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지역선정배경
1. 시흥시를 선정하게 된 이유
2. 시흥시에 대한 간략한 소개
II. 우리나라 체류 외국인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
III.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현황
1. 외국인 인구 현황
2. 시흥시 외국인 인구 현황에 대한 분석
3. 시흥시 외국인 인구 증가 요인은 무엇일까?
Ⅳ.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변화 원인
1. 시흥시 행정구역별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
2 . 시흥시 성별에 따른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
Ⅴ.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변화 원인 분석
Ⅵ. 결론 및 맻음말
1. 시흥시를 선정하게 된 이유
2. 시흥시에 대한 간략한 소개
II. 우리나라 체류 외국인에 대한 전반적인 상황
III.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현황
1. 외국인 인구 현황
2. 시흥시 외국인 인구 현황에 대한 분석
3. 시흥시 외국인 인구 증가 요인은 무엇일까?
Ⅳ.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변화 원인
1. 시흥시 행정구역별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
2 . 시흥시 성별에 따른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
Ⅴ.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변화 원인 분석
Ⅵ. 결론 및 맻음말
본문내용
청, 외국인 등록인구 \'시군구별 외국인등록인구\'
이러한 통계 자료로 미루어 보았을 때 유추할 수 있는 원인은 크게 2가지 정도가 있을 수 있다.
<정왕동의 외국인 인구>
정왕동의 외국인인구
시 전체 외국인인구
2001년
4056
4949
2002년
4140
5212
2003년
8169
11113
2004년
9281
12320
2005년
8269
10744
2006년
10,036
13171
첫번째는 위의 ②번에 해당되는 것과 연결시켜
‘신도시 형성과 관련한 외국인 유입(ex>외국인 마을)’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시흥시 정왕동에 택지 개발지구가 생겨서 외국인 가정이 급격히 늘어났을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위의 ③번에 해당하는
‘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유입’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원인 중,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신도시 형성과 관련한 외국인 유입(ex>외국인 마을)’과 연결시켜 생각해 보기에는 한 가지 의문점이 있을 수 있다. 신도시나 마을의 형성이 외국인 인구 증가의 원인이라면, 정왕동처럼 남, 여 외국인 인구 비율이 크게 차이 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시흥시 외국인 인구 중 성별에 따른 통계를 살펴보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2 . 시흥시 성별에 따른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
시흥시의 성별에 따른 외국인 인구 증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위 : 명
년
시흥시 통계청, 외국인 등록인구 \'시군구별 외국인등록인구\'
외국인(남)
외국인(여)
여성비율
1995
563
76
12%
1996
1,562
161
9%
1997
2,441
242
9%
1998
2,004
216
10%
1999
2,556
333
12%
2000
3,826
548
13%
2001
4,231
718
15%
2002
4,244
968
19%
2003
8,392
2,721
24%
2004
9,086
3,234
26%
2005
8,174
2,570
24%
2006
9,806
3,365
26%
2007
10,601
4,263
29%
=> 성별에 따른 시흥시 외국인 인구 구성률을 보았을 때,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외국인
남성 인구와 비교한 외국인 여성 인구는 최저 9%~ 최고 29%, 평균 17%로 남성 인구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위의 ‘1. 시흥시 행정구역별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에서 유추해 보았던 외국인 인구 증가의 두 가지 원인 중 첫 번째 ‘신도시 형성과 관련한 외국인 유입(ex>외국인 마을)’ 은 원인이 되기 힘들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렇다면 두 번째 ‘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유입’은 어떨까?
Ⅴ.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변화 원인 분석
시흥시 외국인 인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시흥시 정왕동(정왕본동,정왕1,정왕2,정왕3,정왕4동)에 위치한 시화공단 때문일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시화공업단지 전경]
시화공업단지
- 시화공업단지에 대한 간단한 소개 -
시화공단(시화공업단지)는 경기도 안산시 신길동과 시흥시 정왕동 일대의 15.24㎢ 면적에 조성된 공업단지인데,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이 과밀하게 집중되는 것을 막고 수도권 내의 부적격 공장에 대한 이전을 촉진, 수용하기 위하여 반월공업단지 후속사업으로 1995년에 준공되었다. 주 업종은 식품·섬유·종이·인쇄·화학·목재·비금속·1차금속·기계업종 등이다.
보통 반월공단과 시화공단을 통합해서 외국인 고용자 수 통계를 많이 내는데,
‘반월. 시화공단 제조업체 중 외국인을 고용한 업체는 1249개 업체로 나타났으며 공단 내 외국인 근로자 수는 약 6267명으로 집계됐지만 불법체류자를 포함하면 그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안산 YMCA 2008년 4월자료
로 한다.
