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본문내용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인 성장 가능성을 조화롭게 발전시킬 수 있다.
② 학습자의 개별적인 자기성장을 조장할 수 있다.
③ 학습자의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④ 교수, 학습과정에서 개방적, 자육적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학습과정을 통해 터득된 의미가 내면화될 수 있다.
(2) 단점
① 교수, 학습과정에서 자유로운 환경조성과 역동적인 인간관계가 유지되지 않으면 교육성과의 보장이 어렵다.
② 학교교육에서 인본주의 교육을 창달하기 위한 교사들의 투철한 교육관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그 실현을 기대하기 어렵다.
③ 주지교과의 난이도의 하향조정, 도덕적, 심미적 교과의 강조, 교과의 통합, 교과별 시간단의의 융통성있는 운영 등이 선행되지 않으면 그 실현이 어렵다.
④ 과대규모의 학교와 과밀학급의 규모를 줄이는 개선책과 학교교육에서 지나친 경쟁과 비교를 지양하는 학교행정적 조건정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⑤ 가치관의 혼란에서 오는 비인간화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교육과 학교교육과의 협동체제를 통한 교육의 인간화가 보장되지 않으면 그 실현이 어렵다.
3장 교육과정의 학문적 기초
3.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1. 18세기 이전의 교육과정 발전
Plato는 그의 저서 ‘공화국(The Republic)‘에서 지식을 정의하고 그 지식을 수용할 인간들의 부류를 규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과정 유형을 개관했는데 이것이 교육과정 유형의 태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군사훈련과 병행하여 Plato가 제안한 교육내용은 하나의 설득력 있는 모형이 되었고, 중세대학의 7자유과가 생겨날 수 있었던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세교육의 기초는 라틴어였다. 성직자, 법률가, 의사들에게 직업상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중세 암흑시대에 지속된 거의 모든 형태의 학습에 필수적이었다.
17, 18세기까지의 영국과 웨일즈의 교육과정을 보면 라틴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영국사람들이 식민지를 형성한 미국에서도 라틴어와 희랍어의 읽기, 쓰기 위주의 고전적 교과목들이 교과과정의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 당시까지의 유럽이나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지배적인 교육과정 원리는 교육과정은 고정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본성적으로 순종적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자신을 반드시 그러한 “표준교육과정“에 맞추도록 교육을 전개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생각에 반하여 J. Comenius나 J. Locke 등은 학습자 개개인의 성숙 수준이나 발달 단계를 고려하는 다양한 제시방법을 통해 교수가 전개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사고는 18세기로 접어들면서 J. J. Rousseau에 의해 더욱 발전되어 교육과정의 본질보다는 아동의 본질을 더 앞세우기 시작하면서 비롯되었다. 그는 Emile의 교육계획 속에서 교육의 주된 목표는 아동의 자아실현에 있다고 믿고서, 아동의 본성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을 생각하였다.
한편 독립전쟁(1775-1781)이 일어나기 이전인 18세기 중엽의 미국에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가 급속도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가 태동되기 시작하였다. 즉, 종교적인 세력이 점차 퇴조하고, 상업이 발달하고, 사람들의 정착지 이동과 더불어 개척자의 생활이 도시발전을 가져오는 등의 사회적 변화가 교육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넣었다.
2. 산업사회의 교육과정
영국에서 고위층 공무원의 충원을 위하여 1864년 등장한 공공 시험제도와 1870년에 채택된 육군사관학교 입학 시험은 많은 사립학교에서 시험에 대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했고, 이후 점점 많은 시험이 도입되면서 교육과정, 즉 교육내용, 교수방법 그리고 평가 등이 시험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독립전쟁이 끝난 후, 남북전쟁(1861-1865)이 일어나기 이전까지의 약 80년간은 미국교육의 제도적인 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1870년 의무 학교교육제가 도입되면서 대중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시민들 사이에는 자신들의 개인 적 이익은 그들 스스로가 준비해야 한다는 교육에 대한 권리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다. 교과과정의 편성과 운영면에 있어서 살펴볼 때, 우선은 교과목이 풍성하게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특히 산수, 문자해독과 같은 기본기능(basic skill)에 치중하였다. 학급편성도 학년별 조직으로 바뀌고, 교사들도 담당전공 교과목에 의하여 부서조직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3. 20세기 이후의 교육과정 발전
(1) 탐색과 실험의 시기 (1900-1930년대)
20세기 초엽 30 여 년간은 미국에서 교육과정이 하나의 연구분야로 태동하면서 여러 가지 탐색과 실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20세기 전반, 교육과정 발전에 최대의 영향을 미친 사람은 J. Dewey이다. 그는 1916년에 Democracy and Education을 저술하여 이때 막 생성하기 시작하는 교육과정 분야에서 실험주의적 사고의 토대를 체계적으로 세웠다. 1918년은 Bobbitt의 The Curriculum이 출판됨으로 교육과정이 하나의 분명한 연구분야로 출현된 해였다.
