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목차
1. William Blake
"The Lamb"
"The Chimney Sweeper(SI)"
"Holy Thursday(SI)" "The Tyger"
"London"
2. William Wordsworth
"Lines Written in Early Spring"
"Strange Fits of Passion Have I Known"
"I Wandered Lonely as a Cloud"
"My Heart Leaps Up"
"Lines Composed a Few Miles Above Tintern Abbey"
3. S. T. Coleridge
"Kubla Khan"
"Frost at Midnight"
4. P. B. Shelley
"A Song: 'Men of England'"
"Ode to the West Wind"
5. John Keats
"Ode to a Nightingale"
"Ode on a Grecian Urn"
"To Autumn"
6. Alfred, Lord Tennyson
"Ulysses"
"Crossing the Bar"
7. Robert Browning
"My Last Duchess"
8. Matthew Arnold
"Dover Beach"
9. W. B. Yeats
"Easter, 1916"
"Sailing to Byzantium"
"Lapis Lazuli"
"Byzantium"
10. T. S. Eliot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The Waste Land"
"The Lamb"
"The Chimney Sweeper(SI)"
"Holy Thursday(SI)" "The Tyger"
"London"
2. William Wordsworth
"Lines Written in Early Spring"
"Strange Fits of Passion Have I Known"
"I Wandered Lonely as a Cloud"
"My Heart Leaps Up"
"Lines Composed a Few Miles Above Tintern Abbey"
3. S. T. Coleridge
"Kubla Khan"
"Frost at Midnight"
4. P. B. Shelley
"A Song: 'Men of England'"
"Ode to the West Wind"
5. John Keats
"Ode to a Nightingale"
"Ode on a Grecian Urn"
"To Autumn"
6. Alfred, Lord Tennyson
"Ulysses"
"Crossing the Bar"
7. Robert Browning
"My Last Duchess"
8. Matthew Arnold
"Dover Beach"
9. W. B. Yeats
"Easter, 1916"
"Sailing to Byzantium"
"Lapis Lazuli"
"Byzantium"
10. T. S. Eliot
"The Love Song of J. Alfred Prufrock"
"The Waste Land"
본문내용
아니라 아이들이 게을리 일 할 때에는 공장의 관리인이나 집주인이 막대기로 엉덩이와 발바닥을 잔인하게 찌르면서 굴뚝청소를 재촉하였다. 이 시는 이러한 산업사회를 배경으로 쓰여졌다.
※ 블레이크는 이 시에서 하루 하루 힘들게 살아가는 아이들에 대한 연민과 함께 권위와 권력만을 생각하는 왕과 교회, 그리고 아이들을 방치하는 부모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다. 특히 종교적인 이상이 어린 아이의 믿음이나 순수함 보다 결코 상위에 있을 수 없다는 새로운 시대정신적 메시지를 전해준다.
굴뚝 청소부
윌리엄 블레이크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전 아주 어렸습니다.
아버지가 저를 팔아버렸습니다. 아직 제 혀가
―뚝! ―뚝! 소리도 제대로 내지 못할 때였습니다.
그래서 전 굴뚝청소를 하고 검댕 속에서 잡니다.
톰 데이커라는 꼬마가 있는데, 양털처럼 곱슬곱슬한
머리칼이 잘릴 때 울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말했죠.
“울지 마, 톰! 신경쓸 거 없어, 머리칼이 없으면
네 하얀 머리칼이 검댕에 더럽혀질 일도 없잖아.”
그러자 톰은 울음을 그쳤습니다. 바로 그날 밤
톰은 잠을 자다가 꿈에 굉장한 광경을 보았습니다!
딕이랑, 조랑, 네드랑, 잭이랑 수천 명의 청소부가
모두 검은 관 속에 갇혀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천사 하나가 반짝이는 열쇠를 가지고 와서
관들을 열고 다 밖으로 나오게 해 주었습니다.
아이들이 푸른 들판을 팔짝거리며 웃으며 달려갑니다.
강에서 몸을 씻자 몸뚱이들이 햇빛을 받아 빛납니다.
발가벗은 흰 몸으로, 다들 청소가방을 팽개친 채,
아이들은 구름 위로 올라가 바람을 타고 놉니다.
