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체가의 명칭과 개념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경기체가의 명칭과 개념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경기체가의 명칭과 개념
1) 명칭
2) 개념

2. 경기체가의 시대적 배경
1) 무신집권기 문학 담당층의 유형과 특징
2) 경기체가의 역사와 시대적 배경

3. 경기체가의 형식과 내용 및 발생
1) 형식
2) 형식 확인하기
권근,《상대별곡(霜臺別曲)》
3) 내용
4) 경기체가의 발생

4. 고려속요와의 비교 및 조선시대의 경기체가
1) 고려속요와 경기체가와의 공통점과 차이점
2) 조선시대의 경기체가

5. 경기체가의 정리
1) 의의
2) 적용

본문내용

로서, 당시 과거 시험에 여러 차례 고시관이 되었던 금의 문하에서 출세한 신진 사대부들이었다. 경기체가는 이들 신진 사대부 계층의 자부심을 내용으로 하며, 한자 어구의 나열과 이두식 후렴구로 구성되어 있다. 이 새로운 형식은 신흥 사대부가 새로운 시가 문학을 일으키고자 만들어 낸 것으로 보이지만, 한자 어구의 나열에 후렴구를 덧붙이는 정도의 융통성 없는 형식과 사대부 계급의 자기 과시라는 배타적 내용으로 인하여 폭넓게 수용될 수 없었다. 그래서 \'경기체가\'는 비록 조선 초기까지 그 명맥을 유지하여 조선 세종 때의 문신인 권근이 \'상대별곡\'을 짓기도 했지만, 폭넓은 수용과 창작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곧 소멸하고 말았다. 경기체가와 비슷한 시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시조 형식이 폭넓은 주제를 일상어로 표현하여 현대에 이르기까지 인기를 누린 것과 대조적이라 할 수 있다.
3. 경기체가의 형식과 내용 및 발생
1) 형식
① 몇 개의 연이 중첩되어 한 작품을 이루는 연장 형식을 취하고 있다.
② 한 연은 6행으로 되어 있으며, 제 4행과 제 5행에서 두 개의 구조적 단위, 즉 전 대절(前大節)과 후 소절(後小節)로 양분되는 분절 형식이다.
③ 1~3행까지는 각각 3음보이며, 제 5행은 4음보인 것이 원칙이다.
④ 제 5행의 4음보 가운데 뒷부분 2음보는 앞 2음보의 가사를 반복한다.
⑤ 음수율은 1, 2행이 3.3.4, 제 3행이 4.4.4의 음절로 고정되어 있다.
⑥ 한문구를 나열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이두를 사용하였다.
⑦ \'위~경긔 엇더하니잇고\'의 후렴구가 있다.
2) 형식 확인하기
권근,《상대별곡(霜臺別曲)》
* 1장
華山南 漢水北 千年勝地
廣通橋 雲鐘街 건나드러
落落長松 亭亭古栢 秋霜烏府
위 萬古淸風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英雄豪傑 一時人才 英雄豪傑 一時人才
위 날조차 몃분니잇고
화산의 남쪽과 한수의 북쪽에 천년을 내려온 명승지지 서울에는,
청계천 위로 놓인 광통교를 건너 지금의 종로인 운종가로 들어가면,
가지가 축축 늘어진 멋진 소나무와 우뚝 솟아있는 늙은 측백나무에 에워싸인 추상같은 위엄이 서린 사헌부. 아! 오랜 세월을 두고 청렴결백한 바람이 감도는 광경, 그것이야말로 어떻습니까? 이곳에 모여든 영웅호걸들인 관원들은, 한때 뛰어난 재주를 지닌 인물들로, 아! 날까지 보태어서 몇 분이나 됩니까?
* 2장
旣鳴 天欲曉 紫陌長堤
大司憲 老執義 臺長御使
駕鶴 鸞 前呵後擁  除左右
위 霜臺ㅅ景 긔 엇더하니잇고
  • 가격3,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07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40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