1920년대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탐색과 실험의 시기였다면, 1930년대는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탐색과 실험의 시기이었다. 1930년대는 교육과정이 하나의 연구분야로 성장 발전하는데 있어서, 또 다른 의미 있는 시기이었다. 미국교육학회 내에 교육과정 연구회가 1932년에 조직되었으며, 1937년에는 콜럼비아 대학교 사범대학에 교육과정 학과가 처음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2) 회복과 각성의 시기 (1940-1950년대)
미국의 경우 1940년대의 교육과정의 연구의 특징은 경제 대공황으로부터의 회복을 지향한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조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연구가 활기를 띠기 시작한 것은 R. W. Tyler가 1949년에 “교육과정과 수업의 기본원리”라는 책을 내면서부터이다. 1950년대의 미국 교육과정 발전에 공헌한 특기할만한 사실 중의 한가지는 1950년에 세워진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과학교육과정 개발지원이다. 이러한 과학교육과정 개발 운동에 더욱 새로운 각성을 불러일으키게 된 것은 1957년 10월 스푸트
② 학습자의 개별적인 자기성장을 조장할 수 있다.
③ 학습자의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형성하는 데 도움이 된다.
④ 교수, 학습과정에서 개방적, 자육적 분위기를 조성함으로써 학습과정을 통해 터득된 의미가 내면화될 수 있다.
(2) 단점
① 교수, 학습과정에서 자유로운 환경조성과 역동적인 인간관계가 유지되지 않으면 교육성과의 보장이 어렵다.
② 학교교육에서 인본주의 교육을 창달하기 위한 교사들의 투철한 교육관이 확립되어 있지 않으면 그 실현을 기대하기 어렵다.
③ 주지교과의 난이도의 하향조정, 도덕적, 심미적 교과의 강조, 교과의 통합, 교과별 시간단의의 융통성있는 운영 등이 선행되지 않으면 그 실현이 어렵다.
④ 과대규모의 학교와 과밀학급의 규모를 줄이는 개선책과 학교교육에서 지나친 경쟁과 비교를 지양하는 학교행정적 조건정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⑤ 가치관의 혼란에서 오는 비인간화를 극복하기 위한 사회교육과 학교교육과의 협동체제를 통한 교육의 인간화가 보장되지 않으면 그 실현이 어렵다.
3장 교육과정의 학문적 기초
3.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1. 18세기 이전의 교육과정 발전
Plato는 그의 저서 ‘공화국(The Republic)‘에서 지식을 정의하고 그 지식을 수용할 인간들의 부류를 규정하고, 그에 따른 교육과정 유형을 개관했는데 이것이 교육과정 유형의 태동이었다고 할 수 있다. 군사훈련과 병행하여 Plato가 제안한 교육내용은 하나의 설득력 있는 모형이 되었고, 중세대학의 7자유과가 생겨날 수 있었던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중세교육의 기초는 라틴어였다. 성직자, 법률가, 의사들에게 직업상 필수적인 것이었으며, 중세 암흑시대에 지속된 거의 모든 형태의 학습에 필수적이었다.
17, 18세기까지의 영국과 웨일즈의 교육과정을 보면 라틴어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영국사람들이 식민지를 형성한 미국에서도 라틴어와 희랍어의 읽기, 쓰기 위주의 고전적 교과목들이 교과과정의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 당시까지의 유럽이나 미국에서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진 지배적인 교육과정 원리는 교육과정은 고정될 수 있으며, 학습자는 본성적으로 순종적이기 때문에 학습자가 자신을 반드시 그러한 “표준교육과정“에 맞추도록 교육을 전개시켜 나가야 한다는 것이었다.
이러한 생각에 반하여 J. Comenius나 J. Locke 등은 학습자 개개인의 성숙 수준이나 발달 단계를 고려하는 다양한 제시방법을 통해 교수가 전개될 것을 주장하였다. 이러한 사고는 18세기로 접어들면서 J. J. Rousseau에 의해 더욱 발전되어 교육과정의 본질보다는 아동의 본질을 더 앞세우기 시작하면서 비롯되었다. 그는 Emile의 교육계획 속에서 교육의 주된 목표는 아동의 자아실현에 있다고 믿고서, 아동의 본성을 중심으로 한 교육과정을 생각하였다.
