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에서 어떤 상황을 향해 품고 있는 자신의 용납될 수 없는 성적인 또는 적대적인 욕구 등으로 인해 그 대상이 입었다고 상상되는 그 영향을 취소, 원상복귀, 불인정하는 행위를 말한다. 주로 의식행위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자신의 예)지나가는 여성을 보고 계속 처다 보면서 다 지나 가면은 이러면 안되지 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추수리는 경우
24)차단(blocking)
차단이란, 몇 가지 서로 연결된 생각들 가운데서 앞선 것은 알지만 뒤를 잇는 생각이 억압을 당해 도저히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불쾌한 생각이나 느낌들을 의식화시키지 않으려는 노력이다.
예)좋지 않는 기억이 잘 생각나지 않는 경우
25)주지화(intellectualization)
주지화란, 정서와 충동을 누르기 위해 관련된 것을 경험하기 보다는 생각을 함으로써 불안을 해소하려는 심리기전이다. 이는 여러모로 체계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그 생각에 붙은 정서는 살짝 빼버림으로써 용납 못할 충동에 기인해서 오는 불안을 막는 책략이다.
자신의 예)담배의 안좋은 점은 파악을 하고 있지만 스트레스를 없애는 데 좋다는 변명아래 계속적인 흡연을 하고있는 경우
26)유머(humor)
자신이 가진 욕구나 느낌을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하지 않게 하면서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신의 성적이고 공격적인 욕구를 유머라는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발산하는 것이다.
자신의 예) 상대방과 싸우거나 어려운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사이에 딱딱한 분위기의 전환을 위해 유머를 함으로써 그 분위기를 부드럽게 누그러트리는 경우.
27)이타주의(altruism)
문자 그대로 타인의 본능적 욕구충족을 건설적인 면으로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동일시, 공감, 승화 등의 기제가 작용한다.
예)학업성취도에서 여동생과의 라이벌 관계를 포기하고 여동생이 공부를 잘하도록 도와주는 언니.
28)승화(sublimation)
용납되지 않는 충동을 억압으로 충분히 해결하지 못했을 때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형태로 둔갑시켜 의식세계로 나가게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장 건강한 형태의 방어기제이다. 예를 들어 예술은 성적 욕망의 승화요, 종교는 막강한 아버지를 찾는다는 의존심의 승화, 의사가 되는 길은 잔인한 충동을 승화시키는 길이다. 승화는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을 통해 나타난다.
자신의 예)갑작스러운 불만적인 욕구를 운동으로 품으로써 기분을 전환 시키는 경우
29)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
내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자신의 부분을 상대에게 투사시키며, 상대가 투사된 부분을 동일시하도록 유도하고 조종하는 방어기전이다.
예)어느 가난한 시골의 내과 의사에게 치료받는 여자 환자는 주치의를 아주 흠모하였다. 그녀는 시골에 사는 것에 불만이 많았고 틈만 나면 도시로 이주하고자 하였다. 하루는 ‘왜 이런 시골에서 개업하고 있냐’고 주치의를 경멸하였다. 주치의는 기분이 나빴으나 그녀의 말에 공감하고 얼마 후 도시로 떠났다.
30)꿈(dream)
꿈은 단일한 방어기제 라기 보다는 다양한 방어기제들의 복합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방어기제의 이해를 돕는 도구가 된다. 꿈은 내적 갈등을 해결해 주고 불안을 방어해 주는 역할을 한다. 꿈의 내용은 발현몽과 잠재몽이 있다. 발현몽은 꿈을 꾸면서 본 내용이고 잠재몽은 발현몽을 일으킨 무의식의 내용이다. 잠재몽이 꿈의 작업을 통해 발현몽으로 나타난다. 끔의 작업에는 압축, 전치, 상징화, 퇴행 등의 기적이 작용한다. 끔은 다음 4가지 근원에서 나온다.
첫째, 과거의 기억이나 환상 : 시험에 탈락하는 아픈 기억을 가진 사람은
자신의 예)지나가는 여성을 보고 계속 처다 보면서 다 지나 가면은 이러면 안되지 하면서 자신의 마음을 추수리는 경우
24)차단(blocking)
차단이란, 몇 가지 서로 연결된 생각들 가운데서 앞선 것은 알지만 뒤를 잇는 생각이 억압을 당해 도저히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을 말한다. 불쾌한 생각이나 느낌들을 의식화시키지 않으려는 노력이다.
예)좋지 않는 기억이 잘 생각나지 않는 경우
25)주지화(intellectualization)
주지화란, 정서와 충동을 누르기 위해 관련된 것을 경험하기 보다는 생각을 함으로써 불안을 해소하려는 심리기전이다. 이는 여러모로 체계적인 생각을 많이 하고, 그 생각에 붙은 정서는 살짝 빼버림으로써 용납 못할 충동에 기인해서 오는 불안을 막는 책략이다.
