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Ⅰ. 회사개요
1. 매장개요
2. 사업전개 방향 및 향후 계획
3. 조직도
Ⅱ. 입지선정과 시설투자
1. 입지선정이유
2. 시설투자 및 계획
Ⅲ. 환경분석
1. 외식산업 개념
2. 국내외식산업의 역사
3. 외식시장규모
4. 국내외식산업의 라이프사이클
5. 환경변화 요인분석
Ⅳ. 경쟁자분석
1. 아웃백
2. TGIF
3. 마르쉐
4. 베니건스
5. 인정원
Ⅴ. STP분석
1. 시장세분화전략
2. 표적시장전략
3. 포지셔닝전략
Ⅵ. SWOT분석
Ⅶ. 7P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5. Process
6. Physical Evidence
7. People
Ⅷ. 자금 계획
Ⅸ. 재무제표
1. 매장개요
2. 사업전개 방향 및 향후 계획
3. 조직도
Ⅱ. 입지선정과 시설투자
1. 입지선정이유
2. 시설투자 및 계획
Ⅲ. 환경분석
1. 외식산업 개념
2. 국내외식산업의 역사
3. 외식시장규모
4. 국내외식산업의 라이프사이클
5. 환경변화 요인분석
Ⅳ. 경쟁자분석
1. 아웃백
2. TGIF
3. 마르쉐
4. 베니건스
5. 인정원
Ⅴ. STP분석
1. 시장세분화전략
2. 표적시장전략
3. 포지셔닝전략
Ⅵ. SWOT분석
Ⅶ. 7P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5. Process
6. Physical Evidence
7. People
Ⅷ. 자금 계획
Ⅸ. 재무제표
본문내용
84), 피자헛(’84), KFC(’84), 장터국수(’84), 신라명과(’84), 이델베르크(’84), 투모로우타이거(’84)
1980년대 말
$2194~4127
- 외식산업의 적응 성장기(중소기업, 여세업체 난립)
-식생활의 외식화, 레저화, 가공식품화 추세
-패스트푸드 및 프랜차이즈 중심이 시장선도
- 패밀리 레스토랑, 커피숍, 호프점, 베이커리 양념치킨 약진
-맥도날드(\'86), 피자인(\'88), 코코스(\'88), 도토루(\'89), 쟈뎅(\'89), 나이스데이(\'89), 크라운베이커리(\'88), 베스킨 라빈스(\'86)
1990년대 초
$5569~10000
-외식산업의 전환기(산업으로서의 정착: \'95)
-중. 대기업의 신규진출 러시 및 유명브랜드 도입
-프랜차이즈의 급성장 및 도태, 시스템의 출현(외식근대화)
-나이스 데이(캐주얼), 시즐러(패밀리), 스카이락 TGIF, 베니건스등 수많은 외식기업 도입
1990년대 말
$6500~9800
-IMF로 경기침체, 전체적인 침체,
-불황 중 실직자들의 생계수당과 고용창출 효가
-침체기에도 꾸준한 성장을 이룸
-다양한 형태의 소비패턴에 따른 점포의 변화
2000년대
$10000~18500
-웰빙문화로 인한 패스트푸드의 변화
-광우병 파동 및 조류 독감으로 일부 산업 심각한 타격
-꾸준한 발저능로 전체국민 노동력의 50%이상 고용 창출한 산업으로 발전
자료 : 한국음식업중앙회
3. 외식시장규모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등에 힘입어 외식비가 가계의 식료품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에 4.1%에서 2007년 49.5%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국내의 외식시장 규모는 1990년 18조원에서 2008년 말에는 약 51조원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라 외식시장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식산업은 이러한 양적 성장과 함께 외식소비는 다양화, 고급화, 건강지향성이 확대되는 질적 성장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말 기준으로 국내 외식산업 시장규모는 외식업체 수 75만개, 연간 매출액 58조원, 종사원 수 250만 명을 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외식산업 관련 기업들은 시스템화한 가맹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외식 창업을 촉진하고, 고용을 창출함으로써 국가경제발전에 크게 이바지해 왔다.
4. 국내외식산업의 라이프사이클
① 1970년대(도입기) :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
우리나라에서 외식시장이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한 시기는 1970년대로 이 시기를 외식산업의 도입기라 할 수 있다. 1975년 국내 최초로 ‘립스치킨’이 국내 브랜드로 프랜차이즈 형태를 도입하여 외식사업의 다점포화를 전개하였다. 또한 1979년 ‘롯데리아’는 일본 롯데리아와 합작으로 현대적 의미의 본격적인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도입하여 패스트푸드가 우리 식생활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는데 기여하였다.
