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밥의 역사와 분류
Ⅱ. 밥의 종류
1. 쌀밥
2. 잡곡밥
3. 보리밥
4. 오곡(五穀)밥
5. 찰밥
6. 팥밥
7. 밤밥
Ⅲ. 별미밥의 종류
1. 비빔밥
2. 김치밥
3. 콩나물밥
4. 무밥
5. 취나물밥
6. 표고버섯 밥
Ⅳ.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1. 음식문화란 무엇인가?
2. 한국의 자연환경과 음식문화
3. 한국 음식문화의 특징과 역사적 발전
4.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1) 전통음식
2) 음식명칭의 통일
3) 한식 전문 인력 양성
4) 가격 수준의 합리화
5) 음식에 관한 홍보방법의 개선
6) 다양한 음식 엔터테인먼트 개발
7) 외국의 성공사례 벤치마킹
참고문헌
Ⅱ. 밥의 종류
1. 쌀밥
2. 잡곡밥
3. 보리밥
4. 오곡(五穀)밥
5. 찰밥
6. 팥밥
7. 밤밥
Ⅲ. 별미밥의 종류
1. 비빔밥
2. 김치밥
3. 콩나물밥
4. 무밥
5. 취나물밥
6. 표고버섯 밥
Ⅳ.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1. 음식문화란 무엇인가?
2. 한국의 자연환경과 음식문화
3. 한국 음식문화의 특징과 역사적 발전
4. 한국 음식문화의 개선점
1) 전통음식
2) 음식명칭의 통일
3) 한식 전문 인력 양성
4) 가격 수준의 합리화
5) 음식에 관한 홍보방법의 개선
6) 다양한 음식 엔터테인먼트 개발
7) 외국의 성공사례 벤치마킹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 국제적으로 통일하자. 음식 책자도 필요하다. 요리책 수준을 넘어 우리의 음식문화를 제대로 설명하는 전문적인 음식 서적이 나와야 한다.
3) 한식 전문 인력 양성
한국 음식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한식 요리 전문가가 필요하다. 한국 음식도 제대로 만들려면 매우 어렵다. 이제는 ‘한국 사람이면 누구나 한국음식을 만들 줄 안다‘는 식의 사고를 탈피해야 한다. 한식도 전문가에 의해 고급스럽고 전문적으로 만들어야 제 맛이 난다. 한국음식의 국제화를 위해서 가장 중요하면서 어려운 과제가 전문가 육성이다. 해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한식업체 상당수가 전문적인 한식 조리사 부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호소하고 있다. 전문가는 전통음식의 제조, 검사, 가공, 마케팅 등 각 분야별로 필요하다.
4) 가격 수준의 합리화
전반적으로 한식은 가격이 비싸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 음식의 가격 수준이 타 민족 음식에 비해 비싸지 않도록 합리적인 수준을 제시해야 한다. 음식가격은 업자의 자율적인 판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나친 폭리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도 마련되야 한다. 한식의 가격이 적정할 뿐만 아니라 쉽게 구입할 수 있어야 한다. 또 고령자나 장애인에게 할인 제도를 실시하는 것도 한식의 판매 증대 방안이다. 음식 가격이나 식당 서비스에서 한국 식당이 고쳐야 할 점은 너무나 많다.
5) 음식에 관한 홍보방법의 개선
음식에 관한 전통적인 홍보 방법은 현지에서 맛이나 소문을 널리 알린다든지, 판촉 및 전시행사를 자주하는 것이다. 음식 홍보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홍보 방법의 질적 개선이다. 이제는 가만히 앉아서 음식 맛이 소문나기만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신문과 텔레비전을 이용해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유명한 영화 감독이나 배우들이 자주 한국 식당을 이용한다는 점을 강조해도 된다. 음식 홍보도 감각과 디자인이 가미돼야 한다. 유명한 연예인이나 정치인, 사회 저명인사가 한국 음식을 애호한다는 점은 중요한 홍보 포인트이다. 한국 음식은 맛있고 건강하며 아름다운 음식이라는 점은 좋은 홍보 소재이다.
