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목차
Ⅰ. 개관
Ⅱ. 기업소개
1. 회사 개요
2. 기업 정보
3. LG전자의 투자사업군
4. LG전자의 핵심역량
5. LG전자의 투자환경 (트렌드 변화 속에서의 LG전자)
Ⅲ. 경쟁기업 분석 (사업부별)
1.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MC) 사업본부
2. 디지털 어플라이언스(DA) 사업본부
3. 디지털 디스플레이(DD) 사업본부
4. 디지털 미디어(DD) 사업본부
Ⅳ. 투자실태
1. 투자국 입지 분석
2. 투자 전략분석
1)형태 분석(투자 목적별 유형 분석)
2)행태 분석
3. 경쟁력 강화
1)입지우위력 강화
2)내부화우위력 강화
Ⅴ. 투자의 타당성 분석
1. 투자 절차의 타당성 검토
2. 기대/성과 분석
Ⅵ. 향후 경쟁력 제고 과제 및 발전 방향
1. GLOBAL TOP3 BY 2010
2. 우주적 기업으로
Ⅶ. 참고문헌
Ⅱ. 기업소개
1. 회사 개요
2. 기업 정보
3. LG전자의 투자사업군
4. LG전자의 핵심역량
5. LG전자의 투자환경 (트렌드 변화 속에서의 LG전자)
Ⅲ. 경쟁기업 분석 (사업부별)
1.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MC) 사업본부
2. 디지털 어플라이언스(DA) 사업본부
3. 디지털 디스플레이(DD) 사업본부
4. 디지털 미디어(DD) 사업본부
Ⅳ. 투자실태
1. 투자국 입지 분석
2. 투자 전략분석
1)형태 분석(투자 목적별 유형 분석)
2)행태 분석
3. 경쟁력 강화
1)입지우위력 강화
2)내부화우위력 강화
Ⅴ. 투자의 타당성 분석
1. 투자 절차의 타당성 검토
2. 기대/성과 분석
Ⅵ. 향후 경쟁력 제고 과제 및 발전 방향
1. GLOBAL TOP3 BY 2010
2. 우주적 기업으로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전자레인지는 56.5%로 LG전자는 집계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세탁기 내수 점유율이 47.1%, 컬러 TV는 47.2%, 냉장고는 46.9%로, 에어컨은 41.9%로 각각 집계 되어 국내는 2강 체제 구축하고 있다. 그러나 월풀이 대우일렉트로닉스를 인수 할 경우 3강체제가 될 수도 있다.
② 세계시장 - LG전자 VS 삼성전자 : LG전자는 가정용 에어컨 세계 1위제품 (휘센), 점유율 19.6% 8년 연속 세계 판매 1위를 기록, 전자레인지, 일반형 청소기 3개 가전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007년까지 시스템 에어컨 , 드럼세탁기, 양문형 냉장고 등을 추가해서 세계 1등 품목을 6개로 늘려나갈 계획이며 지역별로는 에어컨 등 주요 제품별로 세계 65개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차차 세계 1위 국가를 8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양문형 냉장고 등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유럽 지역에서 이미 양문형 냉장고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선보인 독립냉각방식기술이 적용된 4도어 냉장고는 세계 최대 가전쇼인 ‘CES 2006\'에서 베스트 혁신상을 수상함은 물론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는 등 해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삼성의 냉장고는 미국 JD파워에서 주관하는 소비자 만족도 조사 1위를 차지해 세계 1위 가전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고 자체 평가 중이다.
- 월풀 : 2005년 미국 3위 가전업체인 메이텍 인수전에서 중국의 하이얼을 제치고 16억 8000만 달러로 인수에 성공, 세계1위 가전업체로 올라섰음. LG전자는 2010년 까지 월풀을 제치고 세계시장 1위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 하이얼 : 세계 5대 백색가전업체에 속하는 유명한 기업이다. 1984년에 설립되었고 2004년 매출액이 한화로 14조원에 이른다. 하이얼의 냉장고 등 가전제품의 생산과 해외 수출이 급증하고 있지만 그것은 하이얼 가전제품의 가격이 싸기 때문이다. 하지만 LG그룹의 2004년 LG전자의 매출액만 30조원에 가깝다.
3. 디지털 디스플레이(DD) 사업본부
LG전자 : PDP TV 시장점유율 15%로 세계 2위를 기록, PDP 모듈 시장점유율 27%로 세계 2위 기록
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 :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OLED시장에서, 삼성SDI가 지난해 일본 업체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선 데 이어 삼성SDI와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이 올 1ㆍ4분기 중 전 세계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의 60% 이상 장악하는 등 ‘디스플레이 강국’의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하고 있다. 2005년 시장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 집계 결과 삼성SDI는 지난해 세계 OLED 매출의 44%를 차지, 종전 1위였던 일본의 파이오니어를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대만의 라이트디스플레이가 22%의 시장점유율로 삼성SDI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파이오니어는 20%로 3위로 내려앉았다.
