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목차
네오 모더니즘(Neo Modernism)의 역사적 배경
네오 모더니즘(Neo Modernism)의 개념 및 정의
미국다운 모더니즘
리차드 마이어(Richard Meier)
마이클 그레이브스(Michael Graves)
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찰스 과스메이(Charles Gwathmey) 1938~
존 헤이덕(John Quentin Hejduk) 1929~2000
*1990년대의 네오 모더니즘
* 1990년대 네오 모더니즘 -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
* 1990년대 네오 모더니즘 - 네오 데 스테일 건축
네오모더니즘의 총체적 정리
네오 모더니즘(Neo Modernism)의 개념 및 정의
미국다운 모더니즘
리차드 마이어(Richard Meier)
마이클 그레이브스(Michael Graves)
피터 아이젠만 (Peter Eisenman)
찰스 과스메이(Charles Gwathmey) 1938~
존 헤이덕(John Quentin Hejduk) 1929~2000
*1990년대의 네오 모더니즘
* 1990년대 네오 모더니즘 -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
* 1990년대 네오 모더니즘 - 네오 데 스테일 건축
네오모더니즘의 총체적 정리
본문내용
한 가지 중요한 구별기준으로 네오 뉴욕 파이브 건축은 1980년대부터 많이 나타나기 시작한다는 점을 들 수 있다. 앤터니 에임스와 에일리히는 이와 같은 기준에서 보았을 때 네오 뉴욕 파이브 건축을 대표한다고 분류될 수 있다.
1990년대 추상 경향의 네오 모더니즘은 이처럼 뉴욕 파이브 건축으로부터 일정 부분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추상 경향의 네오 모더니즘은 역사적, 양식사적인 의미에서 뉴욕 파이브 건축과는 결정적인 차이점 한 가지를 갖는다. 그것은 모더니즘 건축의 리바이벌에 대한 시대적 타당성 문제에서 뉴욕 파이브 건축이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던 데 반해 1990년대에는 이 문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워졌다는 사실이다. 1990년대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모더니즘 건축은 부분적으로나마 일단 한번 소멸되었던 양식으로 볼 수 있으며 1920년대 추상 아방가르드 건축을 대표양식으로 삼은 모더니즘 리바이벌 현상에 대해 충분한 동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990년대 네오 모더니즘 -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
르 코르뷔지에가 1926년에 출판된 알프레드 로트의 책에서 발표한 소위 말아하는 ‘근대건축의 5원칙’은 백년 이상 계속되어온 신건축 투쟁의 승리를 상징하는 중요성을 갖는다. 이것은 르 코르뷔지에 자신으로 보자면 1914년의 도미노 시스템에서 시작된 신건축의 노력이 10여 년의 기간을 거치면서 완성된 중요성을 갖는다. 이 기간 동안을 꼬르뷔지에는 일련의 빌라 시리즈를 통해서 자신의 모더니즘 건축이론에 대한 다양한 실험들을 하였고 그 내용들을 최종적으로 정리한 것이 바로 근대건축의 5원칙이다. 근대건축 5원칙은 철근 콘크리트라는 신재료 공법에 맞는 건축 모델을 찾는 노력이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상징성을 갖는다. 실제로 르 코르뷔지에가 근대건축 5원칙과 빌라 시리즈를 통해 제시한 콘크리트 건축 모델은 이후 현대 건축에서 마치 바이블과 같은 절대성을 가지며 전세계로 퍼져 나갔으며 지금도 대부분의 건물이 바로 이 방식으로 지어지고 있다.
1920년대는 이외에도 모더니즘 건축의 완성을 알리는 많은 건축 모델들이 제시된 시기였다. 이런 모델들은 백색추상을 기본 조형관으로 추구한 공통점을 가지며 이런 점에서 추상 아방가르드 건축이라 불린다. 혹은 이런 모더니즘 건축을 대표한다는 의미에서 성기 모더니즘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코르뷔지에 빌라는 다시 성기 모더니즘의 백색추상 건축을 대표하는 것으로 얘기된다. 이러한 코르뷔지에 빌라는 도미노 시스템을 구조골격으로 삼아 근대건축의 5원칙이 다양하게 적용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내용들은 대부분 후대 건축가들에 의해 차용되면서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이라는 하나의 큰 흐름을 형성하였다. 최초의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이라고 할 수 있는 뉴욕 파이브 건축에서 시작된 이런 리바이벌 경향은 1990년대 들어서 더 큰 흐름으로 발전하여 나타나고 있다.
