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두낭(咽頭囊, pharyngeal pouch)
제1인두낭 - 중이(middle ear, 中耳)와 중이관(auditory tube, 유스타키오관)
제2인두낭 - 구개편도(palatine tonsil)
제3인두낭-가슴샘(thymus)
제3인두낭과 제4인두낭 - 부갑상샘(parathyroid gland)
제1인두낭 - 중이(middle ear, 中耳)와 중이관(auditory tube, 유스타키오관)
제2인두낭 - 구개편도(palatine tonsil)
제3인두낭-가슴샘(thymus)
제3인두낭과 제4인두낭 - 부갑상샘(parathyroid gland)
본문내용
연축과 경련이 일어나며 때로는 치매 증상까지 나타나는 테타니(tetany)가 생긴다. 정상상태에서 체액의 칼슘 농도가 조금 떨어지면 부갑상선 활동이 활발해져 뼈에 있는 칼슘을 동원하여 칼슘 농도를 높인다. 한편 정상보다 체액의 칼슘 농도가 올라가면 부갑상선호르몬이 분비되지 않거나 분비되는 양이 줄어서 위의 경우와 반대되는 작용을 한다.
부갑상선의 내분비(부갑상선호르몬)는 또한 인(燐)의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호르몬이 과다해지면 혈청 내의 무기인의 농도를 저하시키고 소변으로 배설되는 양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호르몬이 부족하면 혈청 내의 무기인 농도는 높아지고 소변으로 배설되는 양은 줄어든다. 부갑상선호르몬은 마그네슘의 배설을 증가시켜 마그네슘 대사과정을 조절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부갑상선의 내분비(부갑상선호르몬)는 또한 인(燐)의 대사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호르몬이 과다해지면 혈청 내의 무기인의 농도를 저하시키고 소변으로 배설되는 양을 증가시킨다. 반대로 호르몬이 부족하면 혈청 내의 무기인 농도는 높아지고 소변으로 배설되는 양은 줄어든다. 부갑상선호르몬은 마그네슘의 배설을 증가시켜 마그네슘 대사과정을 조절하는 데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