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분 이상 진동기를 돌렸다. 체가름이 끝난 후 체와 시료의 무게를 잰 다음 체의 무게를 빼어서 각 체의 잔류량을 계산하였다.
2. 결과값 분석
이번 시험을 통하여 우리가 채취한 시료의 체가름 결과를 알수 있었다. 각 체의 누가통과율을 통해 입도분포곡선을 그려보았다. 입도분포곡선의 결과를 보니 그다지 많은 오차가 발생한 것 같지는 않았다. 그리고 입도분포곡선을 통해 라는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세가지 값을 통해서 곡률계수와 균등계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곡률계수( Cu ) = 9.80 , 균등계수( Cg ) = 1.17 로서 데이터시트를 참고한 결과 우리조의 시료는 좋은 입도를 가짐을 알수 있었다.
3. 비고 및 고찰
이번 체가름 실험은 작년에 토목재료학 실험을 하면서 해본 실험이라 그렇게 부담을 갖고 임하진 않았다. 방법은 작년과 거의 동일했고 No.200 체에 담아 씻는 데에서 어느 정도의 시료의 손실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4± 4 건조시킨 후 시료를 꺼내어 보았는데 입자가 큰 돌이 너무 많아 그것들을 다 빼고 시료의 무게를 재보니 34.7g 밖에 되지 않았다. 시료의 양이 너무 작아서 결과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결과를 내보니 그렇게 많은 오차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곡률계수와 균등계수를 통해서 우리조의 시료가 좋은 입도를 가짐을 알수 있었다. 처음에 학교 뒷산에서 시료를 채취할 때에 우리조의 시료가 불순물이 많고 다른 조들보다 좋지 않아 보였는데, 좋은 입도를 가진다는 게 신기하게 느껴졌다. 좋은 결과를 산출해서 기뻤고 다음 실험도 주의 깊게 최선을 다하여 임하겠다.
2. 결과값 분석
이번 시험을 통하여 우리가 채취한 시료의 체가름 결과를 알수 있었다. 각 체의 누가통과율을 통해 입도분포곡선을 그려보았다. 입도분포곡선의 결과를 보니 그다지 많은 오차가 발생한 것 같지는 않았다. 그리고 입도분포곡선을 통해 라는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 세가지 값을 통해서 곡률계수와 균등계수 값을 얻을 수 있었다. 곡률계수( Cu ) = 9.80 , 균등계수( Cg ) = 1.17 로서 데이터시트를 참고한 결과 우리조의 시료는 좋은 입도를 가짐을 알수 있었다.
3. 비고 및 고찰
이번 체가름 실험은 작년에 토목재료학 실험을 하면서 해본 실험이라 그렇게 부담을 갖고 임하진 않았다. 방법은 작년과 거의 동일했고 No.200 체에 담아 씻는 데에서 어느 정도의 시료의 손실이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24± 4 건조시킨 후 시료를 꺼내어 보았는데 입자가 큰 돌이 너무 많아 그것들을 다 빼고 시료의 무게를 재보니 34.7g 밖에 되지 않았다. 시료의 양이 너무 작아서 결과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결과를 내보니 그렇게 많은 오차가 발생하지는 않았다. 곡률계수와 균등계수를 통해서 우리조의 시료가 좋은 입도를 가짐을 알수 있었다. 처음에 학교 뒷산에서 시료를 채취할 때에 우리조의 시료가 불순물이 많고 다른 조들보다 좋지 않아 보였는데, 좋은 입도를 가진다는 게 신기하게 느껴졌다. 좋은 결과를 산출해서 기뻤고 다음 실험도 주의 깊게 최선을 다하여 임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