르 코르뷔지에의 5원칙 가운데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에서 리바이벌의 대상으로 차용하는 어휘는 옥상 정원을 제외한 수평창, 자유 평면, 자유 입면, 필로티의 네가지이다. 이 가운데 자유평면은 굳이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의 결과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많다. 코르뷔지에 빌라에서 자유평면은 자유공간으로 구체화되었으며 자유공간은 이후 현대건축에서 복합공간으로 발전하였다. 복합공간은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만의 어휘라고 하기보다는 모더니즘 건축 전반에 걸친 공간의 자연스러운 발전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복합공간은 르 코르뷔지에의 자유평면 한 가지로부터만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고 여러 갈래의 출처를 갖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에서는 코르뷔지에 빌라를 구성하는 5원칙 가운데 수평창, 자유입면, 필로티의 세 가지가 주로 차용된다고 정리될 수 있다.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건축가 스테파네 빌은 원본 모델로서의 코르뷔지에 빌라가 갖는 원형성에 충실한 특징을 보인다. 빌은 이러한 충실함을 바탕으로 코르뷔지에 빌라에 대한 몇 가지 재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그 내용은 미니멀리즘적 가능성과 맥락주의적 가능성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하우스 P는 코르뷔지에 빌라의 원형성에 충실한 빌의 네오 코르뷔지안적 경향을 잘 보여주는 예이다. 이 건물은 필로티로 받쳐진 코르뷔지에 빌라를 기본요소로 삼아 구성되어 있다. 이런 모습은 마치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이에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하다. 이 같은 유사성은 빌의 다른 모든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반복된다.
그러나 빌이 보여주는 이러한 유사성은 단순 복사로 느껴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미니멀리즘과 맥락주의라는 시대상황에 대한 재해석이 시도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니멀리즘적 해석은 빌라 윤곽과 창 처리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원형어휘를 단순화시킨 특징으로 나타난다. 맥락주의적 해석은 재료와 색채 사용에서 벨기에의 전통정서가 반영된 특징으로 나타난다. 미니멀리즘과 맥락주의는 현대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경향들로서 코르뷔지에 빌라를 이용하여 이러한 고민들이 표현되었다면 이것은 과거의 양식 단위를 바탕으로 동시대의 새로운 상황을 포괄해 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네오’ 양식이 성립되기 위한 기본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빌은 원본 모델로서의 코르뷔지에 빌라를 대표하는 특징적 이미지를 농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이 네오 모더니스트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차용된 모더니즘 원본 모델을 응용적으로 각색함으로써 새롭게 바뀐 동시대의 시대상황을 표현해내고 있다. 이러한 빌의 전략은 네오 모더니즘의 적절한 예로 보인다.
빌의 로저 라빌 박물관은 코르뷔지에 빌라를 이용한 미니멀리즘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잘 보여주는 예이다. 이 건물에서는 코르뷔지에 빌라를 상징하는 수평창 하나만으로 실내공간이 구성되고 있다.
이런 수평창은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여 있으며 벽에는 백색 마감 이외에는 아무것도 더해져 있지 않다. 실내는 수평창을 통해서 들어오는 빛과 이 빛이 백색 벽에 반사되는 상태만으로 공간적 특징이 결정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수평창, 무채색,
1990년대 추상 경향의 네오 모더니즘은 이처럼 뉴욕 파이브 건축으로부터 일정 부분 영향을 받았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990년대 추상 경향의 네오 모더니즘은 역사적, 양식사적인 의미에서 뉴욕 파이브 건축과는 결정적인 차이점 한 가지를 갖는다. 그것은 모더니즘 건축의 리바이벌에 대한 시대적 타당성 문제에서 뉴욕 파이브 건축이 적지 않은 비판을 받았던 데 반해 1990년대에는 이 문제로부터 비교적 자유로워졌다는 사실이다. 1990년대의 입장에서 보았을 때 모더니즘 건축은 부분적으로나마 일단 한번 소멸되었던 양식으로 볼 수 있으며 1920년대 추상 아방가르드 건축을 대표양식으로 삼은 모더니즘 리바이벌 현상에 대해 충분한 동의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 1990년대 네오 모더니즘 -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
르 코르뷔지에가 1926년에 출판된 알프레드 로트의 책에서 발표한 소위 말아하는 ‘근대건축의 5원칙’은 백년 이상 계속되어온 신건축 투쟁의 승리를 상징하는 중요성을 갖는다. 이것은 르 코르뷔지에 자신으로 보자면 1914년의 도미노 시스템에서 시작된 신건축의 노력이 10여 년의 기간을 거치면서 완성된 중요성을 갖는다. 이 기간 동안을 꼬르뷔지에는 일련의 빌라 시리즈를 통해서 자신의 모더니즘 건축이론에 대한 다양한 실험들을 하였고 그 내용들을 최종적으로 정리한 것이 바로 근대건축의 5원칙이다. 근대건축 5원칙은 철근 콘크리트라는 신재료 공법에 맞는 건축 모델을 찾는 노력이 완성되었음을 알리는 상징성을 갖는다. 실제로 르 코르뷔지에가 근대건축 5원칙과 빌라 시리즈를 통해 제시한 콘크리트 건축 모델은 이후 현대 건축에서 마치 바이블과 같은 절대성을 가지며 전세계로 퍼져 나갔으며 지금도 대부분의 건물이 바로 이 방식으로 지어지고 있다.
