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목차
1. 탐험 레저스포츠
1)인공 암벽등반
2)MTB 산악자전거
2. 항공 레저스포츠
1) 행글라이딩
2) 스카이다이빙
3.실내 레저 스포츠
1)스쿼시
2)배드민턴
4. 해양 레저 스포츠
1) 스킨스쿠버
2) 윈드서핑
5. 지상 레저 스포츠
1) 인라인스케이팅
2) 게이트볼
3) 테니스
1)인공 암벽등반
2)MTB 산악자전거
2. 항공 레저스포츠
1) 행글라이딩
2) 스카이다이빙
3.실내 레저 스포츠
1)스쿼시
2)배드민턴
4. 해양 레저 스포츠
1) 스킨스쿠버
2) 윈드서핑
5. 지상 레저 스포츠
1) 인라인스케이팅
2) 게이트볼
3) 테니스
본문내용
딱하거나 무른 공은 쉽게 터지는 경향이 있다.
공은 시간이 지날수록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공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탄성이 저하되게 되는데, 외적인 영향이 없다면 아주 서서히 방출되지만, 열이나 충격(타구시)등이 가해지면 급속히 방출되는 경향이 있다. 공을 캔에 보관하여 유통시키는 이유는 공의 내부압과 캔 속의 압력을 비슷하게 만들어 공 내부에서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공을 구매 했을때 캔에 바람이 빠져 물렁물렁하다면 공 또한 바람이 빠져 있을 수 있으므로 교환하는 것이 좋다.
유압구(pressurized ball) : 가스가 들어가 있는 공
고무 코아 자체 안에 가스를 주입하여 경기하기에 최적의 상태로 공기압을 유지시켜 제작된 공을 말한다. 바운드나 탄성(물성)이 우수하여 경기용으로 많이 사용 된다. 내부의 가스의 빠짐을 차단하기 위하여 CAN (PET 또는 알루미늄)에 밀봉 처리 한다.
무압구(pressureless ball) : 가스가 들어가 있지 않은 공
유압구와 같이 내부가스로 탄성(물성)을 유지 하는것이 아닌 고무 자체의 고반발 탄성을 이용하여 만든 볼이다. 내부에 가스가 없으므로 바람이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하여도 탄성(물성)에 변화가 없다. 초보자(연습용)나 레슨용으로 장기간 사용할수 있다.
5)테니스코트
코트는 세로 23.77m(78feet), 가로 8.23m(27feet)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6) 테니스 경기 규칙
규칙1. 코트(COURT)
1. 코트는 세로 23.77m (78feet) 가로 8.23m(8.23feet)의 직사각형이다.
복식코트의 가로길이는 10.97m(36feet) 이다
2. 네트중앙 높이가 0.914m(3feet) 이고 포스트 쪽의 높이는 1.07m 이다.
3. 단. 복식 공용코트에서 복식용 네트를 치고 단식경기를 할 때 싱글스틱은
단식 사이드라인 바깥쪽 0.914m 에 세운다
싱글스틱 높이는 1.07m 지름은 7.5cm 이하이다.
4. 모든 라인 측량은 바깥쪽부터 잰다.
5. 센터마크는 너비 5cm 길이 10cm 이하이며 그 밖의 모든라인 너비는 2.5cm로 한다.
6. 베이스라인 너비는 10cm 이하이며 그 밖의 모든라인 너비는 2.5cm~5cm로 한다.
7. 모든 라인 색은 같은 색으로 한다.
8. 네트,스트랩,밴드,싱글스틱등 네트부분은 광고물을 부착할 수 없다.
9. 코트주변의 물체(광고물,의자,백스톱)는 밝은 색(White or Yellow)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10. 데이비스컵 또는 ITF공식 선수권 대회때는 베이스라인 뒤로 6.4m
사이드라인 옆으로 3.66m 이상의 스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11. 데이비스컵 월드 그룹 및 페더레이션컵 본선경기의 경우에는 베이스라인뒤로 8.23m
사이드라인 옆으로 4.57m 이상의 스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12. 클럽경기의 경우에는 베이스라인 뒤로 5.5m 사이드라인 옆으로 3.05m 이상의
스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규칙3. 볼(The Ball)
1. 볼은 흰색 또는 노란색이어야 한다.
2. 볼 바운드는 254cm 높이에서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뜨렸을 때 135cm 이상 147cm
이하까지 튀어 올라야 한다.
CASE1 : 플레이 중 선수가 볼을 잡고 바람이 빠졌다고 어필한다면?
DECISION : 그 선수의 실점이다. 바람 빠진 볼은 리플레이의 원인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그 포인트가 끝난 뒤에는 볼을 교환해야 한다.
CASE2 : 풀레이 중 볼이 터졌다면?
DECISION : 레트(Let)로 처리하고 볼을 교환해야 한다.
규칙4. 라켓(The Racket)
CASE1 : 첫 서비스가 레트된 때 리시버의 라켓 줄이 끊어졌다면?