②1980년대(적응기) 해외브랜드의 국내 진출 및 패스트푸드 시장 정착
이후 1980년대는 외식산업의 적응기로,’6 아시안게임과 ’8 서울올림픽 등을 거치면서
국내 외식산업은 본격적으로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80년대는 외국의 유명 외식브랜드가 국내기업과 손을 잡고 국내에 체인점을 개설한 이후 단순한 브랜드의 도입 또는 기술제휴 등의 합작투자형태로 속속 국내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웬디스(1984), 케이에프씨(1988), 피자헛(1985), 버거킹(1980), 맥도날드(1986) 등
패스트푸드업체의 진출이 활발하였다. 1988년에는 미도파가 국내 최초의 해외브랜드 패밀리레스토랑인 ‘코코스’를 도입하면서 외식산업이 다른 여타 산업과 함께 본격적으로 하나의 산업으로 주목을 받으며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③1990년대(성장기) : 해외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의 국내 본격 진출
1990년대는 국내 외식산업의 위상이 한 단계 오른 성장기에 해당한다. T.G.I.F, 스카이락,
베니건스, 씨즐러, 토니로마스, 마르쉐 등 고품격 서비스를 무기로 한 외국계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들이 잇따라 국내에 상륙하면서 외식업은 대형화 및 고급화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국민소득의 향상과 외식문화의 정착 등의 영향으로 외식산업이 성장기에 진입하면서 국내의 대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외식시장에 진입하였다. 또한 대기업의 참여로 단체급식시장은 외식산업의 한 축을 형성하면서 고성장을 하였다. 특히 90년대 외식산업이 자영업 현태의 소규모 외식업소로 명백을 유지하고 있던 기존의 국내 외식산업시장에 기업형 외식산업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④ 2000년대 초기(성숙기) :대기업의 경쟁적인참여와 경쟁심화로 기업형 외식시장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전환
90년대 이후 외국계 체인점에 의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한 패밀리레스토랑의 경우 차별화된 가격과 분위기로 고성장을 하면서 많은 대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하였다. 1997년 IMF로 인한 경기 침체의 여파로 매출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외식시장에서도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형 외식업체의 인수 및 합병이 진행되었다. 2000년대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의 증가, 가계소비 중 외식비중의 증가 등으로 외식시장의 경기가 회복되면서 기업형 외식산업이 성숙기에 진입하였다.
그림 2 국내 외식산업의 라이프사이클
자료 : 하나경제연구소
5. 환경변화 요인분석
(1) 주5일제 근무의 확대
주 5일 근무의 확산으로 확대된 휴무시간은 레저생활의 증가, 자기개발을 위한 교육시간 증가 등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현상이며 외식산업은 타 산업대비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대도시의 경우 주5일 근무제 실시 후 여가시간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전체의 47.4%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행 및 드라이브가 22.2%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외식업계의 가장 큰 변화는 과거에는 20~30대였지만 주 5일제 실시로 30~40대 고객이 확연히 증가했다는 것으로 패스트푸드 업계는 Take Out의 비중이 높은 반면 주말을 이용한 가족단위 외식의 증가로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집계되었다.
반면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도시 통계를
1980년대 말
$2194~4127
- 외식산업의 적응 성장기(중소기업, 여세업체 난립)
-식생활의 외식화, 레저화, 가공식품화 추세
-패스트푸드 및 프랜차이즈 중심이 시장선도
- 패밀리 레스토랑, 커피숍, 호프점, 베이커리 양념치킨 약진
-맥도날드(\'86), 피자인(\'88), 코코스(\'88), 도토루(\'89), 쟈뎅(\'89), 나이스데이(\'89), 크라운베이커리(\'88), 베스킨 라빈스(\'86)
1990년대 초
$5569~10000
-외식산업의 전환기(산업으로서의 정착: \'95)
-중. 대기업의 신규진출 러시 및 유명브랜드 도입
-프랜차이즈의 급성장 및 도태, 시스템의 출현(외식근대화)
-나이스 데이(캐주얼), 시즐러(패밀리), 스카이락 TGIF, 베니건스등 수많은 외식기업 도입
1990년대 말
$6500~9800
-IMF로 경기침체, 전체적인 침체,
-불황 중 실직자들의 생계수당과 고용창출 효가
-침체기에도 꾸준한 성장을 이룸
-다양한 형태의 소비패턴에 따른 점포의 변화
2000년대
$10000~18500
-웰빙문화로 인한 패스트푸드의 변화
-광우병 파동 및 조류 독감으로 일부 산업 심각한 타격
-꾸준한 발저능로 전체국민 노동력의 50%이상 고용 창출한 산업으로 발전
자료 : 한국음식업중앙회
3. 외식시장규모
소득수준의 향상과 여성의 경제활동 증가 등에 힘입어 외식비가 가계의 식료품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980년에 4.1%에서 2007년 49.5%로 크게 증가하였다. 또한 국내의 외식시장 규모는 1990년 18조원에서 2008년 말에는 약 51조원에 이르고 있으며, 향후 국민소득의 증가에 따라 외식시장규모는 지속적인 성장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식산업은 이러한 양적 성장과 함께 외식소비는 다양화, 고급화, 건강지향성이 확대되는 질적 성장도 함께 이루어지고 있다.
2008년 말 기준으로 국내 외식산업 시장규모는 외식업체 수 75만개, 연간 매출액 58조원, 종사원 수 250만 명을 넘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국민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고 외식산업 관련 기업들은 시스템화한 가맹사업을 통해 안정적인 외식 창업을 촉진하고, 고용을 창출함으로써 국가경제발전에 크게 이바지해 왔다.
