슬관절전치환술 THRA 간호과 케이스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슬관절전치환술 THRA 간호과 케이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본 론
◎ 골관절염(osteoarthritis)이란?
◎ 슬관절 전치환술(Total Knee Replacement)이란?
1. 문헌고찰
2. 간호과정 적용
3. 간호진단에 따른 간호계획, 수행 및 평가

Ⅲ. 결 론
1) 사례요약

본문내용

병상련의 아픔을 서로 위로 하면서 통증을 조절 하도록 하였다.
평가
환자의 통증호소의 횟수는 줄어들었으며 웃는 횟수가 늘어났다.
#2 수술과 관련된 운동 장애 (Impaired physical mobility)
S : “ 주치의가 수술하고 움직이면 안된다고 해서 움직일수가 없어요.”
“ 수술한곳이 아파서 움직일수가 없어요.”
O: 환자는 수술부위에 붕대를 감고 있어서 신체적 운동이 불가능하다.
수술한곳 때문에 마음대로 움직일수가 없다.
목표 : 환자 스스로 ROM을 최대한 운동시켜 추후 근육쇠약을 방지하며 현재의
불편을 감소시킨다.
계획
1) 능동적인 운동을 교육시키고 최소한 하루에 2~3번 실시하도록 한다.
2) 저항운동을 교육, 감시 한다.
3) 능동적인 운동이 불가능한 환자에 대해 수동적인 관절운동을 수행한다.
4) 등장성, 등척성 운동을 교육, 감시한다.
5) 매1~2시간 마다 환자가 돌아 눕도록 교육하고 도와준다.
6) 활동수준을 증가시키도록 한다.
7) 자가간호 활동을 하도록 환자를 격려한다.
8) 베개등 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적절한 체위가 유지되도록 환자를 돕는다.
9) 필요한 경우 삼각걸이를 대어준다.
10)영양가가 높으면서 좋아하는 음식을 선택할수 있게 환자를 돕는다.
11)필요한 경우 영양사에게 의뢰한다.
12)실제의 음식 섭취를 관찰한다.
13)환자에게 의미 있는 오락을 제공한다.
14)가족들에게 환자가 운동을 할수 있도록 교육한다.
15)매시간 심호흡과 기침을 하도록 교육한다.
16)호흡수와 깊이, 호흡음, 호흡성 산성증 및, 호흡장애의 징후를 계속적으로 파악한다.
17)매시간 다리 운동을 하도록 권장한다.
18)정맥을 압박하지 않도록 교육한다.
19)탄수화물 단백질 Vit C, 수분이 적절한 식사를 통해 제공된다.
수행
1) 환자가 수술부위의 통증 때문에 움직일수 없어서 보호자분이 수동적으로 관절운동을 시행하도록 교육을 하였다.
2) 계속 한자세로 누워 있을 경우 욕창등과 다른 근육의 약화를 방지하기 위해 1~2시간마다 돌아 눕 도록 교육하였다.
3) 근육량이 많이 쇠퇴되었으므로 단백질과 탄수화물 등 고영양식이를 권장하였다.
4) 환자가 운동이라 생각 못하도록 하고 낚시할때 어떻게 하냐고 하니 직접 시범을 보이면서 관절등 을 운동하였다.
5) 수술부위에 심하게 자극이 되지 않을정도로 하여서 운동하도록 하였으며 왼발을 최대한 운동시켰 다.
평가
환자 스스로 움직일수 있는 범위를 증가 시켰으며 부동자세에서 올수 있는 증상들을
완화 시켰다.
#3.수술부위 절개와 관련된 감염 가능성(Potential for infection)
S : \"상처부위 이대로 두면 감염되는거 아니예요?“
“상처부위가 따끔거리고 간지러운데 감염 된건 아니죠?”
O : 환자가 상처부위가 미생물에 의해 감염이 될까 걱정하고 있다.
목표 : 무균적으로 환자에게 접근하여 감염가능성을 줄이고 환자의 걱정을 덜어준다.
계획
1)매 2시간 마다 활력징후 확인한다.
