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게 되는데 이러한것들은 브러쉬를 이용해서 깨끗하게 마무리를 해줍니다.
여기까지의 실습을 통해서 용접의 기본적인 방법을 배우게 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맞대기 용접실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맞대기 용접때는 일직선으로 했던 용접방법과 달리 약간 위빙을주면서 하는 용접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방법이 맞대기 용접에는 더 효과적인 방법이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맞대기용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백비드를 생성되게 하는것인데, 이 백비드를 생성하는게 은근히 어려웠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생성이 된다고 해도 아주 얇게 생성이 되서 거의 표도 안났었습니다. 아마도 재료의 간격이 문제가 있던 것 같습니다. 간격을 너무 작게잡아서 뒤까지 비드가 생성이 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간격은 조교선생님께서 용접봉의 철심정도가 적당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그거를 아무렇지 않게 넘긴게 제 실수였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간격을 너무 많이 벌려서 용접을 했더니 접합부위중에 중간중간 구멍이 조그맣게 뚫리는 현상도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재료 4개를 접합할때가 용접실습에서 가장 어려움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가 용접실습의 과정이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찔했던 경험도 많았지만 그래도 한번도 해보지 못한 용접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다가갈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았고, 은근히 보람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안전수칙>
① 용접실습전 보호장비를 확실히 착용한다. 보호의(상.하)와 장갑, 용 접마스크를 철저히 준비하고 용접실습에 임한다.
② 한 사람이 용접을 하고 있을시에는 그 근처에 가까이 가서는 안된 다. (제가 그 근처에서 지켜보다가 불꽃이 보호의 속으로 들어간 일 이 있었습니다.)
③ 용접을 한 번 하면 최소 10분정도는 휴식후에 용접을 실시한다. 무 작정 쉬지 않고 계속 용접을 할 경우 눈주위가 빨개지고 눈의 피로 가 극심해진다.(처음엔 저도 잘 모르고 무작정 했었는데 실습다음날 눈을 거의 못뜰정도로 너무 아프고 눈물만 계속 나왔습니다.)
④ 용접을 끝마친뒤 재료를 옮길때는 무조건 집게를 이용해서 이동시 켜야한다. 장갑을 꼈다고는 해도 재료를 옮기다가 뜨거워서 놓치는 경우가 종종있다. 그리고 집게로 재료를 옮길때에도 재료를 놓치지 않는것에 유의해야 한다.
⑤ 용접기계의 전원이 어떤상태인지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 자칫하다 가는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저 같은 경우에는 전원이 꺼져있는 줄 알고 용접봉을 집게에 물리고서 연습을하는 행동을 하다가 불꽃 이 튀는 것을 용접마스크도 끼지않은채 봐서 한동안 눈앞이 멍한상 태였습니다.)
⑥ 슬래그 제거시 항상 재료를 비스듬히 기울여서 슬래그를 제거해야한다. 그냥 바닥에 놓고 망치로 칠 경우 슬래그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위험성이 있다.
<용접실습 공구 및 재료>
→용접봉, 용접기, 용접망치, 집게, 와이어브러쉬, 용접용 안전보호구
<2> 다듬질 실습
→ 두 번째로 한 실습은 다듬질 실습이었는데, 실습하기전에 저의 생각은 이 실습은 위험성도 없고, 손으로만 빨리 깎으면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었는데, 막상해보니 4가지 실습중에서 가장 힘들었던걸로 기억됩니다. 그만큼 기계의 힘이 대단하다는것도 느끼게 된 실습이었습니다.
※ 관련지식
①줄의종류
단면형상에 따라
평줄
4각줄
3각줄
반원줄
원형줄
눈(目)의 형상에 따라
단목줄(單目줄)
복목줄(複目줄)
3단목줄(3 段目줄)
파목줄(波目줄)
눈(目)의 치수에 따라
황목줄(荒目줄): 눈이 거칠은 것
중목줄(中目줄): 눈의 거칠기가 중간인 것
세목줄(細目줄): 눈이 가늘고 조밀한 것
가는줄(needle files): 금속 손잡이를 갖는 줄로서 복잡한 곳의 정밀가공에 사용된다
회전줄(rotary files): motor 또는 공기에 의한 회전공구로서 금형가공에서 많이 사용된다.
② 줄작업의 일반적 요령
1. 줄눈 전체를 사용
2. 자주 브러시로 청소하여 사용
3. 새줄은 연질재료에서 점차적으로 경질재료에 사용
③ 줄작업의 방법
1.바이스에 공작물을 물린다.
