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교과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인간중심 교육과정○
○경험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
○인간중심 교육과정○
본문내용
교육과정에서는 고정된 교과목과 교수요목이 있는 것으로 보는데 반해 경험중심 교육과정에서는 교사 및 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갖게 되는 모든 경험’을 교육과정이라 보았다. 따라서 경험중심 교육과정은 학생 수만큼의 교수과정 수, 곧 다양한 경험의 수가 존재한다고 본다.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은 첫째, 생활인을 기르기 위한 교육내용 구성을 의도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내용 속에는 인간관계, 시민으로서의 책임, 경제적능률, 자아의 실현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험과 과제들이 중심으 이룬다. 둘재, 교과활동도 중요시하지만 그에 못지 안헥 교과외 활동인 여행, 견학, 전시화, 자치활동, 클럽활동, 봉사활동 등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경험은 바로 생활과 직결되어 있고, 이러한 생활경험이 곧 학생들이 실제 생활문제에 부닥쳤을 때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안목을 길러준다고 보았다. 셋째, 아동중심, 학생중심 교육이라는 점이다. 아동 학생이 무엇을 원하며, 어떤 흥미를 갖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경험을 구성하려고 한다. 그래서 아동중심, 요구중심, 흥미중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넷째, 문제해결력을 강조한다.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속에서는 언제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만약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적응능력을 잃어 도태되어 버릴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의 능력, 태도, 방법 등을 경험하고 익혀야 된다고 주장한다. 장래를 위한 준비교육이 아니라 바로 지금의 생활을 사는 지혜와 태도를 터득케 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3~1973년 사이에 미국의 실용주의 영향, 진보주의 교육, 새 교육 등의 영향을 받아 생활중심 교육과정이 자주성, 생산정, 유용성을 강조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대두된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잇다. 첫째는 1957년 소련이 미국에 앞서 스푸트니크 인공위성을 발사함으로 해서 냉전구도속의 서방 맹주인 미국이 생활중심, 경험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경험중심 교육과정으로는 소련의 과학과 기술을 추월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절박했다. 둘째는 2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지식과 기술,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예컨대 1900년까지의 지식의 양은 1950년에 두배로 증가했고, 그 후 이것은 다시 25년이 지난 1975년에 다시 두배로 증가되었다고 추계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
경험중심 교육과정의 특징은 첫째, 생활인을 기르기 위한 교육내용 구성을 의도 하고 있다. 따라서 교육내용 속에는 인간관계, 시민으로서의 책임, 경제적능률, 자아의 실현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경험과 과제들이 중심으 이룬다. 둘재, 교과활동도 중요시하지만 그에 못지 안헥 교과외 활동인 여행, 견학, 전시화, 자치활동, 클럽활동, 봉사활동 등을 중요시한다 이러한 경험은 바로 생활과 직결되어 있고, 이러한 생활경험이 곧 학생들이 실제 생활문제에 부닥쳤을 때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과 안목을 길러준다고 보았다. 셋째, 아동중심, 학생중심 교육이라는 점이다. 아동 학생이 무엇을 원하며, 어떤 흥미를 갖고 있는가를 중심으로 경험을 구성하려고 한다. 그래서 아동중심, 요구중심, 흥미중심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넷째, 문제해결력을 강조한다. 급격히 변화하는 사회속에서는 언제나 새로운 문제가 발생하기 마련이다. 만약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적응능력을 잃어 도태되어 버릴 것이다. 그러므로 학교교육에서는 이러한 문제해결의 능력, 태도, 방법 등을 경험하고 익혀야 된다고 주장한다. 장래를 위한 준비교육이 아니라 바로 지금의 생활을 사는 지혜와 태도를 터득케 하고자 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1963~1973년 사이에 미국의 실용주의 영향, 진보주의 교육, 새 교육 등의 영향을 받아 생활중심 교육과정이 자주성, 생산정, 유용성을 강조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학문중심 교육과정○
학문중심 교육과정이 대두된 배경은 크게 두 가지로 볼 수 잇다. 첫째는 1957년 소련이 미국에 앞서 스푸트니크 인공위성을 발사함으로 해서 냉전구도속의 서방 맹주인 미국이 생활중심, 경험중심 교육과정에 대한 불신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다. 경험중심 교육과정으로는 소련의 과학과 기술을 추월할 수 없다는 위기감이 절박했다. 둘째는 20세기 후반에 접어들면서 지식과 기술, 정보가 폭발적으로 증가하게 되었다. 예컨대 1900년까지의 지식의 양은 1950년에 두배로 증가했고, 그 후 이것은 다시 25년이 지난 1975년에 다시 두배로 증가되었다고 추계하고 있다. 따라서 학교교육
추천자료
7차선택중심교육과정과 수능결합의 의미분석
주문진고 선택중심교육과정 운영 사례 보고서
유아미술 역할극-결과중심교육과정, 과정중심교육과정
타일러의 목표중심교육과정
교과중심과 경험중심교육과정
교과중심교육과정과 경험중심교육과정을 비교하시오
고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성격과 목표, 고등학교 영어과(영어교육)의 수준별교육과정과 ...
활동중심통합교육과정
교육과정및평가-브루너의 지식의 구조론과 듀이의 경험 중심교육을 교육목표,교육내용,교육방...
공업계 고등학교(공고)의 목표, 공업계 고등학교(공고)의 선택중심교육과정, 공업계 고등학교...
'학습자 중심교육'이란 이름의 7차 교육과정
제 7차 교육과정 선택중심교육과정
타일러의 교육과정개발모형과 스킬백의 학교중심교육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