자신의 예)담배의 안좋은 점은 파악을 하고 있지만 스트레스를 없애는 데 좋다는 변명아래 계속적인 흡연을 하고있는 경우
26)유머(humor)
자신이 가진 욕구나 느낌을 자신이나 타인에게 불쾌하지 않게 하면서 공개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한다. 즉, 자신의 성적이고 공격적인 욕구를 유머라는 의사소통 기술을 사용하여 사회적으로 용납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발산하는 것이다.
자신의 예) 상대방과 싸우거나 어려운 문제에 대해 이야기를 하는 사이에 딱딱한 분위기의 전환을 위해 유머를 함으로써 그 분위기를 부드럽게 누그러트리는 경우.
27)이타주의(altruism)
문자 그대로 타인의 본능적 욕구충족을 건설적인 면으로 도와주는 것을 말한다. 여기에는 동일시, 공감, 승화 등의 기제가 작용한다.
예)학업성취도에서 여동생과의 라이벌 관계를 포기하고 여동생이 공부를 잘하도록 도와주는 언니.
28)승화(sublimation)
용납되지 않는 충동을 억압으로 충분히 해결하지 못했을 때 사회적으로 용납되는 형태로 둔갑시켜 의식세계로 나가게 하는 것을 말한다. 따라서 가장 건강한 형태의 방어기제이다. 예를 들어 예술은 성적 욕망의 승화요, 종교는 막강한 아버지를 찾는다는 의존심의 승화, 의사가 되는 길은 잔인한 충동을 승화시키는 길이다. 승화는 각종 예술, 문화, 종교, 과학 및 직업을 통해 나타난다.
자신의 예)갑작스러운 불만적인 욕구를 운동으로 품으로써 기분을 전환 시키는 경우
29)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
내적으로 용납될 수 없는 자신의 부분을 상대에게 투사시키며, 상대가 투사된 부분을 동일시하도록 유도하고 조종하는 방어기전이다.
예)어느 가난한 시골의 내과 의사에게 치료받는 여자 환자는 주치의를 아주 흠모하였다. 그녀는 시골에 사는 것에 불만이 많았고 틈만 나면 도시로 이주하고자 하였다. 하루는 ‘왜 이런 시골에서 개업하고 있냐’고 주치의를 경멸하였다. 주치의는 기분이 나빴으나 그녀의 말에 공감하고 얼마 후 도시로 떠났다.
30)꿈(dream)
꿈은 단일한 방어기제 라기 보다는 다양한 방어기제들의 복합작용을 통해 형성되며, 방어기제의 이해를 돕는 도구가 된다. 꿈은 내적 갈등을 해결해 주고 불안을 방어해 주는 역할을 한다. 꿈의 내용은 발현몽과 잠재몽이 있다. 발현몽은 꿈을 꾸면서 본 내용이고 잠재몽은 발현몽을 일으킨 무의식의 내용이다. 잠재몽이 꿈의 작업을 통해 발현몽으로 나타난다. 끔의 작업에는 압축, 전치, 상징화, 퇴행 등의 기적이 작용한다. 끔은 다음 4가지 근원에서 나온다.
첫째, 과거의 기억이나 환상 : 시험에 탈락하는 아픈 기억을 가진 사람은
추천자료
심리상담 방어기제
[청소년심리A+] 안나 프로이드(Anna Freud) 방어기제 개념과 위계서열
안나 프로이드의 방어기제를 설명하고 토론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사용되는 방어기제
자신의 영유아기의 경험에 비추어볼 때 부모와의 심리적인 갈등상황을 피하기 위해 사용했던 ...
자신이 자주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인지 실례를 들어 이야기해봅시다. -요소,유형 포함
내가 주로 사용하는 방어기제는 무엇이며 어떠한 상황에서 주로 어떻게 작용하는지 실제 예를...
프로이드의 방어기제에 대한 실제 사례를 기술하십시오.
심리적으로 자아가 불안에 대처할 때 작동하는 심리적 방어기제의 종류별 개념을 설명하고, ...
자신이 일방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방어기제 3가지를 설명하고 그 예를 기술
[아동발달] 방어기제에 대하여 개념을 정리하시오 [방어기제]
자아방어기제 종류 및 사례를 서술하시오
사회복지실천기술론 과제 _자신이 실생활에서 방어기제를 사용하였던 5가지 이상의 사례를 작...
프로이드 이론에 대한 평가 및 일상 및 복지실천현장, 매체에서 프로이드의 방어기제를 적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