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민화의 특성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우리나라 민화의 특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민화의 개념

2. 민화의 매력과 성격

3. 민화의 배경과 위상

본문내용

다루는 입장에서는 충분히 그러한 당위를 주장할 수 있으려니와 그러하다면 민화란 원래 그러한 목적과 동기에서 만들어져야 한다는 전제가 먼저 만족되어야 한다. 즉 도화서의 화원처럼 왕공귀족의 총애를 받는 것, 현실적인 신분의 상승, 槿域書畵徵 등의 역사서에 이름을 남기련다는 등의 동기와 아울러 그들의 그림처럼 현실적인 수요나 화격의 완성 등의 미술적인 동기가 있을 때 도화서 화원의 그림과 동등한 위상을 요구할 수 있을 것이다.
지금까지의 자료나 상황으로 미루어 민화라는 그림이 반드시 그러한 현실적이거나 역사적인 동기를 가졌다고 보기는 힘든다. 이를테면 세화라는 것은 새로 만들어져 신년축하와 벽사의 용도를 달성하면 그것으로 족한 그림이었을 것이며 정월이 지났다고 대문간이나 부엌문에 붙인 그림을 떼어서 보관하는 경우는 거의 없었을 것으로 추측된다. 그런 그림이 그려지는 것이 풍속이니 세화를 비롯한 병풍 그림 등을 그리는 사람이 자연발생적으로 생겼고 수요층에서는 신분과 경제적 사정에 따라 화공을 대접하는 이른바 비경제적인 교류에 의해 이 그림들이 그려졌다고 본다면 오히려 그렇게 그려지고 비바람에 사그라지는 류의 그림이 민화라는 그림의 속성일 수 있을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9.05.2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700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