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뇨기계 정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뇨기계 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본 론

신장(kidney)

Ⅰ. 신장의 구조

Ⅱ. 신장의 기능

Ⅲ. 신장의 혈액순환

Ⅳ. 요관, 방광, 요도 및 요도구

결 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서 론
비뇨기는 요를 만드는 1쌍의 신장, 요를 방광으로 운반하는 1쌍의 요관, 요를 저장하는 방광, 그리고 요를 체외로 배설하는 요도로 구성되어 있다. 비뇨기의 주 기능은 요 형성, 요·체내의 대사산물 배설, 체액량유지, 산·염기 균형을 유지하여 항상성을 유지한다.
인체의 항상성은 음식물, 수분, 전해질 및 무기염류가 균형 있게 섭취되어야 하고, 섭취한 음식물의 대사과정에서 생성된 대사산물이 원활하게 배설되어야 만이 유지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인체의 항상성은 1일 섭취하는 음식물, 수분, 전해질 및 무기염류의 양과 대사산물의 배설정도에 따라 좌우된다. 음식물의 대사산물, 그밖의 용질의 배설은 피부, 폐, 장관에서 이루어지지만, 신장이 가장 중요하다.
본 론
신장(kidney)
Ⅰ. 신장의 구조
Ⅰ-1. 신장의 구조
● 외부구조: 신장은 좌우 1쌍인 강낭콩 모양으로 무게 150gm 정도이며, 길이 10cm, 너비 5cm, 두께 2.5cm인 장기로 제 12흉추와 제 2요추 사이의 후복막과 후복벽 사이에 놓여있는 복막후장기이다. 두 신장의 위치는 동일치 않고 우신이 좌신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하는데, 그 이유는 우상복부에 간이 있기 때문이다. 두꺼운 지방결합조직인 신주위지방이 신장피막을 싸고 있어 충격흡수의 역할을 하며, 소성결합조직인 신근막은 신장과 부신을 함께 싸고있다. 신장은 전· 후면, 내·외측연, 상·하극이 있으며 신장 위에 부신이 놓여있다. 외측연은 볼록하고 내측연은 오목하며, 내측연에 쐐기형의 함몰 부위가 있어 신문이라 하며, 혈관· 신경· 림프관의 출입구가 되고 이는 신동으로 이어진다.
● 내부구조: 신장의 종단면은 신동, 수질, 피질의 세 부분으로 나뉜다.
1)신동(remal sinus): 신문의 내측면의 공간으로 수질추체가 신동 속으로 뻗어있고, 신우와 신혈관·림프관·신경이 신동 안에 자리잡고 있다. 신우는 관 모양인 몇 개의 대신배가 모여 이루어지고, 대신배는 컵 모양의 소신배가 모여 이루어진다. 각 소신배는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신유두와 접하고 있고, 신동에 있는 구조물 사이의 공간을 지방결합조직이 채우고 있다.
· 신우(renal pelvis): 신장 문 주위의 수질에 있는 깔대기 모양의 주머니로서, 속이 비어있다. 신우의 안 쪽

키워드

신장,   요로계,   비뇨기계,   요관,   요도,   신우,   방광,   소변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03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06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