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도시와 도시림
1) 도시림이란
2) 도시생태의 변화
2. 산림 자원의 가치
1) 생물 다양성 보존
2) 자연재해의 예방
3) 환경문제의 해결
3. 도시림의 기능
1) 대기정화
2) 기온 조절
가) 열섬(Heat Island) 현상
나) 열섬현상의 원인
다) 열섬효과 대책, 녹지 조성
3) 소음 경감 효과
4) 홍수 예방 및 토양 유출 방지
5) 보건 휴양 기능
6) 교육, 문화 공간의 장
4. 도시림의 분류
1) 관리단위에 따른 분류
2) 기능에 따른 분류
3) 보호와 휴양기능에 따른 분류
4) 종합적인 분류
5. 도시림의 올바른 조성을 위하여
참고자료
1) 도시림이란
2) 도시생태의 변화
2. 산림 자원의 가치
1) 생물 다양성 보존
2) 자연재해의 예방
3) 환경문제의 해결
3. 도시림의 기능
1) 대기정화
2) 기온 조절
가) 열섬(Heat Island) 현상
나) 열섬현상의 원인
다) 열섬효과 대책, 녹지 조성
3) 소음 경감 효과
4) 홍수 예방 및 토양 유출 방지
5) 보건 휴양 기능
6) 교육, 문화 공간의 장
4. 도시림의 분류
1) 관리단위에 따른 분류
2) 기능에 따른 분류
3) 보호와 휴양기능에 따른 분류
4) 종합적인 분류
5. 도시림의 올바른 조성을 위하여
참고자료
본문내용
다고 한다.
교육, 문화 공간의 장
도시림은 살아 있는 생태환경으로서 아이들의 자연학습의 장이 될 수 있다. 도시 내부는 협소한 녹지공간과 주위 녹지와의 단절 속에 생물들의 이동통로가 막혀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의 고립된 생물 종은, 자연히 개체 수의 감소와 생물 다양성이 축소된다.
반면 녹지 네트워크(Green Network)로 잘 연결되어 있거나 넓고 풍부하게 자리 잡은 도시림은, 생물 종의 서식지 제공은 물론 다양한 생물 종을 보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과 접촉하는 동안에 얻어지는 동식물과의 교감형성, 관찰지식의 습득, 자연에 대해 느끼는 경외감 등 사색과 창의성 개발에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산림이 약 67%에 이르는 비교적 풍부한 산림국으로서 예로부터 숲과 관련된 많은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숲과 조화를 이루며 그 가치가 보존되고 있어, 이를 유지할 수 있는 도시림 공간의 보호와 관리가 더욱 필요한 것이다.
도시림의 분류
산림청에 따르면 도시림의 분류는 도시림을 취급하는 목적에 따라 크게 관리단위별, 기능별, 휴양기능별로 구분된다고 한다.
관리단위에 따른 분류
도시림은 지역, 이용수요 및 기능에 따라 생활환경림, 환경보전림, 보건휴양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리단위
지역 및 위치
기능 및 경영목적
구분내용
생활환경림
시가화지역
도시민에게 녹음과 쾌적함을 제공
도시지역의 평지에 위치한 산림
환경보전림
시외곽지역
산림생태계의 보전, 야생동물 보전 등 산림환경보전
댐 상류지역의 산림, 자연성이 높은 산림, 지형이 험준한 산림
보건휴양림
시외곽지역
도시민에게 다양한 산림휴양기회 부여
접근성이 좋은 산림, 조경적 가치가 높은 산림
기능에 따른 분류
과거에는 산림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땔감 확보, 즉 목재생산기능이었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환경문제의 해결과 쾌적한 생활환경조성, 휴양지로서의 역할이 주를 이룬다. 특히 도시림에 있어서는 환경보전기능과 도시민들의 휴식처로서 가장 큰 역할을 한다.