6) 다양한 음식 엔터테인먼트 개발
한국음식을 제대로 홍보하기 위해서는 음식에 관련된 다양한 속담이나 관용어, 이야기 등을 발굴하고 보급해야 한다. 특색이 있는 엔터테인먼트를 프랜차이즈화하는 것도 방법이다. 식당에서의 가야금이나 창 공연 등 다양한 음악과 예술적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간단한 행사로서는 엿장수의 엿 판매행사를 병행하는 것도 고객을 감동시킨다. ‘덕담 마케팅’도 음식을 홍보하기 위한 방안이다. 백세까지 산다는 백세주, 약식동원이라는 말의 의미, 백설기 등도 좋은 마케팅의 소재가 될 것이다. 우리 한식은 종류별로 이러한 재미있는 유래와 이야기 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흥미로운 한국 문화를 소재로 한 음식상품의 개발은 한식에 대한 외국인의 호기심을 자극할 것이다.
7) 외국의 성공사례 벤치마킹
태국 음식은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사례로 알려진다. 태국의 경우는 국가가 앞장서서 태국 음식의 국제화를 추진했다. 2001년에는 “Global Thai Restaurant Project”를 실시했으며, 2004년에는 “Kitchen to the World”라는 음식 프로젝트를 실시해 태국 음식의 표준화, 음식점 메뉴얼화, 정부인증제 등 음식산업의 국제화를 추진했다. 또 천만 달러의 투자기금을 조성하여 태국 음식의 국제화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했다. 이 계획으로 미국 업체와 프랜차이즈를 실시해 미국 내에서 5년 동안 1천여개 지역에 태국 음식 레스토랑 3천개를 설립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이 성공하면 연 20억 달러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한다. 그 결과 태국 음식의 표준화, 자본투자, 그리고 모델화가 이루어졌으며, 태국 음식은 세계 어디서나 국제화된 음식이 되었다. 태국 음식은 어느 나라 사람이나 무난하다고 평가한다. 새우가 들어간 수프인 “톰양꿍(Tom Yang Gung)”은 독특한 맛과 향으로 세계 3대 수프의 하나가 됐다. 태국 음식의 국제화로 관련 산업에 미치는 효과도 크다. 음식의 국제화로 해외에 있는 태국 식당의 음식재료는 상당부분 태국에서 수입하도록 한다. 일부 식재료와 조리 기구는 70%이상을 태국에서 수입하도록 권장한다. 식자재 및 주방기구 등 부가적인 수입도 만만치 않다. 태국 음식의 국제화를 추진하기 위해 방콕 근처에 전문 조리학교를 설립하여 전문 훈련을 실시한다. 전문요리사를 양성하고 우수인력은 외국에 유학을 보내기도 한다. 태국 음식의 전통과 맛의 보존을 위하여 정부가 메뉴 개발을 하기도 한다. 태국 음식은 현지화, 세계화, 국제화하여 성공한 사례이다.
일본의 경우도 음식 세계화에 일찍 눈을 떴다. 1964년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된 도쿄올림픽을 통해 철판구이인 데리야끼를 세계화시키는데 성공했으며, 이후 세계 각국에서 일본 음식은 고급음식으로 자리잡는다. 미국에서도 스시(초밥), 사시미(생선회)가 고급음식의 대명사가 될 정도로 국제화에 성공하였다. 자연히 기꼬망 간장 등 요리재료나 소스류도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게 된다. 우리도 못할 이유가 없다. 일본이나 태국음식보다 더 많은 가짓수가 있고 전통과 역사도 더 깊다. 하루빨리 한국 음식을 국제화해 우리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그 외에도 성공한 외국의 음식사례는 많다. 중국의 차이니즈 레스토랑 “미스터 차우(Mr. Chow)”는 사교장이며 세계적인 문화공간으로 대표적으로 성공한 사례이다. 베트남 레스토랑인 “포호아(PhoHoa)”도 미국은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인기를 끈다. 쌀가루를 이용한 베트남 국수는 우리 입맛에도 맞는다.
참고문헌
김아리, 밥힘으로 살아온 우리민족, 아이세움, 2002
이성우, 한국 식생활의 역사, 수학사, 1992.
강인희, 한국식생활변천사. 식생활개선범국민운동본부, 1988.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2000.
강인희, 한국식생활풍속, 삼영사, 1984.
김상보, 한국음식생활문화사, 광문각, 1997.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1999.
문미옥, 한국전통음식문화교육, 학지사, 2000.