② PDP 시장 : 디스플레이뱅크에 따르면 삼성SDI와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이 34.7%에 그친 일본 업체들을 크게 따돌리며 2005년 1ㆍ4분기 중 63.7%의 세계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업체별 시장점유율은 삼성SDI와 LG전자가 각각 32.7%와 30.7%로 작년 말의 28.7%와 27.0%보다 크게 높아졌다. 일본 업체 중에서는 후지쓰와 파이오니아 등이 PDP 사업을 축소하거나 손을 떼면서 마쓰시타(16.9%)만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뱅크는 지난 1ㆍ4분기 세계 PDP 출하량은 128만5,000대로 지난해 4ㆍ4분기보다 11.9% 늘었다고 밝혔다.
③ LCD 시장 : 소니의 공세 : 2005년 4분기에서 LCD TV 분야 1위 샤프 전자를 제치고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2005년에 세계 최대 가전 시장인 미국을 필두로 ‘브라비아’라는 새로운 브랜드 TV를 출시하고, 디지털 TV의 주력 디스플레이로 LCD를 선택해 이른바 LCD 올인 전략을 펼쳤다. 그간 신규 디스플레이 부문 투자를 소홀히 한 결과, 평판 TV 시장에서 샤프와 LG전자,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들에게 주도권을 빼앗겨 이에 소니는 삼성전자와 합작회사 (S-LCD)를 설립, 7세대 LCD라인 공동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조달처를 확보하며 브라비아를 만들었다.
- 대만의 추격 : 2006년 디스플레이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뱅크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대만산 LCD패널의 출하량 기준 시장점유율은 대만이 48.6%로 한국 39.8%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으며 매출액 기준으로도 지난 1분기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42.2%, 대만의 시장점유율은 44.9%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한국산 LCD 매출액은 54억2000만달러, 대만산은 57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만은 한국을 제치고 LCD 시장점유율 세계 1위를 처음 기록하였고, 시장점유율은 10.4인치 이상 대형 TFT-LCD의 매출을 기준으로 조사되었다.
업체별 출하량을 살펴보면 삼성전자가 20.5%의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전 분기에 이어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로 LG디스플레이가 18.2%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4. 디지털 미디어(DD) 사업본부
홈씨어터 시장에서 2005년 1위를 기록(시장 점유율 16%) 특히 이탈리아, 체코, 헝가리,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 세계 1위를 기록, 또한 DVD 플레이어는 3년 연속 세계시장 1위를 달성했다. 유럽의 전문잡지에서 ‘Best Buy\' 상을 수상하는 등 선진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광스토리지 시장에서도 9년 연속 세계 판매 1위를 고수 하면서 29%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하고 있으며 특히, 지난 95년 유럽의 대표적인 프리미엄 시장인 독일에 첫 진출 이후 2000년부터 광스토리지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40%로 1위를 지키고 있다.
① 광스토리지 시장 : 올해 일본 도시바와 광스토리지 전 제품에 걸친 특허 및 기술에 대해 크로스 라이선스를 체결했다. 고화질(HD) 콘텐츠가 증가하고 고용량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광스토리지 시장에서, 도시바와의 계약 체결을 통해 제품 개
② 세계시장 - LG전자 VS 삼성전자 : LG전자는 가정용 에어컨 세계 1위제품 (휘센), 점유율 19.6% 8년 연속 세계 판매 1위를 기록, 전자레인지, 일반형 청소기 3개 가전 분야에서 세계 1위를 차지했다. 2007년까지 시스템 에어컨 , 드럼세탁기, 양문형 냉장고 등을 추가해서 세계 1등 품목을 6개로 늘려나갈 계획이며 지역별로는 에어컨 등 주요 제품별로 세계 65개 국가에서 1위를 차지하고 있는데 차차 세계 1위 국가를 80개로 확대할 계획이다.
삼성전자는 양문형 냉장고 등으로 세계 시장을 공략하고 있는데 유럽 지역에서 이미 양문형 냉장고가 시장점유율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최근 선보인 독립냉각방식기술이 적용된 4도어 냉장고는 세계 최대 가전쇼인 ‘CES 2006\'에서 베스트 혁신상을 수상함은 물론 세계적인 디자인 어워드를 수상하는 등 해외에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특히 삼성의 냉장고는 미국 JD파워에서 주관하는 소비자 만족도 조사 1위를 차지해 세계 1위 가전업체로 도약하기 위한 기틀을 마련하고 있다고 자체 평가 중이다.
- 월풀 : 2005년 미국 3위 가전업체인 메이텍 인수전에서 중국의 하이얼을 제치고 16억 8000만 달러로 인수에 성공, 세계1위 가전업체로 올라섰음. LG전자는 2010년 까지 월풀을 제치고 세계시장 1위에 오르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있다.