기능분류
구분
내용
생산기능
목재의 생산
광합성을 통한 CO₂흡수 및 O₂공급
산림의 토양층에 장기간에 걸친 탄소의 축적
환경보전, 휴양기능의 기본조건
환경보전
기능
동식물, 인간
생태계보호
공해방지기능 : 공해물질, 분진, 먼지 제거
기후조절기능 : 도시 열섬 효과 완화
소음보호기능
시각보호기능
토양보전기능
경관보전기능
수원함양기능
휴양기능
정신적인 휴양
육체적인 휴양
고독감, 한적함, 여유로움, 자유로움
산책, 등산, 산림욕
보호와 휴양기능에 따른 분류
모든 산림은 환경 보호기능과 휴양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이 공익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급지를 분류한다고 한다.
급지분류
분류 지침
1급지
보호와 휴양기능이 지역적으로 아주 중요하여 산림경영의 방향이 이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
2급지
보호와 휴양기능이 산림경영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기타
보호와 휴양기능이 이러한 단계에 이르지 못하는 숲
종합적인 분류
위에서 제시된 세 가지 분류방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림의 목적과 자원적 특성에 따라 환경보전림, 보건휴양림, 교육문화림, 자원생산림의 4가지로 구분한다.
구분
기능
형식
환경보전림
도심 및 도시주변 지역에 위치한 산림으로 대기정화, 기후조절, 수원함양, 토사붕괴방지, 녹음, 경관, 소음, 시각보호, 생태계 보전 기능 등의 목적에 활용되는 산림
녹지보전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완충녹지, 천연보호림, 수산자원보전지구(내수면 포함), 보안림, 경관녹지, 풍치지구, 보전임지, 자연생태계보전지역, 야생동식물보호지역, 공해방지림, 기후조절림, 소음방지림, 시각보호림, 도로보호림, 생태계보전림, 가로수/중앙분리대
보건휴양림
도심이나 교외지역에 위치한 산림으로 도시민의 일상적인 스포츠, 레크레이션, 여가활동을 할 수 있고, 산림욕 혹은 자연휴양림 시설을 설비하는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산림
자연공원, 도시공원, 자연휴양림, 산림욕장, 수목원, 산림박물관, 기타 레크레이션 활동에 이용되는 숲
교육문화림
도심, 외곽에 위치한 산림으로 문화 역사적 자원을 포함하고 있는 공간으로 도시민에 대한 자연 학습 공간 및 체험제공이 가능한 산림
시민의 숲, 자연학습림, 예술종교관련 숲, 천연기념물 등 문화재를 포함하고 있는 숲, 역사적 사실이나 전설을 지니고 있는 숲
자원생산림
교외지역에 위치하며 임목생장의 입지조건이 양호하여 목재생산, 야생동물의 증식 및 육성관련 산림, 산채 및 버섯육성 및 채취 등 산림자원의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산림
목재생산, 특용임산물생산, 야생동물 서식지, 유전자원보전림
도시림의 올바른 조성을 위하여
자연을 이루고 있는 대기, 물, 토양, 동식물, 기후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모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도시 생태를 고려하고 계획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부분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도시림 조성을 통한 녹지의 확보는, 곧 도시의 녹색허파(Green Lungs)가 될 수 있도록, 환경적 요인들을 다양하고 총체적인 입장에서 분석하고 고려해야 한다.
최근 우리 주변에는 소위 말하는 ‘생태적’, ‘친환경적’이라는 수식어를 붙여가며 녹지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근래 들어 조성되고 있는 도시림이나 녹지 공간들은 주위환경과의 연관 고리, 예를 들어 자연식물군집과의 연계성을 갖고 상호 작용을 주고받는 있는 식물들을 보기 어렵고, 마치 잘 정리되고 가꾸어진 장식품처럼 또 하나의 녹색 조경물에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식물 고유의 생명력과 적응력, 식물 간 연관성이나 다양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원예기술을 적용한 아름다운 녹지경관을 조성한 것에 ‘생태’나, ‘친환경’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 번 고민해 봐야 할 시점이다.
