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플란트 수술 준비
2. 글러브 착용
3. 수술 부위 마취
4. 구강 내 외 소독
5. 잇몸 절개 및 골노출
6.임플란트 식립위치 표시
7.골 함요 형성(dfilling)
.
.
12.수술 후 주의사항 및 관리
2. 글러브 착용
3. 수술 부위 마취
4. 구강 내 외 소독
5. 잇몸 절개 및 골노출
6.임플란트 식립위치 표시
7.골 함요 형성(dfilling)
.
.
12.수술 후 주의사항 및 관리
본문내용
삭제된 hole안에 혈액이 차 있어야
식립되는 임프란트 포면에 환자의 혈액이 직접 닿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⑥나사산 형성
3mm twist drill로 drilling 후 임플란트 식립시 골에 과도한 내부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임플란트가 쉽게 삽입되도록 미리 골 삭제 내면 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나사형성을 할 때는 환자에게 반대측에 뭐가 닿으면 닿지 않게 입을 크게 벌려야 한다고
알려 드린다.
♡치과 위생사는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n/s을 뿌려주었다. 그리고 “자 이제 골 삭제를 시작합니다. 중간에 시큰거리거나 불편하시면 왼손들어 표시해 주세요!” 라고 환자에게 수술 진행 정도를 알려주었다.
외과용 스텐트를 구강내 적합시켜 보며 계속 식립 위치를 확인하셨다.
드릴링을 하던 중 하악에 골이 부족하여 골이식을 결정하셨다. 환자에게 상담시 골이식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어 그자리에서 동의를 받아 매끄럽게 수술이 진행 되었다.
8. 골이식
인공골을 이용하여 골이식을 하였다.
♡갑자기 결정된 골이식 이였지만 모든 변수를 미리 알고 치위생사 선생님들이 재료들을 준비해 놔서 수술에는 지장이 없었다.
골이식 재료를 bowl에 담은뒤 n/s을 골과 섞어 sugical curet을 이용하여 이종골을 하악골 내에 넣었다. 분쇄골 형태를 사용할 때는 suction tip이 이식된 분쇄골 부위에 닿아 빨아들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9. 임플란트 식립
①핸드피스에 버처럼 연결한 implant driver(핸드피스용)를 이용하여 서서히 hole 안으로 고정체를 식립한다.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지 않은 채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미리 형성된 나사홈에 장착한다.
-임프란트에 이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리트랙션을 충분히 해준다.
-임프란트가 어느 정도 들어가면 식염수를 뿌리기 시작하고 suction tip은 5m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시킨다.
②임플란트가 최종의 위치에 도달할 때 drill은 저절로 멈춘다
③핸드피스를 이용해 장착된 고정체를 hand용 implant driver와 wrench & adapter를 이용해서 조인다.
-임프란트 연결부의 내부 홈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suction한다.
-임플란트를 장착한 후에 손으로 wrench를 사용해서 조심스럽게, 정밀하게 장착한다. wrench에 있는 clutch mechanism은 임플란트를 충분히 조이고, 골에 형성된 나사홈에는 해를 주지 않는다.
♡치과 위생사 선생님은 임프란트가 식립되면서 환자에게 “임프란트는 잘 들어갔습니다. 이제 봉합만 하면 다 끝납니다.“라고 말해 주어 환자가 안심할 수 있게 해 주었다.
10. healing abutment 연결
음식물 침투를 막고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가 내려앉지 않게 하기 위해 healing abutment를
연결해 연조직을 밖으로 노출시켜 2차 수술을 생략시킨다. healing abutment는 최종 보철물과 잇몸과의 적절한 밸런스를 위해서 사용한다.
임플란트 식립이 끝나면 커버 스크루(cover screw)를 연결하여 임플란트의 가운데 나 있는 구멍으로 연조직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second 치위생사 선생님은 원장님이 불러주시는 크기에 맞는 healing abutment를 찾아 멸균된 포위에 떨어뜨렸다.
11. 봉합
①6/0 비흡수성 silk와 needle holer를 이용하여 봉합한다.
②골이식을 하여 차단막으로서의 역할(15-18주이후 생체내 흡수)을 하는 lyoplant를 사용한다.
-first assist가 lyoplant를 부착할 부위에 맞게 자른다.
-왼손에는 미러로 리트랙션을 하며, 오른손에는 suction tip을 잡는다.
-치조골능 부위의 수평절개선을 봉합할 때에는 mirror를 수직절개선의 직하방에 위치시키고 아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판막의 점막부가 겹치지 않고 바른위치에서 곧게 펴지게 한다.
