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 케이스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문헌고찰
◎ 자궁근종이란?
◎ 자궁근종의 원인
◎ 자궁근종의 종류
◎ 자궁근종의 증상
◎ 자궁근종의 치료
◎ 자궁적출후의 후유증

Ⅲ. 간호과정

간호진단
#1. 수술과 관련된 통증
#2.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3. 입원, 수술과 관련된 불안감
#4. 수술(자궁적출술)과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위험성

본문내용

통증부위를 지지해준다.
→ 통증부위를 지지해줌으로써 통증과 출혈예방을 한다.
6. PCA 사용법을 알려준다.
7. 열요법, 냉요법으로 통증을 완화시켜준다.
→ 열요법, 냉요법시 통증이 완화된다.
8. 관심을 다른 곳으로 유도한다.
9. 안위증진(마사지, 이완요법, 체위변경)을 위한 간호수행을 한다.
10. 처방된 진통제를 투여한다.
수행
1. 대상자에게 1~10점까지 두고 분만시 통증을 10점이라고 했을 때 10점이라고 말했다.
2. 수술 후 V/S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14:00
14:30
15:00
15:30
BP
150/80
110/70
110/70
110/70
P
66
78
72
78
T
36.5
36.5
36.5
36.5
3. 수술 후 모래주머니와 복대로 수술부위를 지지해주었다.
4. 수술 후 심호흡과 기침을 격려해 수술 후 합병증을 예방하도록 하였다.
5. 진통이 심할시에 PCA 버튼을 누르면 진통제가 더 많이 들어간다고 설명하고 너무 자주 사용할 시에 오심, 구토 증상과 혈압이 떨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평가
환자의 통증호소가 줄어들었으며 가벼운 활동이 가능해졌다.
수행 후 대상자가 통증점수에서 3점이라고 말하였다.
#2. 수술 후 통증과 관련된 활동의 지속성 장애
s : “수술부위가 아파서 잘 움직일 수가 없어요”
“허리가 아파서 일어서지 못하겠어요”
o : 수술 후 침대에 계속 머무르는 모습이 관찰된다.
목표
대상자는 통증이 사라지고 활동에 어려움이 없다.
계획
1. 통증부위를 사정한다.
→ 대상자가 어느 정도의 통증을 느끼는지 확인하고 진단을 내리기 위함이다.
2. V/S을 확인한다.
→ 출혈여부,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3. 통증 부위를 지지해준다.
→ 통증부위를 지지해줌으로써 통증과 출혈예방을 한다.
4. 안위증진을 위한 수행을 한다.
5. 환자가 스스로 운동할 수 있도록 격려한다.
6. 침대에 장기간 머무를 시에 시간마다 체위변경을 교육한다.
→ 장기간 부동 시 욕창이나 피부손상위험이 있으므로 체위변경을 한다.
7. 조기이상으로 인한 합병증 예방을 교육한다.
8. 장기간 부동 시 올 수 있는 부작용에 대해 교육한다.
→ 욕창, 혈전, 색전, 저혈압등 부동시 올 수 있는 합병증에 대해 교육한다.
9. 보호자가 옆에서 지지할 수 있도록 교육한다.
수행
1. 통증 부위 사정에서 수술 부위의 통증으로 확인되었다.
2. V/S에서 별다른 징후가 없었다.
op # 1day
09:00
14:00
18:00
21:00
BP
130/80
120/70
110/70
110/70
P
76
74
68
78
T
36.5
36.5
36.5
36.5
3. 복대를 착용하게 해서 걸어 다닐 시에 통증부위가 지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4. 장기간 침상안정으로 올 수 있는 피부손상위험성이나 혈전, 색전 등이 생길 수 있다고 교육하였다.
5. 보호자와 함께 운동 할 수 있도록 많은 격려를 해주었다.
6. 조기이상으로 수술부위가 더 빨리 회복될 수 있다고 조언해주었다.
평가
대상자는 통증이 완화되었다고 말하며 복도를 걸어다니는 모습이 관찰된다.
#3. 입원, 수술과 관련된 불안감
s : “아 수술 후에도 아프면 어떻하지?”
“수술하고 나면 다 나을 수 있으려나..”
o : 수술이 언제 시작하는지 계속 물어보고 안절부절못하는 모습이 보임
목표
대상자는 불안해 하는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계획
1. 입원 후 주의사항이나 시설이용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 병동생활에 좀 더 빨리 적응하는데 도움이 된다.
2. 수술 전후 처치에 대해 설명한다.
→ 수술전후 처치에 대해 미리 설명해줌으로써 대상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킨다.
3. 수술에 대한 설명을 해준다.
4. 수술 전 금식에 대해 설명하고 금식시킨다.
→ 수술 전날부터 금식을 하게 된다고 설명하고 물섭취도 금지된다고 설명한다.
5. 유치도뇨관에 대해 설명한다.
→ 수술 후 I/O check를 하기 위함이다.
6. 정서적으로 지지해준다.
7. 관심을 다른 곳으로 유도한다.
8. 편안한 환경을 조성해준다.
수행
1. 대상자가 이용할 수 있는 휴게실이나 배선실 등의 위치를 알려주어 입원 후 생활에 적응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하였다.
2. 수술 전 금식을 하고 매니큐어나 장신구를 하고 있지 않게 교육하였다.
3. 수술에 대한 정보를 주치의에게 듣고 이해하게 하였다.
4. 수술 후 유치도뇨관을 삽입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하고 환자에게 주의점을 교육하였다.
5.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가족들과 많은 대화를 하게 하였다.
6. 대상자가 편안해 할 수 있도록 커튼을 쳐 마음의 안정을 갖도록 하였다.
평가
대상자는 불안감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았지만 입원직후의 모습보다 많이 안정된 모습을 보인다.
#4. 수술(자궁적출술)과 관련된 상황적 자긍심 저하 위험성
o : 수술 후 여성의 생식기관이 절제됨으로서 자긍심이 저하 될 수 있다.
목표
대상자는 자궁적출술에 대해 이해하고 자긍심이 증진된다.
계획
1. 자궁절제술에 대한 이해를 시켜준다.
→ 확실한 정보를 알게 됨으로써 대상자의 이해를 돕는다.
2. 정상생활이 가능하다는 인식을 심어 준다.
3. 감정을 스스로 표현하도록 도와 준다.
4. 가족이나 친지들에게 지지할 수 있도록 도와 준다.
5. 비슷한 경험을 한 사람들의 사례를 알려 준다.
6. 현실적으로 생각하도록 한다.
7. 퇴원과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한다.
8. 대상자의 말에 경청하고 관심을 가지고 대한다.
수행
1. 자궁은 절제 되나 난소에서 호르몬이 정상적으로 분비된다는 것을 알려주고 여성으로서의 자존감이 상실되지 않도록 해주었다.
2. 가족이나 친지들에게 많은 지지를 얻을 수 있도록 보호자를 격려해주었다.
3. 자궁절제술을 한 뒤에도 많은 대상자들이 예전과 같은 생활을 하고 있다고 위로해주었다.
4. 퇴원 후 계획이나 미래에 대한 계획을 물음으로써 미래에 대한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하였다.
5. 도움이 필요하면 언제든지 찾아오거나 연락을 할 수 있도록 환자를 지지해주었다.
평가
수술 후 회복 중에 있으며 예전의 모습과 같이 생활하고 있다.
대상자는 자궁절제술에 대해 이해하고 정상생활이 가능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5.13
  • 저작시기2009.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50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