참고 자료
도시와 녹지계획, 김정곤, Environment, The monthly, 2008.7
부산시 도시림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오동하, 부산발전연구원, 2002
기후변화, 도시림 그리고 지방도시, 박봉우, 산림칼럼
도시권역 산림의 효용과 다목적 이용방안, 박봉우, 1998
도시림관리체계의 확립과 조성방안, 변우혁, 1997
교육, 문화 공간의 장
도시림은 살아 있는 생태환경으로서 아이들의 자연학습의 장이 될 수 있다. 도시 내부는 협소한 녹지공간과 주위 녹지와의 단절 속에 생물들의 이동통로가 막혀 있다. 따라서 한정된 공간의 고립된 생물 종은, 자연히 개체 수의 감소와 생물 다양성이 축소된다.
반면 녹지 네트워크(Green Network)로 잘 연결되어 있거나 넓고 풍부하게 자리 잡은 도시림은, 생물 종의 서식지 제공은 물론 다양한 생물 종을 보존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과 접촉하는 동안에 얻어지는 동식물과의 교감형성, 관찰지식의 습득, 자연에 대해 느끼는 경외감 등 사색과 창의성 개발에 원천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우리나라는 산림이 약 67%에 이르는 비교적 풍부한 산림국으로서 예로부터 숲과 관련된 많은 유무형의 문화유산을 보유하고 있다. 이러한 문화유산들은 숲과 조화를 이루며 그 가치가 보존되고 있어, 이를 유지할 수 있는 도시림 공간의 보호와 관리가 더욱 필요한 것이다.
도시림의 분류
산림청에 따르면 도시림의 분류는 도시림을 취급하는 목적에 따라 크게 관리단위별, 기능별, 휴양기능별로 구분된다고 한다.
관리단위에 따른 분류
도시림은 지역, 이용수요 및 기능에 따라 생활환경림, 환경보전림, 보건휴양림으로 구분할 수 있다.
관리단위
지역 및 위치
기능 및 경영목적
구분내용
생활환경림
시가화지역
도시민에게 녹음과 쾌적함을 제공
도시지역의 평지에 위치한 산림
환경보전림
시외곽지역
산림생태계의 보전, 야생동물 보전 등 산림환경보전
댐 상류지역의 산림, 자연성이 높은 산림, 지형이 험준한 산림
보건휴양림
시외곽지역
도시민에게 다양한 산림휴양기회 부여
접근성이 좋은 산림, 조경적 가치가 높은 산림
기능에 따른 분류
과거에는 산림의 가장 중요한 목적이 땔감 확보, 즉 목재생산기능이었으나, 오늘날에 와서는 환경문제의 해결과 쾌적한 생활환경조성, 휴양지로서의 역할이 주를 이룬다. 특히 도시림에 있어서는 환경보전기능과 도시민들의 휴식처로서 가장 큰 역할을 한다.
기능분류
구분
내용
생산기능
목재의 생산
광합성을 통한 CO₂흡수 및 O₂공급
산림의 토양층에 장기간에 걸친 탄소의 축적
환경보전, 휴양기능의 기본조건
환경보전
기능
동식물, 인간
생태계보호
공해방지기능 : 공해물질, 분진, 먼지 제거
기후조절기능 : 도시 열섬 효과 완화
소음보호기능
시각보호기능
토양보전기능
경관보전기능
수원함양기능
휴양기능
정신적인 휴양
육체적인 휴양
고독감, 한적함, 여유로움, 자유로움
산책, 등산, 산림욕
보호와 휴양기능에 따른 분류
모든 산림은 환경 보호기능과 휴양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기능이 공익에 미치는 영향력의 정도에 따라 급지를 분류한다고 한다.