즉,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가 꾸준히 증가한 이유는 정왕동(행정동 기준)에 위치한 시화공업단지 때문이었다. 시화공업단지는 4782개 중소 제조업체 가운데 50인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이 90% 이상이라고 한다. 흔히 3D 업종이라고 하는 더럽고, 어렵고, 위험한 일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위의 일들을 기피하고 안하려고 하기 때문에 중국. 베트남 등 다른 나라에서 인력을 수입해서 공장을 가동 하고 있다고 하는데, 중소기업체를 운영함에 있어 외국인 노동자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고 한다. 이러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많은 외국인들을 우리나라에 와서 일하게 만들었고, 공단 근처에 외국인 인구수가 증가하는 것도 위와 같은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로 출신국적에 따른 외국인 인구 수는 다음과 같다.
<출신국적에 따른 외국인 인구 수> 통계청 ‘2006년 주민등록인구 인구통계’
년
시흥시
외국인(계)
외국인(남)
외국인(여)
중국
5178
2936
2242
미국
58
34
24
필리핀
921
771
150
베트남
1890
1,571
319
일본
51
9
42
영국
18
8
10
기타
5055
4,477
578
출신 국적에 따른 외국인 인구수를 살펴보면 가장 많은 나라가 중국이고, 그 다음으로 베트남, 필리핀 순이다.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다원화 추세는 아직 중국과 베트남 등 특정국가의 인구가 월등히 많아 크게 다원화 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시흥시는 순수 공업단지인 시화공단이 존재하지만, 만약 대전의 대덕연구단지 같은 첨단산업단지가 시화공단 옆에 조성된다면 외국인 인구가 다원화 될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일단, 여러 대륙 출신의 외국인 연구원 수가 증가할 것이다. 또한 대전의 유성구처럼 연구원과 그 가족, 자녀들이 거주하는 주거단지가 형성될 것이고, 교육열 또한 높아질 것이다. 높아진 교육열은 어학 교육을 위한 영어권 국가의 외국인 교사의 수요를 늘릴 것이고, 결국 출신국가별 외국인 인구는 다원화 될 것이다.
앞으로 시흥시의 시정계획을 살펴보면 2010년 ~ 2020년 사이에 IT산업과 정밀광학반도체, 신소재산업 등 첨단산업 발전전략의 일환으로 테크노연구단지를 조성할 계획이 들어있는데 10년 후 시흥시 외국인 인구는 이러한 전략 등으로 다원화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Ⅵ. 결론 및
이러한 통계 자료로 미루어 보았을 때 유추할 수 있는 원인은 크게 2가지 정도가 있을 수 있다.
<정왕동의 외국인 인구>
정왕동의 외국인인구
시 전체 외국인인구
2001년
4056
4949
2002년
4140
5212
2003년
8169
11113
2004년
9281
12320
2005년
8269
10744
2006년
10,036
13171
첫번째는 위의 ②번에 해당되는 것과 연결시켜
‘신도시 형성과 관련한 외국인 유입(ex>외국인 마을)’ 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시흥시 정왕동에 택지 개발지구가 생겨서 외국인 가정이 급격히 늘어났을 경우가 이에 해당한다.
두 번째는 위의 ③번에 해당하는
‘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유입’을 예상해 볼 수 있다.
위의 두 가지 원인 중,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신도시 형성과 관련한 외국인 유입(ex>외국인 마을)’과 연결시켜 생각해 보기에는 한 가지 의문점이 있을 수 있다. 신도시나 마을의 형성이 외국인 인구 증가의 원인이라면, 정왕동처럼 남, 여 외국인 인구 비율이 크게 차이 나지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좀 더 자세히 살펴보기 위해, 시흥시 외국인 인구 중 성별에 따른 통계를 살펴보면서 분석해 보도록 하겠다.
2 . 시흥시 성별에 따른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
시흥시의 성별에 따른 외국인 인구 증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단위 : 명
년
시흥시 통계청, 외국인 등록인구 \'시군구별 외국인등록인구\'
외국인(남)
외국인(여)
여성비율
1995
563
76
12%
1996
1,562
161
9%
1997
2,441
242
9%
1998
2,004
216
10%
1999
2,556
333
12%
2000
3,826
548
13%
2001
4,231
718
15%
2002
4,244
968
19%
2003
8,392
2,721
24%
2004
9,086
3,234
26%
2005
8,174
2,570
24%
2006
9,806
3,365
26%
2007
10,601
4,263
29%
=> 성별에 따른 시흥시 외국인 인구 구성률을 보았을 때, 1995년부터 2007년까지 외국인
남성 인구와 비교한 외국인 여성 인구는 최저 9%~ 최고 29%, 평균 17%로 남성 인구와 비교하여 현저히 낮은 것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위의 ‘1. 시흥시 행정구역별 외국인 인구 통계를 통한 분석’에서 유추해 보았던 외국인 인구 증가의 두 가지 원인 중 첫 번째 ‘신도시 형성과 관련한 외국인 유입(ex>외국인 마을)’ 은 원인이 되기 힘들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그렇다면 두 번째 ‘공업단지 조성에 따른 외국인 근로자 유입’은 어떨까?
