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종성 혈관내 응고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파종성 혈관내 응고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원인
2) 병태생리
3) 임상증상
4) 검사소견
5) 치료
6) 간호

본문내용

헤파린 요법을 시행하는 동안 주기적으로 platelet, fibrinogen, PT, aPTT, FDP 및 AT-Ⅲ, D-dimer를 측정.
미숙아: sepsis로 인한 DIC 경우- heparin 섞인 혈액으로 transfusion 시 도움.
④ fibrinolysis 억제제 : EACA(Epsillon(ε)-AminoCaproic Acid), tranexamic acid
심한출혈(excessive fibrinolysis)이 주증상이면서 heparin+보충요법에도 반응이 없는 경우에 사용(이외 DIC에는 금기)
EACA는 반드시 heparin(ex.LMWH low molecular weight heparin : heparin(unfractionated heparin,UFH)과 작용기전은 같지만 anti-factor Ⅹa activity에 비해 anti-thrombin activity가 약해 aPTT로 monitoring 불가능. UFH와 같은 정도의 항응고 효과를 가지면서 출혈경향이 적으나 신장으로 배설되므로 신부전시 주의.
)과 같이 사용
→ heparin 없이 투여 시 fatal thrombosis를 초래하므로.
이 약물 투여 시 심장, 신장 및 전해질에 대한 검사가 신중히 이루어져야 함.
heparin 적응증
heparin 금기증
1. 일부 chronic DIC(warfarin은 효과 없음)
AML-M3, metastatic carcinoma,
dead fetus syndrome, aortic aneurysm
2. chronic DIC 환자의 수술전
3. 대혈관의 혈전색전증 합병
4. 적극적인 보충요법에도 반응 없는 acute DIC에서
출혈증상 지속, 혈전증으로 인한 조직괴사 위험 시
(말단청색증, 신장피질괴사 등)
1. major bleeding from localized site
2. possible CNS hemorrhage
(NS procedure 등)
3. Uncontrolled HTN with diastolic pr.
>110mmHg
4. Recent surgery(최근 5일간)
6) 간호
: 질병정도에 따라 다양
① bleeding 여부, 증상, 양 등을 정확히 확인.
② 처방된 혈액제제를 투여(PC, FFP, cryoprecipitate등)
③ 적합한 검사치를 측정하고 혈전징후를 관찰.
④ 합병증 예방
- 주사는 피하고 출혈부위에는 압박을 가해주며 수시로 조심스럽게 체위 변경시도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5.1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61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