3)매 4시간마다 감염의 증상과 징후를 사정하고 기록한다.
2)감염의 발견을 위해 임상검사치를 사정한다.
4)감염의 존재를 감시하기 위해 필요하면 검사물을 체취한다.
5)다른환자를 만질때는 손을 씻는다.
6)매일 피부간호와 구강간호를 실시한다.
7)창상간호를 위해 적절한 드레싱을 실시한다.
8)필요하면 더러워진 드레싱을 교환한다.
9)기침과 심호흡운동, 호흡 보조기사용, 이상의 필요성, 창상과 피부간호를 교육한다..
10)올바른 수세법, 감염위험 증가요인, 감염증상과 징후를 환자와 가족에게 교육한다.
수행
1)활력징후는 정상으로 나왔다. (B/P : 130-70 P : 76 R : 20 T : 36.8)
9/1
10:00
12:00
14:00
16:00
T
36.8
36.8
36.4
366
P
70
72
78
78
R
20
22
22
20
B/P
130/90
140/70
140/80
140/70
2)임상검사도 정상으로 나왔다.
WBC
LYMP
MONO
EOS
BASO
LVC
MPV
9/1
12.1
20.40
5.20
1.80
0.20
1.10
8.10
3)다른 환자들과 같이 할 때는 항상 손을 깨끗히 씻었다.
4)환자분이 자꾸 거즈가 떨어진다고 해서 새것으로 갈아주었다. 손을 깨끗히 씻고 멸균 글러브를 착용 하여 실시하였다.
5)보호자분에게 환자의 상처부위를 깨끗히 하기 위해서는 손씻기와 환의 세탁물 관리에 철저히 하도록 교육하였다.
평가
환자의 임상 결과치에 대한 적절한 설명을 하고 감염을 줄이기 위한 내용을 교육하니
어느정도 안심되는 표정을 보였다.
그리고 환자의 감염을 줄이기 위해 수행한 결과 감염이 되지 않았다.
#4. 통증과 관련된 수면장애
S : “수술한곳 때문에 잠을 잘 못자겠어요”
“낮에 많이 자버려서 잠이 오질 않아요”
O : 환자의 생활양식이 변하고 수술한곳의 통증 때문에 충분한 수면을 이루지
못하고 있다
목표 : 간호과정을 통하여 환자의 수면장애요소를 제거하고 수면장애를 없앤다.
계획
1)환자와 가족에게 수면과 휴식욕구에 대해 교육하고 수면장애 요인에 대해 이야기 해본다.
2)환자의 수면을 방해할 수 있는 생리적, 심리적, 생활양상적 환경요인을 환자 및 가족과
함께 의논한다.
3)환자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결정한 수면 증진 방법을 평가한다.
4)환자의 과거와 현재의 수면 및 활동양상을 사정한다.
5)낮동안 깨어있을수 있는 방법을 교육하고 시행하도록 하며 감시한다.
6)정상적인 수면을 돕도록 위하여 최소한 90분간의 낮잠을 계획한다.
7)환자로 하여금 최적의 수면을 취했다고 느끼게 할 수 있는 방법을 수행한다.
8)안락함, 이완, 행복감을 증진한다.
9)잠을 깨우는 것을 최소화한다(밤에 불필요한 불빛 소리등을 없앤다.)
10)매일매일 수면증진 요법의 효과를 사정한다.
수행
1) 환자는 현재 수술한곳 때문에 침상에서만 있는상태여서 낮잠을 많이 자는 상태여서
낮에는 최소한의 낮잠만을 자도록 교육하였다.
2) 농사일을 하여서 환자는 원래 잠이 많이 없다고 하였으며 이전생활과 비슷하도록 침상에서
몸을 사용하여서 피곤해지도록 권유하였다. ( 운동, 장기, 바둑...)
3) 바로 옆에 계단과 화장실등이 있어서 불
  • 가격2,0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9.05.13
  • 저작시기2009.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50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