천사가 톰에게 말했습니다, 네가 착한 아이가 되면
하나님을 아버지로 모시고 언제나 기쁨이 넘칠 것이라고.
그러다 톰은 잠을 깼고, 우리도 어둠 속에서 일어나
모두들 가방과 솔을 챙겨 일터로 향했습니다.
아침은 차가웠지만 톰은 행복하고 마음이 따뜻했습니다.
모두 자기 할 일을 다 하면 걱정할 것이 없을 것입니다.
“The Chimney sweeper\"
이 시에서는 냉혹한 현실 속에서 비참하게 생활하고 있지만 항상 긍정적인 생각으로 한 가닥의 구김살도 없고 순수한 굴뚝 청소부의 생활을 주제로 하고 있다. (시)
당시 산업혁명을 전후한 시대의 영구에서는 어린아이들이 흔히 굴뚝 청소에 동원되었는데 그것은 영국 주택의 굴뚝이 겨우 어린아이만 드나들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좁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나이는 대체로 6~7세로 어리면 어릴수록 굴뚝 청소가 용이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좁은 굴뚝 속에서 일해야만 했던 어린이들은 안타깝게도 너무나 어린 나이에 ‘Chimney sweeper Cancer’에 걸리기도 하고, 굴뚝의 열기에 화상을 입기도 했다.
There\'s little Tom Dacre, who cried when his head
That curl\'d like a lamb\'s back, was shav\'d, so I said,
\"hush, Tom! never mind it, for when your head\'s bare,
You know that the soot cannot spoil your white hair.\"
여기에서는 굴뚝 청소부의 슬픈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
자신과 같이 어린 나이에 비참한 처지에 처해 있는 Tom이 머리카락이 잘려나갔다고 울자 오히려 머리가 검정 숯에 더럽혀질 염려가 없다며 이 시의 화자는 긍정적인 시각에서 Tom을 위로하고 있다. 이렇게 냉혹한 현실과는 상관없이 사실 그 자체를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이 어린이의 순수함을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죽음의 세계를 상징하는 관(Coffin)은 어린이들이 주로 일하는 굴뚝이다. 그러나 그 속에 갇혀 있으면서도 순수함을 잃지 않는 아이들에게 열쇠를 가진 천사가 나타나는데 이천사는 창조주의 또 다른 모습이다. 천사를 통해 God의 사랑을 확인한 Tom은 자기 할 일을 열심히 하는 착한 아이가 되면 신과 함께 영원히 즐거울 거라는 꿈속으로부터 다시 냉혹하고 암담한 현실로 돌아오게 된다. 부지런히 일어나 가방을 들고 일터로 나가는 아이의 마음속에는 행복하고 따뜻하기만 하다. 그것은 바로 그 어린이가 순수함을 잃지 않았고, 또한 비참한 현실 속에서도 마음속에는 항상 따뜻하고 행복한 순수의 세계로 꽉 차있기 때문이다.
5. London
William Blake
I wander thro\' each charter\'d street,
Near where the charter\'d Thames does flow,
And mark in every face I meet
Marks of weakness, marks of woe.
In every cry of every Man,
In every Infant\'s cry of fear,
In every voice, in every ban,
The mind-forg\'d manacles I hear.
How the Chimney-sweeper\'s cry
Every black\'ning Church appalls;
And the hapless Soldier\'s sigh
Runs in blood down Palace walls.
But most thro\' midnight streets I hear
How the youthful Harlot\'s curse
Blasts the new-born Infant\'s tear,
And blights with plagues the Marriage hearse
이 시는 당시 영국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권력층만을 위한 국법, 제도에 소외계층,빈민층들이 겪어야만 하는 가난의 비참한 생활상을 신랄하게 묘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권 - 주류, 상류사회를 위한 호화스러운 거리, 가진 자들을 위한 안락한 휴식공간인 아름다운 템즈 강은 향락을 위한 전리품이고 그 거리와 강가를 그저 헐벗은 맨손과 굶주린 배를 움켜쥐고 생계를 위해 바쁘게 스쳐지나갈 수 밖에 없는 영국의 어두운 뒷골목의 서민들의 생활고.