- 하이얼 : 세계 5대 백색가전업체에 속하는 유명한 기업이다. 1984년에 설립되었고 2004년 매출액이 한화로 14조원에 이른다. 하이얼의 냉장고 등 가전제품의 생산과 해외 수출이 급증하고 있지만 그것은 하이얼 가전제품의 가격이 싸기 때문이다. 하지만 LG그룹의 2004년 LG전자의 매출액만 30조원에 가깝다.
3. 디지털 디스플레이(DD) 사업본부
LG전자 : PDP TV 시장점유율 15%로 세계 2위를 기록, PDP 모듈 시장점유율 27%로 세계 2위 기록
①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시장 : 차세대 디스플레이 시장으로 주목받고 있는 OLED시장에서, 삼성SDI가 지난해 일본 업체를 제치고 1위로 올라선 데 이어 삼성SDI와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이 올 1ㆍ4분기 중 전 세계 PDP(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 시장의 60% 이상 장악하는 등 ‘디스플레이 강국’의 면모를 유감없이 과시하고 있다. 2005년 시장조사기관인 아이서플라이 집계 결과 삼성SDI는 지난해 세계 OLED 매출의 44%를 차지, 종전 1위였던 일본의 파이오니어를 제치고 정상에 올랐다. 대만의 라이트디스플레이가 22%의 시장점유율로 삼성SDI에 이어 2위를 차지했고 파이오니어는 20%로 3위로 내려앉았다.
② PDP 시장 : 디스플레이뱅크에 따르면 삼성SDI와 LG전자 등 국내 업체들이 34.7%에 그친 일본 업체들을 크게 따돌리며 2005년 1ㆍ4분기 중 63.7%의 세계 시장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업체별 시장점유율은 삼성SDI와 LG전자가 각각 32.7%와 30.7%로 작년 말의 28.7%와 27.0%보다 크게 높아졌다. 일본 업체 중에서는 후지쓰와 파이오니아 등이 PDP 사업을 축소하거나 손을 떼면서 마쓰시타(16.9%)만이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뱅크는 지난 1ㆍ4분기 세계 PDP 출하량은 128만5,000대로 지난해 4ㆍ4분기보다 11.9% 늘었다고 밝혔다.
③ LCD 시장 : 소니의 공세 : 2005년 4분기에서 LCD TV 분야 1위 샤프 전자를 제치고 세계 시장 점유율 1위를 기록했다. 2005년에 세계 최대 가전 시장인 미국을 필두로 ‘브라비아’라는 새로운 브랜드 TV를 출시하고, 디지털 TV의 주력 디스플레이로 LCD를 선택해 이른바 LCD 올인 전략을 펼쳤다. 그간 신규 디스플레이 부문 투자를 소홀히 한 결과, 평판 TV 시장에서 샤프와 LG전자, 삼성전자 등 국내 기업들에게 주도권을 빼앗겨 이에 소니는 삼성전자와 합작회사 (S-LCD)를 설립, 7세대 LCD라인 공동투자를 통해 안정적인 조달처를 확보하며 브라비아를 만들었다.
- 대만의 추격 : 2006년 디스플레이 시장조사기관인 디스플레이뱅크에 따르면 지난 1분기 대만산 LCD패널의 출하량 기준 시장점유율은 대만이 48.6%로 한국 39.8%를 제치고 1위를 기록했으며 매출액 기준으로도 지난 1분기 한국의 시장점유율은 42.2%, 대만의 시장점유율은 44.9%를 기록했다고 전했다. 한국산 LCD 매출액은 54억2000만달러, 대만산은 57억8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대만은 한국을 제치고 LCD 시장점유율 세계 1위를 처음 기록하였고, 시장점유율은 10.4인치 이상 대형 TFT-LCD의 매출을 기준으로 조사되었다.
업체별 출하량을 살펴보면 삼성전자가 20.5%의 점유율을 유지하면서 전 분기에 이어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그 뒤로 LG디스플레이가 18.2%의 시장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4. 디지털 미디어(DD) 사업본부
홈씨어터 시장에서 2005년 1위를 기록(시장 점유율 16%) 특히 이탈리아, 체코, 헝가리, 호주, 남아프리카 공화국 등에서 세계 1위를 기록, 또한 DVD 플레이어는 3년 연속 세계시장 1위를 달성했다. 유럽의 전문잡지에서 ‘Best Buy\' 상을 수상하는 등 선진시장에서 각광받고 있다. 광스토리지 시장에서도 9년 연속 세계 판매 1위를 고수 하면서 29%의 시장 점유율을 달성하고 있으며 특히, 지난 95년 유럽의 대표적인 프리미엄 시장인 독일에 첫 진출 이후 2000년부터 광스토리지 시장에서 시장 점유율 40%로 1위를 지키고 있다.
① 광스토리지 시장 : 올해 일본 도시바와 광스토리지 전 제품에 걸친 특허 및 기술에 대해 크로스 라이선스를 체결했다. 고화질(HD) 콘텐츠가 증가하고 고용량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증가하면서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되는 광스토리지 시장에서, 도시바와의 계약 체결을 통해 제품 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