DECISION : 리시버는 반드시 라켓을 바꿔야 한다. 풀레이 중에 스트링이 끊어지면
플레이를 계속하지만 처음부터 스트링이 끊어진 라켓으로 시작할 수 없다.
CASE2 : 첫 서비스가 폴트 되었다. 이때 리시버의 라켓스트링이 끊어졌다면?
DECISION : ①라켓을 바꾸면 서버에게 첫 서비스가 주어지고 ③ 끊어 진채 경기를 계속하면 세컨 서브가 주어진다.
CASE3 : 서버가 첫 서비스를 폴트했다. 이때 라켓의 줄이 끊어져 새 라켓으로
바꿔 왔다. 첫 서브인가, 세컨 서브인가?
DECISION : 서버의 라켓줄이 끊어질 경우는 세컨 서브다.
규칙8. 풋 폴트(FOOT FAULT)
1. 서비스를 넣는 전 기간을 통해 ①뛰거나 걷는 것에 의한 위치변경, ②규정된 이외의 구역을 밟을 경우 풋 폴트 실점한다.
2. 발을 조금 움직여도 최초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바꾸지 않았을 때는 위치 변경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3. 여기서 발이란 발목아래 다리끝 부분을 뜻한다.
CASE1 : 발의 위치가 준비시점과 스트로크 시점에서 그림과 같을 경우?
그림은 라인을 밟은 상태.
준비시점 스트로크시점
DECISION : 폴트다.
CASE2 : 서버가 배구에서처럼 뛰어서 서브했다면?
DECISION : 폴트다.
CASE3 : 서브가 볼을 토스하고 임팩트 전에 라인 엄파이어가 풋 폴트했다면?
DECISION : 실제로 풋 폴트를 했다고 해도 엄파이어의 경기방해로 간주, 두개의 서브가
주어진다 \"풋 폴트\" 콜은 임팩트 후에 해야 한다.
규칙12. 서브할 때
CASE1 : 복식경기에서 리시버의 파트너가 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컨 서브를
넣었다 이때 리시버가 \"웨이트\" 라고 콜하면서 두 선수가 다같이 플레이를
멈추고 낫 레디를 표명했다면?
DECISION : 레트, 세컨 서브다. 그러나 복식의 경우 리시버의 한 사람이 준비되었다면 그 팀이 준비된 것으로 간주한다.
규칙13. 레트(THE LET)
1. 서비스의 레트:그 서비스만 다시 한다. 그 밖의 경우의 레트는 전 포인트를 다시 한다.
2. 제1서비스가 폴트된 뒤 제2서비스가 들어갔으나 엄파이어가 인, 아웃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 레트를 콜할 필요가 있을 때는 전 포인트를 다시 한다.
3. 인플레이의 볼이 터졌을 경우 : 레트다
CASE1 : 제1서브가 폴트된 뒤 제2서브가 네트콜
공은 시간이 지날수록 삼투압 현상으로 인해 공 내부의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면서 탄성이 저하되게 되는데, 외적인 영향이 없다면 아주 서서히 방출되지만, 열이나 충격(타구시)등이 가해지면 급속히 방출되는 경향이 있다. 공을 캔에 보관하여 유통시키는 이유는 공의 내부압과 캔 속의 압력을 비슷하게 만들어 공 내부에서 가스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며, 공을 구매 했을때 캔에 바람이 빠져 물렁물렁하다면 공 또한 바람이 빠져 있을 수 있으므로 교환하는 것이 좋다.
유압구(pressurized ball) : 가스가 들어가 있는 공
고무 코아 자체 안에 가스를 주입하여 경기하기에 최적의 상태로 공기압을 유지시켜 제작된 공을 말한다. 바운드나 탄성(물성)이 우수하여 경기용으로 많이 사용 된다. 내부의 가스의 빠짐을 차단하기 위하여 CAN (PET 또는 알루미늄)에 밀봉 처리 한다.
무압구(pressureless ball) : 가스가 들어가 있지 않은 공
유압구와 같이 내부가스로 탄성(물성)을 유지 하는것이 아닌 고무 자체의 고반발 탄성을 이용하여 만든 볼이다. 내부에 가스가 없으므로 바람이 빠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하여도 탄성(물성)에 변화가 없다. 초보자(연습용)나 레슨용으로 장기간 사용할수 있다.
5)테니스코트
코트는 세로 23.77m(78feet), 가로 8.23m(27feet)의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진다.
6) 테니스 경기 규칙
규칙1. 코트(COURT)
1. 코트는 세로 23.77m (78feet) 가로 8.23m(8.23feet)의 직사각형이다.
복식코트의 가로길이는 10.97m(36feet) 이다
2. 네트중앙 높이가 0.914m(3feet) 이고 포스트 쪽의 높이는 1.07m 이다.
3. 단. 복식 공용코트에서 복식용 네트를 치고 단식경기를 할 때 싱글스틱은
단식 사이드라인 바깥쪽 0.914m 에 세운다
싱글스틱 높이는 1.07m 지름은 7.5cm 이하이다.
