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HIP
<1>Flexion
<2>Extension
<3> Abduction
<4>Adduction
<5>External rotation
<6>Internal rotation
KNEE
<1>Flexion
<2>Extention
ankle
1. 저측굴곡(plantar flexion)
2. 배측굴곡(dorsi flexion)
3. 발 내반(foot inversion)
4. 발 외반(foot eversion)
<1>Flexion
<2>Extension
<3> Abduction
<4>Adduction
<5>External rotation
<6>Internal rotation
KNEE
<1>Flexion
<2>Extention
ankle
1. 저측굴곡(plantar flexion)
2. 배측굴곡(dorsi flexion)
3. 발 내반(foot inversion)
4. 발 외반(foot eversion)
본문내용
l, Good, Fair)
환자의 자세: shortsitting(무릎뒤에 패드를 받침)
검사자의 자세: 검사하려는 하지 옆에 선다. 저항하는 손-발목 바로 위 원위부에서 하퇴부 의 앞쪽 면 촉지
검사: 무릎을 신전시킴(0°를 넘지 않음)
Normal - 최대 저항에 대해 마지막 자세 유지
Good - 중등도의 저항에 대해 마지막 자세 유지
Fair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전 관절 가도 범위를 움직이며 자세 유지
(Poor)
환자의 자세: sidelying(검사하려는 다리는 위, 아래쪽 하지는 약간 굴곡)
검사자의 자세: 환자의 무릎 뒤쪽에 섬. 한손- 팔은 대퇴부를 받치고 손은 무릎을 받침, 한손- 복사뼈 바로 위에 다리를 지지함
검사: 무릎을 신전.
Poor - 관절 가동범위를 완전히 움직임
(Trace, Zero)
환자의 자세: supine
검사자의 자세: 검사하려는 다리의 무릎 부위 옆에 섬. 한손- 대퇴사두근을 엄지손가락과 2번째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잡아 촉지
검사: 무릎을 신전하려고 시도
Trace - 근 수축은 촉지 할 수 있으나 관절의 움직임은 일어나지 않음
Zero - 근 수축을 촉지 할 수 없음
(Normal, Good, Fair)
(Poor) (Trace, Zero)
족관절(ankle)
1. 저측굴곡(plantar flexion)
1) 주동근 : 비복근(fastrocnemius), 넙치근(soleus)
2) 신경 : 경골신경(S1, 2)
3) 운동범위 : 0˚~45˚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 standing
Poor, Trace, Zero → prone
5) 검사자의 자세 : 검사자의 옆에 가까이 서거나 앉는다.
6) 검사 : 환자는 바닥에서부터 발꿈치를 떼고 족저굴곡의 전 관절 가동범위를 움직여 보려고 시도한다
Normal → standing(무릎 신전): 뒷꿈치 4~5번 든다.
Good → standing(무릎 신전): 뒷꿈치 2~3번 든다.
Fair → standing(무릎 신전): 뒷꿈치 1번 든다.
Poor → prone(무릎 신전) : plantar flexion이 가능하다
Trace, Zero → prone(무릎 신전)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3 등급 2 등급(끝까지들수없음) 1, 0등급
2. 배측굴곡(dorsi flexion)
1) 주동근 :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2) 신경 :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
3) 운동범위 : 0˚~20˚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Poor → short sitting
Trace, Zero → supine
5) 검사자의 자세 : 환자의 앞에 낮은 의자에 앉아 환자의 발을 검사자의 대퇴부위에 올려놓는다. 5등급과 4등급 검사를 위하여 한 손은 복사뼈 바로 위 다리 뒷 부분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발의 배측면을 잡고 저항을 가한다.
6) 검사 : 환자는 발가락을 이완시킨 상태로 발목을 배축굴곡 시킨다.
Normal → short sitting : 최대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Good → short sitting : 중등도 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Fair → short sitting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full ROM
Poor → short sitting : 단지 부분적인 ROM
Trace, Zero → supine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등급 3등급
3. 발 내반(foot inversion)
1) 주동근 :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2) 신경 : 경골신경(tibial nerve)
3) 운동범위 : 0˚~35˚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Poor → short sitting
Trace, Zero → supine
5) 검사자의 자세 : 환자의 앞이나 검사측 다리 쪽에 낮은 의자를 사용하여 앉는다.
한 손은 복사뼈 바로 위 발목을 고정시킨다. 저항을 주는 손은 중족골 부위에서 후방, 내측을 가볍게 잡는다. 저항은 외반과 약간의 배측 굴 곡 방향으로 준다.
6) 검사 : 환자는 발을 가능한 관절 운동 범위로 내반한다.
Normal → short sitting : 최대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Good → short sitting : 중등도 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Fair → short sitting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full ROM
Poor → short sitting : 단지 부분적인 ROM
Trace, Zero → supine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등급 3, 2 등급
4. 발 외반(foot eversion)
1) 주동근 : 장비골근(peroneus longus)
단비골근(proneus brevis)
2) 신경 : 천비골 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
3) 운동범위 : 0˚~25˚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Poor → short sitting
Trace, Zero → supine
5) 검사자의 자세 : 환자의 앞에 앉고 한손은 안정을 위해 복사뼈의 바로 위 발목을 붙잡는 다. 저항을 주는 손은 전족부의 발등쪽 외측면을 가볍게 잡는다.
저항은 내반과 약간의 배측굴곡 방향으로 준다.
6) 검사 : 환자는 제 1중수골을 하강하여 약간의 족저굴곡과 함께 발을 외반한다.