-mirror로 협저막 및 혀를 retraction하여 시야와 needle이 움직일 공간을 확보한다.
-첫 번째 그리고 두번째 매듭이 완료되면 즉시 suction을 사용하여 출혈을 제거함으로써 봉합부위의 연조직 접합상태와 봉합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세번째 매듭을 하느 동안 오른손의 suction을 내려놓고 scissor로 바꾸어 잡는다.
-scissor는 엄지와 약지를 손잡이에 끼고 인지를 곧게 뻗어서 scissor의 전면부에 올려
놓는다. 중지는 치아 위나 기타 연조직부에 finger rest를 주는데 사용한다.
-매듭은 한 가닥씩 나누어서 1-2mm되는 지접에서 잘라준다. 이는 나일론 봉합사의 끝이
세워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치과 위생사선생님은 수술이 끝났음을 알려준뒤 식립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사진을 찍으셨고 second assist선생님은 환자가 방사선 사진을 찍으러 간 사이 수술했던 기구들을 재빨리 치우셨다.
환자가 사진을 찍은뒤 다시 체어로 돌아오면 얼굴에 묻은 베타딘 용액을 닦아 주셨고
first assist 선생님은 원장님과 방사선 사진을 확인하셨다.
그후 원장님은 환자에게 수술 결과를 말씀해 주셨다. second assist선생님은 주의사항을 설명해 주셨다.
12.수술 후 주의사항 및 관리
① 부종
-“수술 후 48 시간 동안은 안면부에 얼음찜질을 해 주셔야 합니다.”
why? 수술 부위를 차갑게 해줌으로써 혈류의 공급을 줄이게 되어서 부종을 줄일 수 있다.
단 지속적으로 얼음찜질을 하게 되면, 수술 부위의 빈혈과 감각이상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20분 정도 간격으로 대었다 떼었다를 반복한다.
-“수술 후 48시간이 지나면 얼음찜질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why? 이 시기부터는 혈류가 원활히 회전하여야 염증부산물과 부종이 제거된다. 계속 얼음
찜질을 하게 되면 잔여부기나 멍이 오래 남게 된다.
② 동통
술후 동통은 진통제를 처방하여 관리하게 된다.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내복약과 더불어 주사제를 처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주심한동통이 지속되거나 동통이 없다가
며칠 후에 급격히 발생하는 경우에는 감염이나 하치조 신경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이
식립되는 임프란트 포면에 환자의 혈액이 직접 닿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⑥나사산 형성
3mm twist drill로 drilling 후 임플란트 식립시 골에 과도한 내부 응력이 작용하지 않고 임플란트가 쉽게 삽입되도록 미리 골 삭제 내면 부위에 나사산을 형성한다.
-나사형성을 할 때는 환자에게 반대측에 뭐가 닿으면 닿지 않게 입을 크게 벌려야 한다고
알려 드린다.
♡치과 위생사는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n/s을 뿌려주었다. 그리고 “자 이제 골 삭제를 시작합니다. 중간에 시큰거리거나 불편하시면 왼손들어 표시해 주세요!” 라고 환자에게 수술 진행 정도를 알려주었다.
외과용 스텐트를 구강내 적합시켜 보며 계속 식립 위치를 확인하셨다.
드릴링을 하던 중 하악에 골이 부족하여 골이식을 결정하셨다. 환자에게 상담시 골이식이 있을 수도 있다는 것을 미리 알려주어 그자리에서 동의를 받아 매끄럽게 수술이 진행 되었다.
8. 골이식
인공골을 이용하여 골이식을 하였다.
♡갑자기 결정된 골이식 이였지만 모든 변수를 미리 알고 치위생사 선생님들이 재료들을 준비해 놔서 수술에는 지장이 없었다.
골이식 재료를 bowl에 담은뒤 n/s을 골과 섞어 sugical curet을 이용하여 이종골을 하악골 내에 넣었다. 분쇄골 형태를 사용할 때는 suction tip이 이식된 분쇄골 부위에 닿아 빨아들이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9. 임플란트 식립
①핸드피스에 버처럼 연결한 implant driver(핸드피스용)를 이용하여 서서히 hole 안으로 고정체를 식립한다.
-축방향으로 힘을 가하지 않은 채 핸드피스를 사용하여 임플란트를 미리 형성된 나사홈에 장착한다.
-임프란트에 이물이 닿지 않도록 주의하며, 리트랙션을 충분히 해준다.
-임프란트가 어느 정도 들어가면 식염수를 뿌리기 시작하고 suction tip은 5mm정도
떨어진 곳에 위치시킨다.
