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 과정
Ⅲ. 결론
Ⅱ. 본론
1. 문헌고찰
2. 간호 과정
Ⅲ. 결론
본문내용
85년 1.6명까지 줄던 출산율은 1990년 1.7명까지 늘어난다.
* 2008년 1.21명 - 2000년 1.24명으로 1.2대에 들어선 뒤 현재까지 1.21명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에 1950년 47세이던 수명은 2008년 79세까지 늘어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급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다.
- 진주시 출산율
지 역
합계
출산율
모의 연령별 출산율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창원시
1.41
1.8
19.7
125.5
107.3
19.9
2.0
0.1
진주시
1.29
2.2
23.2
101.0
102.5
20.9
2.1
0.1
2) 출산율 저하현상의 원인과 대책
* 출산율 저하현상의 원인
-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고, 결혼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남성에 비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이러한 여권의 신장은 저출산율 추세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독신의 증가와 높은 이혼율 : 사회 전반적으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급속하게 바뀌었다. 결혼에 대한 강제가 많이 약화된 지금, 결혼시기가 늦어지고 있으며 가족의 대를 잇기 위해 자녀를 꼭 가져야 한다는 의식도 많이 약화되었다. 그리고 높아진 이혼율도 저 출산의 원인이 되고 있다.
- 양육비 부담의 증대 : 양육비 중 교육비는 저 출산율의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자녀 양육의 사회적 지원의 부족 : 직업이 있는 여성들을 위한 탁아소 시설이 부족하여 아이를 기르며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저출산이 더 심각하게 늘어나고 있다.
- 사회 전반의 개인주의화 심화 : 아이를 낳아 자신의 시간을 투자하자는 것 보다는 자신을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자는 개인주의가 심화되면서 저 출산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ex) 딩크족, 싱크족, DINS족(Double Income No Sex)
- 기타
- 여성 관심도의 다변화
- 부부 중심의 가족생활 선호
- 자녀보다 자신의 요구나 성취에 더 많은 관심
- 맞벌이 가족의 증대
* 출산율 저하 현상의 문제점
- 산업인력의 감소 : 기술직이나 연구 개발직 뿐 아니라 육체노동을 하는 제조업에서도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줄어든다. 사람들은 산업 현장에서 기계가 노동자를 100%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노동력의 감소는 국가 경제성장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노인의 증가와 인구의 고령화 :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었다. 노인 비율의 증가는 노인복지산업에 대한 정부의 투자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젊은 사람들이 각종 세금을 모두 책임져야 하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3) 모자보건사업
* 임산부 관리
- 대상 : 전 임산부 등록관리(진주시 거주자)
- 내용
임산부 등록관리
임산부 건강관리 및 모유수유 상담
임부 혈액검사 (혈색소, 간염, 성병, AIDS,) 및 소변검사 (당, 단백)
기형아검사(임신16주~20주), 건강 상담
라마즈 체조교실 운영 (매주 화요일 오후 4시 ~5시)
임신 20주에 영양제(철분제) 5개월 공급
임산부건강교실운영(매주화요일 오후 2시 ~4 시)
- 기간 : 년 중
- 수수료 : 무료
- 장 소 : 보건소 모자보건실 (전화 749-4952,4953)
* 교육 프로그램
라마즈 기체조교실
임신 출산의 올바른 정보제공 및 체조실습으로 자연분만을 준비하는 교육
- 대상: 임산부
- 일시: 매주화요일 오후 4시-5시
- 내용: 라마즈체조 및 산전, 산후관리 교육, 육아정보
- 장소: 보건소 보건교육실 (전화 749-2367)
임산부건강교실
임산부 건강교실운영을 통하여 임산부의 산전, 분만, 산후 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위험 임신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임신, 수유기간 중의 건강 및 영양,태교, 육아 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모성 및 영유아의 건강증진
- 대상 : 임산부
- 기간 : 1월 ~ 6월, 9월 ~ 12월
- 일시 : 매주 화요일 오후 2시 ~ 4시
- 장소 : 보건소 보건교육실