급지분류
분류 지침
1급지
보호와 휴양기능이 지역적으로 아주 중요하여 산림경영의 방향이 이에 따라 결정되는 경우
2급지
보호와 휴양기능이 산림경영에 영향을 끼치는 경우
기타
보호와 휴양기능이 이러한 단계에 이르지 못하는 숲
종합적인 분류
위에서 제시된 세 가지 분류방법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도시림의 목적과 자원적 특성에 따라 환경보전림, 보건휴양림, 교육문화림, 자원생산림의 4가지로 구분한다.
구분
기능
형식
환경보전림
도심 및 도시주변 지역에 위치한 산림으로 대기정화, 기후조절, 수원함양, 토사붕괴방지, 녹음, 경관, 소음, 시각보호, 생태계 보전 기능 등의 목적에 활용되는 산림
녹지보전지역, 자연환경보전지역, 완충녹지, 천연보호림, 수산자원보전지구(내수면 포함), 보안림, 경관녹지, 풍치지구, 보전임지, 자연생태계보전지역, 야생동식물보호지역, 공해방지림, 기후조절림, 소음방지림, 시각보호림, 도로보호림, 생태계보전림, 가로수/중앙분리대
보건휴양림
도심이나 교외지역에 위치한 산림으로 도시민의 일상적인 스포츠, 레크레이션, 여가활동을 할 수 있고, 산림욕 혹은 자연휴양림 시설을 설비하는 등의 목적으로 활용되는 산림
자연공원, 도시공원, 자연휴양림, 산림욕장, 수목원, 산림박물관, 기타 레크레이션 활동에 이용되는 숲
교육문화림
도심, 외곽에 위치한 산림으로 문화 역사적 자원을 포함하고 있는 공간으로 도시민에 대한 자연 학습 공간 및 체험제공이 가능한 산림
시민의 숲, 자연학습림, 예술종교관련 숲, 천연기념물 등 문화재를 포함하고 있는 숲, 역사적 사실이나 전설을 지니고 있는 숲
자원생산림
교외지역에 위치하며 임목생장의 입지조건이 양호하여 목재생산, 야생동물의 증식 및 육성관련 산림, 산채 및 버섯육성 및 채취 등 산림자원의 생산에 활용할 수 있는 산림
목재생산, 특용임산물생산, 야생동물 서식지, 유전자원보전림
도시림의 올바른 조성을 위하여
자연을 이루고 있는 대기, 물, 토양, 동식물, 기후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모두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다. 따라서 도시 생태를 고려하고 계획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부분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도시림 조성을 통한 녹지의 확보는, 곧 도시의 녹색허파(Green Lungs)가 될 수 있도록, 환경적 요인들을 다양하고 총체적인 입장에서 분석하고 고려해야 한다.
최근 우리 주변에는 소위 말하는 ‘생태적’, ‘친환경적’이라는 수식어를 붙여가며 녹지조성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근래 들어 조성되고 있는 도시림이나 녹지 공간들은 주위환경과의 연관 고리, 예를 들어 자연식물군집과의 연계성을 갖고 상호 작용을 주고받는 있는 식물들을 보기 어렵고, 마치 잘 정리되고 가꾸어진 장식품처럼 또 하나의 녹색 조경물에 지나지 않는 것처럼 보이는 경우가 많다. 식물 고유의 생명력과 적응력, 식물 간 연관성이나 다양성 등을 고려하지 않고, 단지 원예기술을 적용한 아름다운 녹지경관을 조성한 것에 ‘생태’나, ‘친환경’이라는 수식어를 붙이고 있는 것은 아닌지 한 번 고민해 봐야 할 시점이다.
참고 자료
도시와 녹지계획, 김정곤, Environment, The monthly, 2008.7
부산시 도시림의 효율적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오동하, 부산발전연구원, 2002
기후변화, 도시림 그리고 지방도시, 박봉우, 산림칼럼
도시권역 산림의 효용과 다목적 이용방안, 박봉우, 1998
도시림관리체계의 확립과 조성방안, 변우혁,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