의 원형이 제시되었다. -그 결과 전면적으로 부재의 규격화를 실현할 수 있
키워드
추천자료
실내 디자인
환경친화형 주거단지 개발
프리츠 랑의 M
이상의 <날개>에 대하여
나만의 여행일정
서양주거사 용어정리(그리스 ,로마)
(영화감상문) - 클릭
[스웨덴][국토][친환경산업][스웨덴 수도 스톡홀름][스웨덴 교육][스웨덴 문학][스웨덴 관광...
아르누보 [art nouveau]
바로크시대의 기독교교육 자료(미리보기 및 목차확인요^^)
부동산개발안 - 복합시설 계획(案) 반포동 서래마을.ppt
급배수 시설에 관련된 실제사례 조사
바로크 시대 음악(Baroque music) 1600~1750 (바로크 시대 음악 특징, 바로크 시대 음악가, ...
나홀로 세대의 증가와 소형 리빙공간의 디자인 - 사회적 환경의 변화와 소형 리빙공간의 이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