2.발은 어깨 넓이 정도 벌려 선다.(왼발이 앞에(12시방향), 오른발은 뒤쪽에서(2시방향),
이렇게 하면 약 45도쯤 됨)
3.차려 자세에서 오른손으로 줄을 잡는다(줄자루를 잡을 때 엄지가 위로 향하도록)
4.줄을 수평이 되도록 팔을 올린다.(이때 오른손이 오른쪽 가슴에 닿도록 당긴 상태)
5.이 자세에서 다리를 구부려 줄이 공작물에 닿게함
6.왼손을 줄의 끝부분에 살며시 올려 놓음
7.상체를 앞으로 민다.(오른손은 가슴에 붙이고,왼손에 밑으로 누르는 힘을 많이 주고)
8.상체를 계속 민다.(왼손의 힘을 점점 줄이면서)
9.상체를 계속 밀다 보면 오른손이 가슴에서 자연히 떨어지면서 평행하게 앞으로 나감
10. 절삭을 위한 전진이 끝났 때는 왼손의 힘은 거의 주지 않음
11.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절삭을 계속함
④ 줄질의방법
1. 직진법:줄눈 방향에서 직각방향으로 직선운동-좁은 곳의 줄질
2. 사진법:줄응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줄질-거친 가공에 적합
3. 횡진법:줄을 가로로 하여 직선이동-좁은 곳의 정밀한 다듬질에 사용
<<실습과정>>
처음 다듬질 실습을 하기전에 우선 줄을 종류별로 준비하게 되는데, 제가 사용했던 줄들은 대목, 황목, 중목, 세목 4가지였습니다.
이러한 줄외에도 줄질시에 연마제 역할을 하는 백묵과, 줄질시 칩이 줄에 박힐 것을 제거하기위한 브러쉬를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 부수적인것이지만 수시로 사용을 해야하는 버니어캘리퍼스와 직각자도 준비를 해놓습니다.
그리고나서 실습을 시작하게되는데 우선 직육면체의 재료를 받게되면 그 재료를 바이스에 물리기전에 알루미늄판2개를 먼저 바이스에 물린다음 고정시킵니다. 고정시킬때 망치를 이용하여 알루미늄판이 바이스에 밀착이 되도록 세게 두들겨줍니다. 이렇게 알루미늄판을 먼저대는 이유는 재료를 바이스자체에 그냥 물리게 되면 재료표면에 흠집이 생기면서 표면거칠기가 틀려지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방지하기위해 이러한 작업을 먼저 수행합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재료를 바이스에 물리고, 전체육면의 표면을 다듬기 시작합니다. 다듬을때에 처음엔거칠기가근 대목이나 황목을 이용하여 다듬고서 어느정도 다듬어졌다고 생각
여기까지의 실습을 통해서 용접의 기본적인 방법을 배우게 되었고, 그 다음으로는 맞대기 용접실습을 하게 되었습니다. 맞대기 용접때는 일직선으로 했던 용접방법과 달리 약간 위빙을주면서 하는 용접법을 사용하였습니다. 이 방법이 맞대기 용접에는 더 효과적인 방법이었던 것 같습니다. 또한 맞대기용접에서 가장 중요한 점은 백비드를 생성되게 하는것인데, 이 백비드를 생성하는게 은근히 어려웠습니다. 저같은 경우에는 생성이 된다고 해도 아주 얇게 생성이 되서 거의 표도 안났었습니다. 아마도 재료의 간격이 문제가 있던 것 같습니다. 간격을 너무 작게잡아서 뒤까지 비드가 생성이 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간격은 조교선생님께서 용접봉의 철심정도가 적당하다고 말씀해주셨는데, 그거를 아무렇지 않게 넘긴게 제 실수였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간격을 너무 많이 벌려서 용접을 했더니 접합부위중에 중간중간 구멍이 조그맣게 뚫리는 현상도 있었습니다. 제 생각에는 재료 4개를 접합할때가 용접실습에서 가장 어려움이 많았던 것 같습니다. 여기까지가 용접실습의 과정이었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아찔했던 경험도 많았지만 그래도 한번도 해보지 못한 용접에 대해서 조금이나마 다가갈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았고, 은근히 보람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안전수칙>
① 용접실습전 보호장비를 확실히 착용한다. 보호의(상.하)와 장갑, 용 접마스크를 철저히 준비하고 용접실습에 임한다.
② 한 사람이 용접을 하고 있을시에는 그 근처에 가까이 가서는 안된 다. (제가 그 근처에서 지켜보다가 불꽃이 보호의 속으로 들어간 일 이 있었습니다.)
③ 용접을 한 번 하면 최소 10분정도는 휴식후에 용접을 실시한다. 무 작정 쉬지 않고 계속 용접을 할 경우 눈주위가 빨개지고 눈의 피로 가 극심해진다.(처음엔 저도 잘 모르고 무작정 했었는데 실습다음날 눈을 거의 못뜰정도로 너무 아프고 눈물만 계속 나왔습니다.)
④ 용접을 끝마친뒤 재료를 옮길때는 무조건 집게를 이용해서 이동시 켜야한다. 장갑을 꼈다고는 해도 재료를 옮기다가 뜨거워서 놓치는 경우가 종종있다. 그리고 집게로 재료를 옮길때에도 재료를 놓치지 않는것에 유의해야 한다.