김기숙 외, 식품과 음식문화, 교문사, 1999.
3) 한식 전문 인력 양성
한국 음식의 국제화를 위해서는 한식 요리 전문가가 필요하다. 한국 음식도 제대로 만들려면 매우 어렵다. 이제는 ‘한국 사람이면 누구나 한국음식을 만들 줄 안다‘는 식의 사고를 탈피해야 한다. 한식도 전문가에 의해 고급스럽고 전문적으로 만들어야 제 맛이 난다. 한국음식의 국제화를 위해서 가장 중요하면서 어려운 과제가 전문가 육성이다. 해외로 진출하고자 하는 한식업체 상당수가 전문적인 한식 조리사 부족을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호소하고 있다. 전문가는 전통음식의 제조, 검사, 가공, 마케팅 등 각 분야별로 필요하다.
4) 가격 수준의 합리화
전반적으로 한식은 가격이 비싸다는 평가를 받는다. 한국 음식의 가격 수준이 타 민족 음식에 비해 비싸지 않도록 합리적인 수준을 제시해야 한다. 음식가격은 업자의 자율적인 판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나, 지나친 폭리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도 마련되야 한다. 한식의 가격이 적정할 뿐만 아니라 쉽게 구입할 수 있어야 한다. 또 고령자나 장애인에게 할인 제도를 실시하는 것도 한식의 판매 증대 방안이다. 음식 가격이나 식당 서비스에서 한국 식당이 고쳐야 할 점은 너무나 많다.
5) 음식에 관한 홍보방법의 개선
음식에 관한 전통적인 홍보 방법은 현지에서 맛이나 소문을 널리 알린다든지, 판촉 및 전시행사를 자주하는 것이다. 음식 홍보와 관련하여 중요한 것은 홍보 방법의 질적 개선이다. 이제는 가만히 앉아서 음식 맛이 소문나기만을 기다려서는 안 된다. 신문과 텔레비전을 이용해 대중의 호기심을 자극하거나 유명한 영화 감독이나 배우들이 자주 한국 식당을 이용한다는 점을 강조해도 된다. 음식 홍보도 감각과 디자인이 가미돼야 한다. 유명한 연예인이나 정치인, 사회 저명인사가 한국 음식을 애호한다는 점은 중요한 홍보 포인트이다. 한국 음식은 맛있고 건강하며 아름다운 음식이라는 점은 좋은 홍보 소재이다.
6) 다양한 음식 엔터테인먼트 개발
한국음식을 제대로 홍보하기 위해서는 음식에 관련된 다양한 속담이나 관용어, 이야기 등을 발굴하고 보급해야 한다. 특색이 있는 엔터테인먼트를 프랜차이즈화하는 것도 방법이다. 식당에서의 가야금이나 창 공연 등 다양한 음악과 예술적 분위기를 제공하는 것도 중요하다. 간단한 행사로서는 엿장수의 엿 판매행사를 병행하는 것도 고객을 감동시킨다. ‘덕담 마케팅’도 음식을 홍보하기 위한 방안이다. 백세까지 산다는 백세주, 약식동원이라는 말의 의미, 백설기 등도 좋은 마케팅의 소재가 될 것이다. 우리 한식은 종류별로 이러한 재미있는 유래와 이야기 소재를 개발해야 한다. 흥미로운 한국 문화를 소재로 한 음식상품의 개발은 한식에 대한 외국인의 호기심을 자극할 것이다.