한편 독립전쟁(1775-1781)이 일어나기 이전인 18세기 중엽의 미국에는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변화가 급속도로 나타나기 시작하여, 이에 따른 교육과정의 변화가 태동되기 시작하였다. 즉, 종교적인 세력이 점차 퇴조하고, 상업이 발달하고, 사람들의 정착지 이동과 더불어 개척자의 생활이 도시발전을 가져오는 등의 사회적 변화가 교육에 새로운 바람을 불러 넣었다.
2. 산업사회의 교육과정
영국에서 고위층 공무원의 충원을 위하여 1864년 등장한 공공 시험제도와 1870년에 채택된 육군사관학교 입학 시험은 많은 사립학교에서 시험에 대비한 교육과정을 개발하게 했고, 이후 점점 많은 시험이 도입되면서 교육과정, 즉 교육내용, 교수방법 그리고 평가 등이 시험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독립전쟁이 끝난 후, 남북전쟁(1861-1865)이 일어나기 이전까지의 약 80년간은 미국교육의 제도적인 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1870년 의무 학교교육제가 도입되면서 대중을 위한 교육과정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시민들 사이에는 자신들의 개인 적 이익은 그들 스스로가 준비해야 한다는 교육에 대한 권리의식이 싹트기 시작했다. 교과과정의 편성과 운영면에 있어서 살펴볼 때, 우선은 교과목이 풍성하게 늘어나기 시작하였고 특히 산수, 문자해독과 같은 기본기능(basic skill)에 치중하였다. 학급편성도 학년별 조직으로 바뀌고, 교사들도 담당전공 교과목에 의하여 부서조직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3. 20세기 이후의 교육과정 발전
(1) 탐색과 실험의 시기 (1900-1930년대)
20세기 초엽 30 여 년간은 미국에서 교육과정이 하나의 연구분야로 태동하면서 여러 가지 탐색과 실험이 이루어진 시기이다. 20세기 전반, 교육과정 발전에 최대의 영향을 미친 사람은 J. Dewey이다. 그는 1916년에 Democracy and Education을 저술하여 이때 막 생성하기 시작하는 교육과정 분야에서 실험주의적 사고의 토대를 체계적으로 세웠다. 1918년은 Bobbitt의 The Curriculum이 출판됨으로 교육과정이 하나의 분명한 연구분야로 출현된 해였다.
1920년대가 초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탐색과 실험의 시기였다면, 1930년대는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대한 탐색과 실험의 시기이었다. 1930년대는 교육과정이 하나의 연구분야로 성장 발전하는데 있어서, 또 다른 의미 있는 시기이었다. 미국교육학회 내에 교육과정 연구회가 1932년에 조직되었으며, 1937년에는 콜럼비아 대학교 사범대학에 교육과정 학과가 처음으로 설치되었기 때문이다.
(2) 회복과 각성의 시기 (1940-1950년대)
미국의 경우 1940년대의 교육과정의 연구의 특징은 경제 대공황으로부터의 회복을 지향한 교육에 대한 새로운 관조라고 할 수 있다. 교육과정의 연구가 활기를 띠기 시작한 것은 R. W. Tyler가 1949년에 “교육과정과 수업의 기본원리”라는 책을 내면서부터이다. 1950년대의 미국 교육과정 발전에 공헌한 특기할만한 사실 중의 한가지는 1950년에 세워진 미국 국립과학재단(National Science Foundation)의 과학교육과정 개발지원이다. 이러한 과학교육과정 개발 운동에 더욱 새로운 각성을 불러일으키게 된 것은 1957년 10월 스푸트
추천자료
[수준별학습]국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도입요인, 국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
[수준별수업]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의 의미와 도입배경, 영어과 심화보충형 수준별교...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일반적 이해,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특성,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기본 방...
체육교육과정(체육과교육과정)의 개정배경, 체육교육과정(체육과교육과정)의 기본방향, 체육...
[교육과정][교육과정 법령 문제점][교육과정 추진 방향]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의 목표, ...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정의와 특징, 단계형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 운영과 운영 방향, ...
[학교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의 개념, 학교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학교교육과정의 구성 체제, ...
[교육과정][자율성][사교육][교육과정평가]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의 변천, 교육과정의 기...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학교교육][공교육]교육과정의 정의, 교육과정의 관점, 교육과정의 ...
[교육과정][학교교육과정][교육정책][교육제도]교육과정의 의의, 교육과정의 기본 방향, 교육...
보육과정에 있어서 평가의 목적과 필요성을 기술 하고 평가의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의의를 논...
보육과정 평가대상에 있어 교사평가의 필요성을 쓰고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평가 방법에 대...
유치원평가의 변화과정을 서술하고 발전방향을 제언하시오. (유치원 평가의 개념, 변화과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