⑤ 용접기계의 전원이 어떤상태인지를 항상 확인해야 한다. 자칫하다 가는 큰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저 같은 경우에는 전원이 꺼져있는 줄 알고 용접봉을 집게에 물리고서 연습을하는 행동을 하다가 불꽃 이 튀는 것을 용접마스크도 끼지않은채 봐서 한동안 눈앞이 멍한상 태였습니다.)
⑥ 슬래그 제거시 항상 재료를 비스듬히 기울여서 슬래그를 제거해야한다. 그냥 바닥에 놓고 망치로 칠 경우 슬래그가 어디로 튈지 모르는 위험성이 있다.
<용접실습 공구 및 재료>
→용접봉, 용접기, 용접망치, 집게, 와이어브러쉬, 용접용 안전보호구
<2> 다듬질 실습
→ 두 번째로 한 실습은 다듬질 실습이었는데, 실습하기전에 저의 생각은 이 실습은 위험성도 없고, 손으로만 빨리 깎으면 되겠구나 하는 생각이었는데, 막상해보니 4가지 실습중에서 가장 힘들었던걸로 기억됩니다. 그만큼 기계의 힘이 대단하다는것도 느끼게 된 실습이었습니다.
※ 관련지식
①줄의종류
단면형상에 따라
평줄
4각줄
3각줄
반원줄
원형줄
눈(目)의 형상에 따라
단목줄(單目줄)
복목줄(複目줄)
3단목줄(3 段目줄)
파목줄(波目줄)
눈(目)의 치수에 따라
황목줄(荒目줄): 눈이 거칠은 것
중목줄(中目줄): 눈의 거칠기가 중간인 것
세목줄(細目줄): 눈이 가늘고 조밀한 것
가는줄(needle files): 금속 손잡이를 갖는 줄로서 복잡한 곳의 정밀가공에 사용된다
회전줄(rotary files): motor 또는 공기에 의한 회전공구로서 금형가공에서 많이 사용된다.
② 줄작업의 일반적 요령
1. 줄눈 전체를 사용
2. 자주 브러시로 청소하여 사용
3. 새줄은 연질재료에서 점차적으로 경질재료에 사용
③ 줄작업의 방법
1.바이스에 공작물을 물린다.
2.발은 어깨 넓이 정도 벌려 선다.(왼발이 앞에(12시방향), 오른발은 뒤쪽에서(2시방향),
이렇게 하면 약 45도쯤 됨)
3.차려 자세에서 오른손으로 줄을 잡는다(줄자루를 잡을 때 엄지가 위로 향하도록)
4.줄을 수평이 되도록 팔을 올린다.(이때 오른손이 오른쪽 가슴에 닿도록 당긴 상태)
5.이 자세에서 다리를 구부려 줄이 공작물에 닿게함
6.왼손을 줄의 끝부분에 살며시 올려 놓음
7.상체를 앞으로 민다.(오른손은 가슴에 붙이고,왼손에 밑으로 누르는 힘을 많이 주고)
8.상체를 계속 민다.(왼손의 힘을 점점 줄이면서)
9.상체를 계속 밀다 보면 오른손이 가슴에서 자연히 떨어지면서 평행하게 앞으로 나감
10. 절삭을 위한 전진이 끝났 때는 왼손의 힘은 거의 주지 않음
11.이와 같은 동작을 반복해서 절삭을 계속함
④ 줄질의방법
1. 직진법:줄눈 방향에서 직각방향으로 직선운동-좁은 곳의 줄질
2. 사진법:줄응 경사지게 이동하면서 줄질-거친 가공에 적합
3. 횡진법:줄을 가로로 하여 직선이동-좁은 곳의 정밀한 다듬질에 사용
<<실습과정>>
처음 다듬질 실습을 하기전에 우선 줄을 종류별로 준비하게 되는데, 제가 사용했던 줄들은 대목, 황목, 중목, 세목 4가지였습니다.
이러한 줄외에도 줄질시에 연마제 역할을 하는 백묵과, 줄질시 칩이 줄에 박힐 것을 제거하기위한 브러쉬를 준비하였습니다. 그리고 부수적인것이지만 수시로 사용을 해야하는 버니어캘리퍼스와 직각자도 준비를 해놓습니다.
그리고나서 실습을 시작하게되는데 우선 직육면체의 재료를 받게되면 그 재료를 바이스에 물리기전에 알루미늄판2개를 먼저 바이스에 물린다음 고정시킵니다. 고정시킬때 망치를 이용하여 알루미늄판이 바이스에 밀착이 되도록 세게 두들겨줍니다. 이렇게 알루미늄판을 먼저대는 이유는 재료를 바이스자체에 그냥 물리게 되면 재료표면에 흠집이 생기면서 표면거칠기가 틀려지기 때문입니다. 그것을 방지하기위해 이러한 작업을 먼저 수행합니다.
이 작업이 끝나면 재료를 바이스에 물리고, 전체육면의 표면을 다듬기 시작합니다. 다듬을때에 처음엔거칠기가근 대목이나 황목을 이용하여 다듬고서 어느정도 다듬어졌다고 생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