7) 외국의 성공사례 벤치마킹
태국 음식은 전 세계적으로 성공한 사례로 알려진다. 태국의 경우는 국가가 앞장서서 태국 음식의 국제화를 추진했다. 2001년에는 “Global Thai Restaurant Project”를 실시했으며, 2004년에는 “Kitchen to the World”라는 음식 프로젝트를 실시해 태국 음식의 표준화, 음식점 메뉴얼화, 정부인증제 등 음식산업의 국제화를 추진했다. 또 천만 달러의 투자기금을 조성하여 태국 음식의 국제화를 실질적으로 뒷받침했다. 이 계획으로 미국 업체와 프랜차이즈를 실시해 미국 내에서 5년 동안 1천여개 지역에 태국 음식 레스토랑 3천개를 설립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이 성공하면 연 20억 달러의 수익을 올릴 수 있다고 한다. 그 결과 태국 음식의 표준화, 자본투자, 그리고 모델화가 이루어졌으며, 태국 음식은 세계 어디서나 국제화된 음식이 되었다. 태국 음식은 어느 나라 사람이나 무난하다고 평가한다. 새우가 들어간 수프인 “톰양꿍(Tom Yang Gung)”은 독특한 맛과 향으로 세계 3대 수프의 하나가 됐다. 태국 음식의 국제화로 관련 산업에 미치는 효과도 크다. 음식의 국제화로 해외에 있는 태국 식당의 음식재료는 상당부분 태국에서 수입하도록 한다. 일부 식재료와 조리 기구는 70%이상을 태국에서 수입하도록 권장한다. 식자재 및 주방기구 등 부가적인 수입도 만만치 않다. 태국 음식의 국제화를 추진하기 위해 방콕 근처에 전문 조리학교를 설립하여 전문 훈련을 실시한다. 전문요리사를 양성하고 우수인력은 외국에 유학을 보내기도 한다. 태국 음식의 전통과 맛의 보존을 위하여 정부가 메뉴 개발을 하기도 한다. 태국 음식은 현지화, 세계화, 국제화하여 성공한 사례이다.
일본의 경우도 음식 세계화에 일찍 눈을 떴다. 1964년 세계적인 관심이 집중된 도쿄올림픽을 통해 철판구이인 데리야끼를 세계화시키는데 성공했으며, 이후 세계 각국에서 일본 음식은 고급음식으로 자리잡는다. 미국에서도 스시(초밥), 사시미(생선회)가 고급음식의 대명사가 될 정도로 국제화에 성공하였다. 자연히 기꼬망 간장 등 요리재료나 소스류도 세계적인 브랜드로 자리 잡게 된다. 우리도 못할 이유가 없다. 일본이나 태국음식보다 더 많은 가짓수가 있고 전통과 역사도 더 깊다. 하루빨리 한국 음식을 국제화해 우리의 위상을 높여야 한다. 그 외에도 성공한 외국의 음식사례는 많다. 중국의 차이니즈 레스토랑 “미스터 차우(Mr. Chow)”는 사교장이며 세계적인 문화공간으로 대표적으로 성공한 사례이다. 베트남 레스토랑인 “포호아(PhoHoa)”도 미국은 물론 다른 나라에서도 인기를 끈다. 쌀가루를 이용한 베트남 국수는 우리 입맛에도 맞는다.
참고문헌
김아리, 밥힘으로 살아온 우리민족, 아이세움, 2002
이성우, 한국 식생활의 역사, 수학사, 1992.
강인희, 한국식생활변천사. 식생활개선범국민운동본부, 1988.
이효지, 한국의 음식문화, 신광출판사, 2000.
강인희, 한국식생활풍속, 삼영사, 1984.
김상보, 한국음식생활문화사, 광문각, 1997.
윤서석, 우리나라 식생활 문화의 역사, 1999.
문미옥, 한국전통음식문화교육, 학지사, 2000.
김기숙 외, 식품과 음식문화, 교문사, 1999.
추천자료
- 역사연표
- 역사학과 역사교육
- [역사학 개론] 기독교 관점 근대(포스트모던)역사학 비판
- [중국][중국문화][중국의 문화][중국의 역사][중국의 역사 연표][분기별 중국의 역사][중국 ...
- 역사와 역사관
- 역사의 의미 역사학의 학문적 성격 사료의 중요성
- [식물][식물 특징][은행][은행열매][은행(은행열매) 효능][은행나무 특징][은행나무 효능]식...
- 역사지도를 활용한 교재개발
- 역사 연대표의 지도 방법
- 제례문화 (제사, 제사의 유래 및 의의, 제사의 종류, 제사상 차리기, 제사 음식의 종류, 제...
- [복지국가의 발전 Development of Welfare States] 복지국가 개념, 복지국가 도입, 복지국가 ...
- [한국어교육] 식(食) 관련 관용어 - 관용어 분류 및 분석, 문화적 논의(속성의 유사성, 상황...
- [한국어교육] 식(食) 관련 속담에 대한 이해(속담 분류 및 분석, 문화적 논의)
- 사회복지실천의 역사 - 사회복지실천의 역사적 발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