Normal → short sitting : 최대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Good → short sitting : 중등도 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Fair → short sitting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full ROM
Poor → short sitting : 단지 부분적인 ROM
Trace, Zero → supine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등급 3, 2 등급 1, 0 등급
환자의 자세: shortsitting(무릎뒤에 패드를 받침)
검사자의 자세: 검사하려는 하지 옆에 선다. 저항하는 손-발목 바로 위 원위부에서 하퇴부 의 앞쪽 면 촉지
검사: 무릎을 신전시킴(0°를 넘지 않음)
Normal - 최대 저항에 대해 마지막 자세 유지
Good - 중등도의 저항에 대해 마지막 자세 유지
Fair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전 관절 가도 범위를 움직이며 자세 유지
(Poor)
환자의 자세: sidelying(검사하려는 다리는 위, 아래쪽 하지는 약간 굴곡)
검사자의 자세: 환자의 무릎 뒤쪽에 섬. 한손- 팔은 대퇴부를 받치고 손은 무릎을 받침, 한손- 복사뼈 바로 위에 다리를 지지함
검사: 무릎을 신전.
Poor - 관절 가동범위를 완전히 움직임
(Trace, Zero)
환자의 자세: supine
검사자의 자세: 검사하려는 다리의 무릎 부위 옆에 섬. 한손- 대퇴사두근을 엄지손가락과 2번째 손가락으로 부드럽게 잡아 촉지
검사: 무릎을 신전하려고 시도
Trace - 근 수축은 촉지 할 수 있으나 관절의 움직임은 일어나지 않음
Zero - 근 수축을 촉지 할 수 없음
(Normal, Good, Fair)
(Poor) (Trace, Zero)
족관절(ankle)
1. 저측굴곡(plantar flexion)
1) 주동근 : 비복근(fastrocnemius), 넙치근(soleus)
2) 신경 : 경골신경(S1, 2)
3) 운동범위 : 0˚~45˚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 standing
Poor, Trace, Zero → prone
5) 검사자의 자세 : 검사자의 옆에 가까이 서거나 앉는다.
6) 검사 : 환자는 바닥에서부터 발꿈치를 떼고 족저굴곡의 전 관절 가동범위를 움직여 보려고 시도한다
Normal → standing(무릎 신전): 뒷꿈치 4~5번 든다.
Good → standing(무릎 신전): 뒷꿈치 2~3번 든다.
Fair → standing(무릎 신전): 뒷꿈치 1번 든다.
Poor → prone(무릎 신전) : plantar flexion이 가능하다
Trace, Zero → prone(무릎 신전)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3 등급 2 등급(끝까지들수없음) 1, 0등급
2. 배측굴곡(dorsi flexion)
1) 주동근 :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2) 신경 : 심비골신경(deep peroneal nerve)
3) 운동범위 : 0˚~20˚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Poor → short sitting
Trace, Zero → supine
5) 검사자의 자세 : 환자의 앞에 낮은 의자에 앉아 환자의 발을 검사자의 대퇴부위에 올려놓는다. 5등급과 4등급 검사를 위하여 한 손은 복사뼈 바로 위 다리 뒷 부분을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발의 배측면을 잡고 저항을 가한다.
6) 검사 : 환자는 발가락을 이완시킨 상태로 발목을 배축굴곡 시킨다.
Normal → short sitting : 최대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Good → short sitting : 중등도 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Fair → short sitting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full ROM
Poor → short sitting : 단지 부분적인 ROM
Trace, Zero → supine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등급 3등급
3. 발 내반(foot inversion)
1) 주동근 : 후경골근(tibialis posterior)
2) 신경 : 경골신경(tibial nerve)
3) 운동범위 : 0˚~35˚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Poor → short sitting
Trace, Zero → supine
5) 검사자의 자세 : 환자의 앞이나 검사측 다리 쪽에 낮은 의자를 사용하여 앉는다.
한 손은 복사뼈 바로 위 발목을 고정시킨다. 저항을 주는 손은 중족골 부위에서 후방, 내측을 가볍게 잡는다. 저항은 외반과 약간의 배측 굴 곡 방향으로 준다.
6) 검사 : 환자는 발을 가능한 관절 운동 범위로 내반한다.
Normal → short sitting : 최대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Good → short sitting : 중등도 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Fair → short sitting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full ROM
Poor → short sitting : 단지 부분적인 ROM
Trace, Zero → supine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등급 3, 2 등급
4. 발 외반(foot eversion)
1) 주동근 : 장비골근(peroneus longus)
단비골근(proneus brevis)
2) 신경 : 천비골 신경(superficial peroneal nerve)
3) 운동범위 : 0˚~25˚
4) 환자의 자세 : Normal, Good, Fair, Poor → short sitting
Trace, Zero → supine
5) 검사자의 자세 : 환자의 앞에 앉고 한손은 안정을 위해 복사뼈의 바로 위 발목을 붙잡는 다. 저항을 주는 손은 전족부의 발등쪽 외측면을 가볍게 잡는다.
저항은 내반과 약간의 배측굴곡 방향으로 준다.
6) 검사 : 환자는 제 1중수골을 하강하여 약간의 족저굴곡과 함께 발을 외반한다.
Normal → short sitting : 최대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Good → short sitting : 중등도 저항을 이기면서 full ROM
Fair → short sitting : 저항이 없는 상태에서 full ROM
Poor → short sitting : 단지 부분적인 ROM
Trace, Zero → supine : 1등급 : 근육이 수축하는 것을 느낄 수 있다.
0등급 : 근수축을 느낄 수 없다.
5, 4 등급 3, 2 등급 1, 0 등급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