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배근에 대한 3가지 이상의 실제 예와 부재력과의 관계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에서 철근배근에 대한 3가지 이상의 실제 예와 부재력과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철근
1.1 철근의 성질
1.2 철근의 종류

2.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에서의 철근배근
1.1 기둥
1.2 기둥의 종류
1)띠철근 기둥
2)나선철근 기둥
3)합성기둥
1.3 기둥의 배근

2.1 기초
2.2 기초의 종류
1)연속기초
2)독립기초
3) 말뚝기초
4)복합기초
5)온통기초
2.3 기초배근
3.1 벽
3.2 벽의 배근
내력벽의 배근

본문내용

로 하고, 주근의 주위는 두르는 띠철근과 고정하여야 한다.
④ 띠철근은 지름 6mm 이상의 철근을 사용하고, 띠철근의 최대간격은 다음 값이 가장 작은 것으로 한다. 단, 기둥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기둥의 폭 중, 최대촉의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에서의 띠철근의 간격은 다음 값을 1/2로 하여 그 중 작은 것으로 한다.
가. 주철근 지름의 16배
나. 띠철근의 지름의 48배
다. 기둥의 최소폭
라. 30cm
⑤ 나선철근은 지름 6mm 이상의 철근을 쓰고, 나선철근의 정학은 기둥단부에서 1.5회 여분으로 감는다. 나선철근의 정착은 기둥단부에서 1.5회 여분으로 감는다. 나선 철근의 간격은 3cm 이상, 8cm 이하, 기둥 유효지름의 1/6, 굵은 골재의 지름의 1.5배 이상으로 하고, 철근의 피복두께는 3cm 이상으로 한다.
⑥ 기둥의 작은 변은 그 구조내력에 주요한 지점간 거리의 1/15이상, 단 기둥의 세장비를 고려한 구조계산에 의하여 내력에 지장 없음이 확인된 경우는 제외.
⑦ 기중의 최소철근비(기둥의 단면적에 대한 주근이 차지하는 면적비)는 기둥 단면의 최소 폭과 각층마다 기둥의 유효높이의 비가 5 이하일 때는 0.4%, 10을 초과할 때는 0.8%로 한다. 다만, 기둥 단면의 최소폭과 각층마다의 기둥의 유효높이가 5 초과
10
이하일 때는 직선보간의 방법으로 구한 값으로 한다.
2.1 기초
구조물의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모든 하중 (건축뭉의 자중, 적재하중, 풍력, 지진력 등의 외력)을 최종적으로 지반에 전달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건축물의 하부 지중 구조부분을 총칭하여 기초(footing 또는
foundation)라 한다. 즉, 기둥 또는 벽체의 하부를 확대하여 만든 기초 슬래브이다.
일반적으로 지반의 지지력은 기둥이나 벽체의 압축력보다 훨씬 작으므로 이 압축력이 기초지반의 허용 지지력보다 작게 되도록 상부 구조물의 하중을 넓은 면적에 분포시키기 위해서 사용한다. 그러나 안정하게 잘 설계된 기초라 하더라도 상부구조물의 하중이 작용하면 다소의 지반침하는 피할 수는 없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기초의 설계에서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전체 침하량을 가급적이면 작게 하는 것과 부동침하가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 중에서도 부동침하는 구조체에 예상할 수 없는 높은 응력과 균열등 부작용을 일으키기 때문에 설계시 특히 주의 하여야 한다.
침하량을 작게 하기 위해서는 기초면적을 크게 하여 단위면적당 지반 압력을 작게 하든 가, 충분한 지내역을 가진 견고한 지반층에 기초를 설치하여야 한다. 그러나 연약한 지반층에서는 이런일이 쉽지 않기 때문에 기초에 전달된 하중을 말뚝(pile)을 사용하여 연약지층 아래에 있는 암반층 등에 전달하도록 한다.