4. 국내외식산업의 라이프사이클
① 1970년대(도입기) :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
우리나라에서 외식시장이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한 시기는 1970년대로 이 시기를 외식산업의 도입기라 할 수 있다. 1975년 국내 최초로 ‘립스치킨’이 국내 브랜드로 프랜차이즈 형태를 도입하여 외식사업의 다점포화를 전개하였다. 또한 1979년 ‘롯데리아’는 일본 롯데리아와 합작으로 현대적 의미의 본격적인 프랜차이즈 시스템을 도입하여 패스트푸드가 우리 식생활 문화의 한 부분으로 자리 잡는데 기여하였다.
②1980년대(적응기) 해외브랜드의 국내 진출 및 패스트푸드 시장 정착
이후 1980년대는 외식산업의 적응기로,’6 아시안게임과 ’8 서울올림픽 등을 거치면서
국내 외식산업은 본격적으로 정착하는 계기가 되었다. 80년대는 외국의 유명 외식브랜드가 국내기업과 손을 잡고 국내에 체인점을 개설한 이후 단순한 브랜드의 도입 또는 기술제휴 등의 합작투자형태로 속속 국내시장에 진출하기 시작하였다.
특히 웬디스(1984), 케이에프씨(1988), 피자헛(1985), 버거킹(1980), 맥도날드(1986) 등
패스트푸드업체의 진출이 활발하였다. 1988년에는 미도파가 국내 최초의 해외브랜드 패밀리레스토랑인 ‘코코스’를 도입하면서 외식산업이 다른 여타 산업과 함께 본격적으로 하나의 산업으로 주목을 받으며 성장하는 계기가 되었다.
③1990년대(성장기) : 해외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의 국내 본격 진출
1990년대는 국내 외식산업의 위상이 한 단계 오른 성장기에 해당한다. T.G.I.F, 스카이락,
베니건스, 씨즐러, 토니로마스, 마르쉐 등 고품격 서비스를 무기로 한 외국계 패밀리레스토랑 브랜드들이 잇따라 국내에 상륙하면서 외식업은 대형화 및 고급화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국민소득의 향상과 외식문화의 정착 등의 영향으로 외식산업이 성장기에 진입하면서 국내의 대기업들이 본격적으로 외식시장에 진입하였다. 또한 대기업의 참여로 단체급식시장은 외식산업의 한 축을 형성하면서 고성장을 하였다. 특히 90년대 외식산업이 자영업 현태의 소규모 외식업소로 명백을 유지하고 있던 기존의 국내 외식산업시장에 기업형 외식산업의 전기를 마련하였다.
④ 2000년대 초기(성숙기) :대기업의 경쟁적인참여와 경쟁심화로 기업형 외식시장 성장기에서 성숙기로 전환
90년대 이후 외국계 체인점에 의해 급격히 늘어나기 시작한 패밀리레스토랑의 경우 차별화된 가격과 분위기로 고성장을 하면서 많은 대기업들이 경쟁적으로 참여하였다. 1997년 IMF로 인한 경기 침체의 여파로 매출이 감소하기 시작했고, 외식시장에서도 구조조정으로 인한 대형 외식업체의 인수 및 합병이 진행되었다. 2000년대는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의 증가, 가계소비 중 외식비중의 증가 등으로 외식시장의 경기가 회복되면서 기업형 외식산업이 성숙기에 진입하였다.
그림 2 국내 외식산업의 라이프사이클
자료 : 하나경제연구소
5. 환경변화 요인분석
(1) 주5일제 근무의 확대
주 5일 근무의 확산으로 확대된 휴무시간은 레저생활의 증가, 자기개발을 위한 교육시간 증가 등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는 현상이며 외식산업은 타 산업대비 큰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삼성경제연구소의 조사에 따르면 대도시의 경우 주5일 근무제 실시 후 여가시간을 가족과 함께 보내는 시간이 전체의 47.4%를 차지하고 있으며 여행 및 드라이브가 22.2%로 높게 나타나고 있다. 최근 외식업계의 가장 큰 변화는 과거에는 20~30대였지만 주 5일제 실시로 30~40대 고객이 확연히 증가했다는 것으로 패스트푸드 업계는 Take Out의 비중이 높은 반면 주말을 이용한 가족단위 외식의 증가로 패밀리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상황으로 집계되었다.
반면 지방 중소도시의 경우 상대적으로 대도시 통계를
추천자료
[사업계획서]사업계획서 작성 실무요령
(사업계획서) 과일도시락 배달업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헤어샵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중국진출 커피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고객관계관리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작성법
[사업계획서] 여가생활설계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창업을 위한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자전거택배회사`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아이스크림&샐러드&과일의 만남 <싱그러운식탁>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노인전문잡지 <한아비>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만성질환 고혈압 관리를 위한 사업계획서
[사업계획서] 독서실 창업, 사업계획서.pptx
[사업계획서] 여대앞 버블티(Bubble Tea) 전문점 창업 사업계획서.pptx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