4. 모든 라인 측량은 바깥쪽부터 잰다.
5. 센터마크는 너비 5cm 길이 10cm 이하이며 그 밖의 모든라인 너비는 2.5cm로 한다.
6. 베이스라인 너비는 10cm 이하이며 그 밖의 모든라인 너비는 2.5cm~5cm로 한다.
7. 모든 라인 색은 같은 색으로 한다.
8. 네트,스트랩,밴드,싱글스틱등 네트부분은 광고물을 부착할 수 없다.
9. 코트주변의 물체(광고물,의자,백스톱)는 밝은 색(White or Yellow)을 쓰지 않는 것이 좋다.
10. 데이비스컵 또는 ITF공식 선수권 대회때는 베이스라인 뒤로 6.4m
사이드라인 옆으로 3.66m 이상의 스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11. 데이비스컵 월드 그룹 및 페더레이션컵 본선경기의 경우에는 베이스라인뒤로 8.23m
사이드라인 옆으로 4.57m 이상의 스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12. 클럽경기의 경우에는 베이스라인 뒤로 5.5m 사이드라인 옆으로 3.05m 이상의
스페이스가 있어야 한다.
규칙3. 볼(The Ball)
1. 볼은 흰색 또는 노란색이어야 한다.
2. 볼 바운드는 254cm 높이에서 콘크리트 바닥으로 떨어뜨렸을 때 135cm 이상 147cm
이하까지 튀어 올라야 한다.
CASE1 : 플레이 중 선수가 볼을 잡고 바람이 빠졌다고 어필한다면?
DECISION : 그 선수의 실점이다. 바람 빠진 볼은 리플레이의 원인이 되지 못한다.
그러나 그 포인트가 끝난 뒤에는 볼을 교환해야 한다.
CASE2 : 풀레이 중 볼이 터졌다면?
DECISION : 레트(Let)로 처리하고 볼을 교환해야 한다.
규칙4. 라켓(The Racket)
CASE1 : 첫 서비스가 레트된 때 리시버의 라켓 줄이 끊어졌다면?
DECISION : 리시버는 반드시 라켓을 바꿔야 한다. 풀레이 중에 스트링이 끊어지면
플레이를 계속하지만 처음부터 스트링이 끊어진 라켓으로 시작할 수 없다.
CASE2 : 첫 서비스가 폴트 되었다. 이때 리시버의 라켓스트링이 끊어졌다면?
DECISION : ①라켓을 바꾸면 서버에게 첫 서비스가 주어지고 ③ 끊어 진채 경기를 계속하면 세컨 서브가 주어진다.
CASE3 : 서버가 첫 서비스를 폴트했다. 이때 라켓의 줄이 끊어져 새 라켓으로
바꿔 왔다. 첫 서브인가, 세컨 서브인가?
DECISION : 서버의 라켓줄이 끊어질 경우는 세컨 서브다.
규칙8. 풋 폴트(FOOT FAULT)
1. 서비스를 넣는 전 기간을 통해 ①뛰거나 걷는 것에 의한 위치변경, ②규정된 이외의 구역을 밟을 경우 풋 폴트 실점한다.
2. 발을 조금 움직여도 최초의 위치를 실질적으로 바꾸지 않았을 때는 위치 변경으로 간주하지 않는다.
3. 여기서 발이란 발목아래 다리끝 부분을 뜻한다.
CASE1 : 발의 위치가 준비시점과 스트로크 시점에서 그림과 같을 경우?
그림은 라인을 밟은 상태.
준비시점 스트로크시점
DECISION : 폴트다.
CASE2 : 서버가 배구에서처럼 뛰어서 서브했다면?
DECISION : 폴트다.
CASE3 : 서브가 볼을 토스하고 임팩트 전에 라인 엄파이어가 풋 폴트했다면?
DECISION : 실제로 풋 폴트를 했다고 해도 엄파이어의 경기방해로 간주, 두개의 서브가
주어진다 \"풋 폴트\" 콜은 임팩트 후에 해야 한다.
규칙12. 서브할 때
CASE1 : 복식경기에서 리시버의 파트너가 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 세컨 서브를
넣었다 이때 리시버가 \"웨이트\" 라고 콜하면서 두 선수가 다같이 플레이를
멈추고 낫 레디를 표명했다면?
DECISION : 레트, 세컨 서브다. 그러나 복식의 경우 리시버의 한 사람이 준비되었다면 그 팀이 준비된 것으로 간주한다.
규칙13. 레트(THE LET)
1. 서비스의 레트:그 서비스만 다시 한다. 그 밖의 경우의 레트는 전 포인트를 다시 한다.
2. 제1서비스가 폴트된 뒤 제2서비스가 들어갔으나 엄파이어가 인, 아웃을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이 발생 레트를 콜할 필요가 있을 때는 전 포인트를 다시 한다.
3. 인플레이의 볼이 터졌을 경우 : 레트다
CASE1 : 제1서브가 폴트된 뒤 제2서브가 네트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