2.2 기초의 종류
1)연속기초
줄기초 또는 벽 밑 기초라고도 하며, 내력벽 또는 조적벽을 지지하는 기초로 벽체 양옆에 캔틸레버 작용으로 하중을 분산시킨다.
2)독립기초
확대기초라고도 하며, 한 개의 기둥을 독립적으로 지지할 때 사용한다. 이것은 전사각형, 직사ㅈ각형 혹은 원형일 수 있고 일정한 두께나 계단식 혹은 경사면을 가질수 있다. 일반적으로 가장 경제적인 기초의 형태이며 건축물의 경우 주각부를 기초보(tie beam)로 연결하여 기초의 부동침하를 방지하고 구조물 전체의 강성을 크게 한다.
3) 말뚝기초
독립기초와 같은 형태이나 말뚝에 의하여 지지되는 기초이다.
4)복합기초
2개 이상의 기둥을 지지하는 긴 직사각형의 기초로, 기둥들이 가까이 있거나 또는 외부기둥이 대지 경계선 가까이 있을 때 사용된다.
5)온통기초
매트기초(mat foundation)라고도 하며, 건축물의 지하층 맨 밑층 등의 바닥 전체에 걸쳐 한 물에 만든 두꺼운 슬래브구조로 지반의 지내력이 약하며 독립기초나 말뚝기초로 적당하지 않을 때 사용된다.
2.3 기초배근
건축물의 자중은 대단히 크기 때문에, 각종 지정이나 지반개량등의 공법에 의해 지내력 등을 강화해야 한다.
베이스근 13Φ 이상의 철근을 사용해서 기둥 측면에서 45˚의 각도선과 기초 밑면적과의 밑면적과의 교점의 위치 이상으로 배치하는 것.
베이스경사근 한 반향 3개조로서 대각선 삽입 보강근을 말한다.
배력근 기둥과의 접합부에 넣는 보강근을 가리킨다.
배력근은 베이스 근과 직교하도록 배근단다.
베이스근, 배력근, 경사근 모두 정확히 배근하고 훅은 모두 상향이 되도록 고정한다.
3.1 벽
철근콘크리트조의 벽은 내력벽과 장막벽으로 나뉜다. 내력벽(내진벽)은 기둥, 보와 일체된 벽으로서 풍압이나 지진과 같은 수평하중을 견딜수 있어야 한다.
장막벽은 단순히 공간을 구획하기 위하여 설치하는 것이므로 반드시 철근 콘크리트조로 할 필요는 없고, 목조나 조적조, 기성 콘크리트판, 경량철골근 등 다양한 벽체 중에서 가볍고 기능에 적합한 것을 사용한다. 벽의 배근은 지름 9mm 이사인 것을 45cm이하의 간격으로 한다.
3.2 벽의 배근
벽에는 내진벽, 칸막이벽, 내압벽, 등 목적에 따라 여러 종류가 있고 그들은 모두 철근의 가로세로에 싱글이나 더블로 배근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 경사근도 사용되는 경우도 있다.
내진벽의 철근은 수직근 및 수평근 모두 지진시에는 인장력을박기 때문에 기둥보에 충분히 정착하도록 배근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 내진벽 이외의 벽도 지진에 대해서 유효하므로 설계도에서 표시도어 있지 않으면 내진벽과 같은 정착으로 한다.
벽의 수직근, 수평근을 기둥, 보에 정착시키는 경우에는 철근의 조립순서, 피복두께, 철근의 안과 밖 관계를 충분히 고려해서 기둥, 보근의 마무리를 충분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내력벽의 배근
① 벽두께는 15cm 이상으로 하며, 매 3m 내려감에 따라 1cm씩 비율로 증가시킨다.
② 벽판의 두께가 25cm 이상일 때는 복근으로 한다.
③ 벽근의 지름 9mm (D10)를 사용하고 45cm 이하의 간격으로 배근한다. 다로, 세러러 철근을 배치하는 2방향으로 대각선 방향으로 배치하는 4방향 배근법이 있다.
④ 내력벽의 최소 철근비는 수직 철근비:0.15% 이상 수평철근비:0.25 이상으로 한다.
⑤ 개구 주위의 보강근은 지름 13mm 이상의 보강철근을 2개이상 배근한다.
  • 가격1,7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05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3951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