Ⅴ.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변화 원인 분석
시흥시 외국인 인구 증가의 가장 큰 원인은 시흥시 정왕동(정왕본동,정왕1,정왕2,정왕3,정왕4동)에 위치한 시화공단 때문일 것이라고 결론을 내렸다.
[시화공업단지 전경]
시화공업단지
- 시화공업단지에 대한 간단한 소개 -
시화공단(시화공업단지)는 경기도 안산시 신길동과 시흥시 정왕동 일대의 15.24㎢ 면적에 조성된 공업단지인데, 수도권에 인구와 산업이 과밀하게 집중되는 것을 막고 수도권 내의 부적격 공장에 대한 이전을 촉진, 수용하기 위하여 반월공업단지 후속사업으로 1995년에 준공되었다. 주 업종은 식품·섬유·종이·인쇄·화학·목재·비금속·1차금속·기계업종 등이다.
보통 반월공단과 시화공단을 통합해서 외국인 고용자 수 통계를 많이 내는데,
‘반월. 시화공단 제조업체 중 외국인을 고용한 업체는 1249개 업체로 나타났으며 공단 내 외국인 근로자 수는 약 6267명으로 집계됐지만 불법체류자를 포함하면 그 수는 훨씬 더 많을 것으로 보인다.’ 안산 YMCA 2008년 4월자료
로 한다.
즉,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가 꾸준히 증가한 이유는 정왕동(행정동 기준)에 위치한 시화공업단지 때문이었다. 시화공업단지는 4782개 중소 제조업체 가운데 50인 이하의 소규모 사업장이 90% 이상이라고 한다. 흔히 3D 업종이라고 하는 더럽고, 어렵고, 위험한 일이 많은 곳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사람들이 위의 일들을 기피하고 안하려고 하기 때문에 중국. 베트남 등 다른 나라에서 인력을 수입해서 공장을 가동 하고 있다고 하는데, 중소기업체를 운영함에 있어 외국인 노동자는 없어서는 안 될 존재라고 한다. 이러한 외국인 노동자에 대한 수요가, 많은 외국인들을 우리나라에 와서 일하게 만들었고, 공단 근처에 외국인 인구수가 증가하는 것도 위와 같은 이유라고 할 수 있겠다.
참고로 출신국적에 따른 외국인 인구 수는 다음과 같다.
<출신국적에 따른 외국인 인구 수> 통계청 ‘2006년 주민등록인구 인구통계’
년
시흥시
외국인(계)
외국인(남)
외국인(여)
중국
5178
2936
2242
미국
58
34
24
필리핀
921
771
150
베트남
1890
1,571
319
일본
51
9
42
영국
18
8
10
기타
5055
4,477
578
출신 국적에 따른 외국인 인구수를 살펴보면 가장 많은 나라가 중국이고, 그 다음으로 베트남, 필리핀 순이다. 시흥시의 외국인 인구 다원화 추세는 아직 중국과 베트남 등 특정국가의 인구가 월등히 많아 크게 다원화 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여진다.
시흥시는 순수 공업단지인 시화공단이 존재하지만, 만약 대전의 대덕연구단지 같은 첨단산업단지가 시화공단 옆에 조성된다면 외국인 인구가 다원화 될 수 있을까 생각해 보았다.
일단, 여러 대륙 출신의 외국인 연구원 수가 증가할 것이다. 또한 대전의 유성구처럼 연구원과 그 가족, 자녀들이 거주하는 주거단지가 형성될 것이고, 교육열 또한 높아질 것이다. 높아진 교육열은 어학 교육을 위한 영어권 국가의 외국인 교사의 수요를 늘릴 것이고, 결국 출신국가별 외국인 인구는 다원화 될 것이다.
앞으로 시흥시의 시정계획을 살펴보면 2010년 ~ 2020년 사이에 IT산업과 정밀광학반도체, 신소재산업 등 첨단산업 발전전략의 일환으로 테크노연구단지를 조성할 계획이 들어있는데 10년 후 시흥시 외국인 인구는 이러한 전략 등으로 다원화 되지 않을까 생각해 본다.
Ⅵ. 결론 및
추천자료
동북아지역 도시네트워크화와 항만도시 부산의 대응전략
[도시학 OCU 현대도시의 이해] - 중간레포트
한국 도시설계의 이념과 민주주의 도시계획적 실천방안
[도시행정론]도시재생사업의 개요와 국내외 사례분석 및 시사점(A+리포트)
[도시화] 도시화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행정중심복합도시]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 수정안 반대의견- 한국사회문제 E형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계획의 진행여부를 둘러싸고행정중심복합도시원안과현정부에서제시하고...
도시와 도시계획
도시와 도시계획
도시디지인 마케팅 전략 및 사례별 도시 분석
[생태도시] 생태도시의 특징과 사례
디트로이트의 빈곤도시화 - 미국 내 빈곤지역의 현황, 빈곤과 빈곤지역의 정의, 디트로이트 ...
도시마케팅의 성공사례, 등장배경 및 도시마케팅 믹스 분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