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는 것도 일종의 게으름일까? 하는 생각과 함께 당연히 인간관계에서 겪는 어려움이나 무관심도 게으름에서 나오는 것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내가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지 않는 것 또한 게으름일 것이다. 가슴속에 담아놓고 표현하지 않고 하고 싶지만 용기가 없다고 말 하는 것도 변명과 게으름일 것이다. 불현듯 누군가가 생각났다. 바로 나의 어머니이시다. 언제나 변화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득 차신 분이다. 마음은 있지만 항상 실천하지 않으신다. 실천하려 하면 두려움부터 가지시고 혁신을 꿈꾸지 못하셔서 항상 뒤로 미루시다가 결국 포기하시는... 해서 아직도 울고 계시면서도 “다 너희를 때문이야” 라고 말하시는... 아버지와의 일도 결국 그런 것 일 것이다.
책에서는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는 항상 타인에 의해서 움직이고 타인이 시켜야만 분주하게 행동하고 바쁘게 움직인다는 것이다. 나는 자율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2학기에 들어와서 연극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고는 또 다시 연극을 한다. 그렇게나 시간을 많이 뺏기고도 또 하겠다고 결정해버렸다. 후회가 되기도 하고 또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2학기가 바쁠 줄 알면서도 무책임하게 욕구만을
내가 생각하는 것을 실천하지 않는 것 또한 게으름일 것이다. 가슴속에 담아놓고 표현하지 않고 하고 싶지만 용기가 없다고 말 하는 것도 변명과 게으름일 것이다. 불현듯 누군가가 생각났다. 바로 나의 어머니이시다. 언제나 변화에 대한 두려움으로 가득 차신 분이다. 마음은 있지만 항상 실천하지 않으신다. 실천하려 하면 두려움부터 가지시고 혁신을 꿈꾸지 못하셔서 항상 뒤로 미루시다가 결국 포기하시는... 해서 아직도 울고 계시면서도 “다 너희를 때문이야” 라고 말하시는... 아버지와의 일도 결국 그런 것 일 것이다.
책에서는 자율성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는 항상 타인에 의해서 움직이고 타인이 시켜야만 분주하게 행동하고 바쁘게 움직인다는 것이다. 나는 자율적인 행동을 할 수 있는 시간이 얼마나 될까? 2학기에 들어와서 연극을 하지 않겠다고 다짐을 하고는 또 다시 연극을 한다. 그렇게나 시간을 많이 뺏기고도 또 하겠다고 결정해버렸다. 후회가 되기도 하고 또 스트레스를 받기도 한다. 2학기가 바쁠 줄 알면서도 무책임하게 욕구만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