②임플란트가 최종의 위치에 도달할 때 drill은 저절로 멈춘다
③핸드피스를 이용해 장착된 고정체를 hand용 implant driver와 wrench & adapter를 이용해서 조인다.
-임프란트 연결부의 내부 홈을 식염수로 세척하고 suction한다.
-임플란트를 장착한 후에 손으로 wrench를 사용해서 조심스럽게, 정밀하게 장착한다. wrench에 있는 clutch mechanism은 임플란트를 충분히 조이고, 골에 형성된 나사홈에는 해를 주지 않는다.
♡치과 위생사 선생님은 임프란트가 식립되면서 환자에게 “임프란트는 잘 들어갔습니다. 이제 봉합만 하면 다 끝납니다.“라고 말해 주어 환자가 안심할 수 있게 해 주었다.
10. healing abutment 연결
음식물 침투를 막고 치아와 잇몸의 경계부가 내려앉지 않게 하기 위해 healing abutment를
연결해 연조직을 밖으로 노출시켜 2차 수술을 생략시킨다. healing abutment는 최종 보철물과 잇몸과의 적절한 밸런스를 위해서 사용한다.
임플란트 식립이 끝나면 커버 스크루(cover screw)를 연결하여 임플란트의 가운데 나 있는 구멍으로 연조직이 들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second 치위생사 선생님은 원장님이 불러주시는 크기에 맞는 healing abutment를 찾아 멸균된 포위에 떨어뜨렸다.
11. 봉합
①6/0 비흡수성 silk와 needle holer를 이용하여 봉합한다.
②골이식을 하여 차단막으로서의 역할(15-18주이후 생체내 흡수)을 하는 lyoplant를 사용한다.
-first assist가 lyoplant를 부착할 부위에 맞게 자른다.
-왼손에는 미러로 리트랙션을 하며, 오른손에는 suction tip을 잡는다.
-치조골능 부위의 수평절개선을 봉합할 때에는 mirror를 수직절개선의 직하방에 위치시키고 아래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판막의 점막부가 겹치지 않고 바른위치에서 곧게 펴지게 한다.
-mirror로 협저막 및 혀를 retraction하여 시야와 needle이 움직일 공간을 확보한다.
-첫 번째 그리고 두번째 매듭이 완료되면 즉시 suction을 사용하여 출혈을 제거함으로써 봉합부위의 연조직 접합상태와 봉합상태를 확인 할 수 있도록 해준다.
-세번째 매듭을 하느 동안 오른손의 suction을 내려놓고 scissor로 바꾸어 잡는다.
-scissor는 엄지와 약지를 손잡이에 끼고 인지를 곧게 뻗어서 scissor의 전면부에 올려
놓는다. 중지는 치아 위나 기타 연조직부에 finger rest를 주는데 사용한다.
-매듭은 한 가닥씩 나누어서 1-2mm되는 지접에서 잘라준다. 이는 나일론 봉합사의 끝이
세워지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치과 위생사선생님은 수술이 끝났음을 알려준뒤 식립이 잘 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방사선 사진을 찍으셨고 second assist선생님은 환자가 방사선 사진을 찍으러 간 사이 수술했던 기구들을 재빨리 치우셨다.
환자가 사진을 찍은뒤 다시 체어로 돌아오면 얼굴에 묻은 베타딘 용액을 닦아 주셨고
first assist 선생님은 원장님과 방사선 사진을 확인하셨다.
그후 원장님은 환자에게 수술 결과를 말씀해 주셨다. second assist선생님은 주의사항을 설명해 주셨다.
12.수술 후 주의사항 및 관리
① 부종
-“수술 후 48 시간 동안은 안면부에 얼음찜질을 해 주셔야 합니다.”
why? 수술 부위를 차갑게 해줌으로써 혈류의 공급을 줄이게 되어서 부종을 줄일 수 있다.
단 지속적으로 얼음찜질을 하게 되면, 수술 부위의 빈혈과 감각이상 등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20분 정도 간격으로 대었다 떼었다를 반복한다.
-“수술 후 48시간이 지나면 얼음찜질을 하지 않아야 합니다.”
why? 이 시기부터는 혈류가 원활히 회전하여야 염증부산물과 부종이 제거된다. 계속 얼음
찜질을 하게 되면 잔여부기나 멍이 오래 남게 된다.
② 동통
술후 동통은 진통제를 처방하여 관리하게 된다. 심할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는 내복약과 더불어 주사제를 처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아주심한동통이 지속되거나 동통이 없다가
며칠 후에 급격히 발생하는 경우에는 감염이나 하치조 신경 손상을 의심할 수 있다.
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