1920년대는 이외에도 모더니즘 건축의 완성을 알리는 많은 건축 모델들이 제시된 시기였다. 이런 모델들은 백색추상을 기본 조형관으로 추구한 공통점을 가지며 이런 점에서 추상 아방가르드 건축이라 불린다. 혹은 이런 모더니즘 건축을 대표한다는 의미에서 성기 모더니즘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리고 코르뷔지에 빌라는 다시 성기 모더니즘의 백색추상 건축을 대표하는 것으로 얘기된다. 이러한 코르뷔지에 빌라는 도미노 시스템을 구조골격으로 삼아 근대건축의 5원칙이 다양하게 적용된 내용으로 이루어진다. 이런 내용들은 대부분 후대 건축가들에 의해 차용되면서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이라는 하나의 큰 흐름을 형성하였다. 최초의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이라고 할 수 있는 뉴욕 파이브 건축에서 시작된 이런 리바이벌 경향은 1990년대 들어서 더 큰 흐름으로 발전하여 나타나고 있다.
르 코르뷔지에의 5원칙 가운데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에서 리바이벌의 대상으로 차용하는 어휘는 옥상 정원을 제외한 수평창, 자유 평면, 자유 입면, 필로티의 네가지이다. 이 가운데 자유평면은 굳이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의 결과로 보기 어려운 측면이 많다. 코르뷔지에 빌라에서 자유평면은 자유공간으로 구체화되었으며 자유공간은 이후 현대건축에서 복합공간으로 발전하였다. 복합공간은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만의 어휘라고 하기보다는 모더니즘 건축 전반에 걸친 공간의 자연스러운 발전과정으로 보아야 한다. 복합공간은 르 코르뷔지에의 자유평면 한 가지로부터만 영향을 받은 것이 아니고 여러 갈래의 출처를 갖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았을 때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에서는 코르뷔지에 빌라를 구성하는 5원칙 가운데 수평창, 자유입면, 필로티의 세 가지가 주로 차용된다고 정리될 수 있다.
네오 코르뷔지안 건축의 특징을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건축가 스테파네 빌은 원본 모델로서의 코르뷔지에 빌라가 갖는 원형성에 충실한 특징을 보인다. 빌은 이러한 충실함을 바탕으로 코르뷔지에 빌라에 대한 몇 가지 재해석의 가능성을 보여주는데, 그 내용은 미니멀리즘적 가능성과 맥락주의적 가능성 두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하우스 P는 코르뷔지에 빌라의 원형성에 충실한 빌의 네오 코르뷔지안적 경향을 잘 보여주는 예이다. 이 건물은 필로티로 받쳐진 코르뷔지에 빌라를 기본요소로 삼아 구성되어 있다. 이런 모습은 마치 르 코르뷔지에의 빌라 사보이에를 그대로 옮겨 놓은 듯하다. 이 같은 유사성은 빌의 다른 모든 작품들에서 공통적으로 반복된다.
그러나 빌이 보여주는 이러한 유사성은 단순 복사로 느껴지지 않는데 그 이유는 이것을 출발점으로 삼아 미니멀리즘과 맥락주의라는 시대상황에 대한 재해석이 시도되고 있기 때문이다. 미니멀리즘적 해석은 빌라 윤곽과 창 처리에서 르 코르뷔지에의 원형어휘를 단순화시킨 특징으로 나타난다. 맥락주의적 해석은 재료와 색채 사용에서 벨기에의 전통정서가 반영된 특징으로 나타난다. 미니멀리즘과 맥락주의는 현대건축을 대표하는 건축경향들로서 코르뷔지에 빌라를 이용하여 이러한 고민들이 표현되었다면 이것은 과거의 양식 단위를 바탕으로 동시대의 새로운 상황을 포괄해 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네오’ 양식이 성립되기 위한 기본조건을 만족시킨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빌은 원본 모델로서의 코르뷔지에 빌라를 대표하는 특징적 이미지를 농축적으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이 네오 모더니스트임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그리고 이렇게 차용된 모더니즘 원본 모델을 응용적으로 각색함으로써 새롭게 바뀐 동시대의 시대상황을 표현해내고 있다. 이러한 빌의 전략은 네오 모더니즘의 적절한 예로 보인다.
빌의 로저 라빌 박물관은 코르뷔지에 빌라를 이용한 미니멀리즘적 재해석의 가능성을 잘 보여주는 예이다. 이 건물에서는 코르뷔지에 빌라를 상징하는 수평창 하나만으로 실내공간이 구성되고 있다.
이런 수평창은 벽체와 바닥이 만나는 가장 아랫부분에 위치하여 있으며 벽에는 백색 마감 이외에는 아무것도 더해져 있지 않다. 실내는 수평창을 통해서 들어오는 빛과 이 빛이 백색 벽에 반사되는 상태만으로 공간적 특징이 결정된다. 르 코르뷔지에의 수평창, 무채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