- 운영방법 : 1기 ~ 4기(각 기수에 8주간씩)
임산부 건강교실 3기 교육 일정 (2008. 9.2 ~ 10.21)
구 분
월/일
시간
교육내용
강사
1주
9월 2일
14:00 ~ 16:00
신생아 및 영유아 응급상황시 대처방법
간호사
2주
9월 9일
14:00 ~ 16:00
산전건강관리
교수
3주
9월 16일
14:00 ~ 16:00
태교
한의사
4주
9월 23일
14:00 ~ 16:00
산후 및 산욕기 건강관리
교수
5주
9월 30일
14:00 ~ 16:00
아토피 예방과 관리
한의사
6주
10월 7일
14:00 ~ 16:00
임산부 및 신생아 치아관리
치과의사
7주
10월 14일
14:00 ~ 16:00
사상체질
교수
8주
10월 21일
14:00 ~ 16:00
아토피 피부염
한의사
- 수수료 : 무료
- 문의 : (전화 749-4953.4952)
모유수유교실
모유가 아기와 엄마에게 좋은 이유, 엄마젖먹이기 단계별 실천 요령, 수유법 실습 및 지도상담
- 대상: 신혼부부, 임산부
- 일시: 매월 넷째주 목요일 오후2시
- 장소: 보건소 3층 교육실 오후2시~4시
- 비용 : 무료
* 영유아 건강관리
미숙아 의료비 지원
- 대상: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가구소득 130%이하의 가구 셋째아 이상 출생아가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인 경우(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지원)
- 의료비 신청: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 보건소에 신청(보건소 모자보건 749-4952,4953,)
- 지원금액: 본인 부담금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전액, 100만원 초과 시 100만원과 그 초과액의 80%
출생의 체중
2,500gm ~ 2000gm
2,000Kg ~ 1,500Kg
1500gm미만
최고지원금액
5백만원
7백만원
10백만원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선천성 이상아란 선천성 이상으로 사망우려가 있거나 기능적 장애가 현저하거나 기능회복이 어려운 영아임
- 대상: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가구소득 130%이하의 가구 셋째아 이상
* 2008년 1.21명 - 2000년 1.24명으로 1.2대에 들어선 뒤 현재까지 1.21명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에 1950년 47세이던 수명은 2008년 79세까지 늘어난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우리나라는 급속도로 고령화 사회로 가고 있다.
- 진주시 출산율
지 역
합계
출산율
모의 연령별 출산율
15~19세
20~24세
25~29세
30~34세
35~39세
40~44세
45~49세
창원시
1.41
1.8
19.7
125.5
107.3
19.9
2.0
0.1
진주시
1.29
2.2
23.2
101.0
102.5
20.9
2.1
0.1
2) 출산율 저하현상의 원인과 대책
* 출산율 저하현상의 원인
- 여성의 사회진출 증가 :
경제활동에 참여하는 여성의 수가 큰 폭으로 증가했고, 결혼에 대한 부정적 견해가 남성에 비해 현저하게 낮기 때문에 이러한 여권의 신장은 저출산율 추세를 계속 이어갈 것으로 보인다.
- 독신의 증가와 높은 이혼율 : 사회 전반적으로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급속하게 바뀌었다. 결혼에 대한 강제가 많이 약화된 지금, 결혼시기가 늦어지고 있으며 가족의 대를 잇기 위해 자녀를 꼭 가져야 한다는 의식도 많이 약화되었다. 그리고 높아진 이혼율도 저 출산의 원인이 되고 있다.
- 양육비 부담의 증대 : 양육비 중 교육비는 저 출산율의 가장 큰 원인이 되기도 한다.
- 자녀 양육의 사회적 지원의 부족 : 직업이 있는 여성들을 위한 탁아소 시설이 부족하여 아이를 기르며 일을 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저출산이 더 심각하게 늘어나고 있다.
- 사회 전반의 개인주의화 심화 : 아이를 낳아 자신의 시간을 투자하자는 것 보다는 자신을 위해 시간과 돈을 투자하자는 개인주의가 심화되면서 저 출산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 ex) 딩크족, 싱크족, DINS족(Double Income No Sex)
- 기타
- 여성 관심도의 다변화
- 부부 중심의 가족생활 선호
- 자녀보다 자신의 요구나 성취에 더 많은 관심
- 맞벌이 가족의 증대
* 출산율 저하 현상의 문제점
- 산업인력의 감소 : 기술직이나 연구 개발직 뿐 아니라 육체노동을 하는 제조업에서도 일할 수 있는 사람들이 줄어든다. 사람들은 산업 현장에서 기계가 노동자를 100% 대신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노동력의 감소는 국가 경제성장률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 노인의 증가와 인구의 고령화 : 의료기술의 발달로 평균 수명이 연장되었다. 노인 비율의 증가는 노인복지산업에 대한 정부의 투자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젊은 사람들이 각종 세금을 모두 책임져야 하는 부담감을 안고 있다.
3) 모자보건사업
* 임산부 관리
- 대상 : 전 임산부 등록관리(진주시 거주자)
- 내용
임산부 등록관리
임산부 건강관리 및 모유수유 상담
임부 혈액검사 (혈색소, 간염, 성병, AIDS,) 및 소변검사 (당, 단백)
기형아검사(임신16주~20주), 건강 상담
라마즈 체조교실 운영 (매주 화요일 오후 4시 ~5시)
임신 20주에 영양제(철분제) 5개월 공급
임산부건강교실운영(매주화요일 오후 2시 ~4 시)
- 기간 : 년 중
- 수수료 : 무료
- 장 소 : 보건소 모자보건실 (전화 749-4952,4953)
* 교육 프로그램
라마즈 기체조교실
임신 출산의 올바른 정보제공 및 체조실습으로 자연분만을 준비하는 교육
- 대상: 임산부
- 일시: 매주화요일 오후 4시-5시
- 내용: 라마즈체조 및 산전, 산후관리 교육, 육아정보
- 장소: 보건소 보건교육실 (전화 749-2367)
임산부건강교실
임산부 건강교실운영을 통하여 임산부의 산전, 분만, 산후 관리를 체계적으로 실시하여 위험 임신증상을 조기에 발견하고 임신, 수유기간 중의 건강 및 영양,태교, 육아 등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모성 및 영유아의 건강증진
- 대상 : 임산부
- 기간 : 1월 ~ 6월, 9월 ~ 12월
- 일시 : 매주 화요일 오후 2시 ~ 4시
- 장소 : 보건소 보건교육실
- 운영방법 : 1기 ~ 4기(각 기수에 8주간씩)
임산부 건강교실 3기 교육 일정 (2008. 9.2 ~ 10.21)
구 분
월/일
시간
교육내용
강사
1주
9월 2일
14:00 ~ 16:00
신생아 및 영유아 응급상황시 대처방법
간호사
2주
9월 9일
14:00 ~ 16:00
산전건강관리
교수
3주
9월 16일
14:00 ~ 16:00
태교
한의사
4주
9월 23일
14:00 ~ 16:00
산후 및 산욕기 건강관리
교수
5주
9월 30일
14:00 ~ 16:00
아토피 예방과 관리
한의사
6주
10월 7일
14:00 ~ 16:00
임산부 및 신생아 치아관리
치과의사
7주
10월 14일
14:00 ~ 16:00
사상체질
교수
8주
10월 21일
14:00 ~ 16:00
아토피 피부염
한의사
- 수수료 : 무료
- 문의 : (전화 749-4953.4952)
모유수유교실
모유가 아기와 엄마에게 좋은 이유, 엄마젖먹이기 단계별 실천 요령, 수유법 실습 및 지도상담
- 대상: 신혼부부, 임산부
- 일시: 매월 넷째주 목요일 오후2시
- 장소: 보건소 3층 교육실 오후2시~4시
- 비용 : 무료
* 영유아 건강관리
미숙아 의료비 지원
- 대상: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가구소득 130%이하의 가구 셋째아 이상 출생아가 미숙아 및 선천성 이상아인 경우(소득수준과 관계없이 지원)
- 의료비 신청: 퇴원일로부터 30일 이내 보건소에 신청(보건소 모자보건 749-4952,4953,)
- 지원금액: 본인 부담금이 100만원 이하인 경우 전액, 100만원 초과 시 100만원과 그 초과액의 80%
출생의 체중
2,500gm ~ 2000gm
2,000Kg ~ 1,500Kg
1500gm미만
최고지원금액
5백만원
7백만원
10백만원
선천성 이상아 의료비 지원
선천성 이상아란 선천성 이상으로 사망우려가 있거나 기능적 장애가 현저하거나 기능회복이 어려운 영아임
- 대상: 도시근로자가구 월평균가구소득 130%이하의 가구 셋째아 이상
추천자료
지역사회간호학 CBR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장 실습 보고서
지역사회간호학]-우리나라 인구구조의변화
지역사회간호학
[지역사회간호학][가족간호][Family Nursing Proces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가족진단
[지역사회간호학] 우리나라 복지정책에 대한 고찰 - 여성 복지 정책
지역사회간호학 비정규직 근로자의 건강실태 리포트
지역사회간호학) 가정사정도구
지역사회간호학) 학교건강문제관리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과정
지역사회간호학) 가족간호의 이해
지역사회간호학) 감염성 질환 A+
지역사회간호학) 산업재해 대책과 재해보상 A+
지역사회간호학-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