비애스러운 삶, 가진 것이 없는 나약함과 현실(모두 일부를 위해 위장된, 만들어진 완벽한 제도, 겉으로는 그럴싸해 보이지만 폐부는
※ 블레이크는 이 시에서 하루 하루 힘들게 살아가는 아이들에 대한 연민과 함께 권위와 권력만을 생각하는 왕과 교회, 그리고 아이들을 방치하는 부모에 대해 비판적인 시각을 보인다. 특히 종교적인 이상이 어린 아이의 믿음이나 순수함 보다 결코 상위에 있을 수 없다는 새로운 시대정신적 메시지를 전해준다.
굴뚝 청소부
윌리엄 블레이크
어머니가 돌아가셨을 때 전 아주 어렸습니다.
아버지가 저를 팔아버렸습니다. 아직 제 혀가
―뚝! ―뚝! 소리도 제대로 내지 못할 때였습니다.
그래서 전 굴뚝청소를 하고 검댕 속에서 잡니다.
톰 데이커라는 꼬마가 있는데, 양털처럼 곱슬곱슬한
머리칼이 잘릴 때 울었습니다. 그래서 제가 말했죠.
“울지 마, 톰! 신경쓸 거 없어, 머리칼이 없으면
네 하얀 머리칼이 검댕에 더럽혀질 일도 없잖아.”
그러자 톰은 울음을 그쳤습니다. 바로 그날 밤
톰은 잠을 자다가 꿈에 굉장한 광경을 보았습니다!
딕이랑, 조랑, 네드랑, 잭이랑 수천 명의 청소부가
모두 검은 관 속에 갇혀 있는 게 아니겠습니까.
그런데 천사 하나가 반짝이는 열쇠를 가지고 와서
관들을 열고 다 밖으로 나오게 해 주었습니다.
아이들이 푸른 들판을 팔짝거리며 웃으며 달려갑니다.
강에서 몸을 씻자 몸뚱이들이 햇빛을 받아 빛납니다.
발가벗은 흰 몸으로, 다들 청소가방을 팽개친 채,
아이들은 구름 위로 올라가 바람을 타고 놉니다.
천사가 톰에게 말했습니다, 네가 착한 아이가 되면
하나님을 아버지로 모시고 언제나 기쁨이 넘칠 것이라고.
그러다 톰은 잠을 깼고, 우리도 어둠 속에서 일어나
모두들 가방과 솔을 챙겨 일터로 향했습니다.
아침은 차가웠지만 톰은 행복하고 마음이 따뜻했습니다.
모두 자기 할 일을 다 하면 걱정할 것이 없을 것입니다.
“The Chimney sweeper\"
이 시에서는 냉혹한 현실 속에서 비참하게 생활하고 있지만 항상 긍정적인 생각으로 한 가닥의 구김살도 없고 순수한 굴뚝 청소부의 생활을 주제로 하고 있다. (시)
당시 산업혁명을 전후한 시대의 영구에서는 어린아이들이 흔히 굴뚝 청소에 동원되었는데 그것은 영국 주택의 굴뚝이 겨우 어린아이만 드나들 수 있을 정도로 매우 좁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들의 나이는 대체로 6~7세로 어리면 어릴수록 굴뚝 청소가 용이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좁은 굴뚝 속에서 일해야만 했던 어린이들은 안타깝게도 너무나 어린 나이에 ‘Chimney sweeper Cancer’에 걸리기도 하고, 굴뚝의 열기에 화상을 입기도 했다.
There\'s little Tom Dacre, who cried when his head
That curl\'d like a lamb\'s back, was shav\'d, so I said,
\"hush, Tom! never mind it, for when your head\'s bare,
You know that the soot cannot spoil your white hair.\"
여기에서는 굴뚝 청소부의 슬픈 현실을 묘사하고 있다.
자신과 같이 어린 나이에 비참한 처지에 처해 있는 Tom이 머리카락이 잘려나갔다고 울자 오히려 머리가 검정 숯에 더럽혀질 염려가 없다며 이 시의 화자는 긍정적인 시각에서 Tom을 위로하고 있다. 이렇게 냉혹한 현실과는 상관없이 사실 그 자체를 긍정적으로 볼 수 있는 이 어린이의 순수함을 현실의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이라고도 생각할 수 있다. 죽음의 세계를 상징하는 관(Coffin)은 어린이들이 주로 일하는 굴뚝이다. 그러나 그 속에 갇혀 있으면서도 순수함을 잃지 않는 아이들에게 열쇠를 가진 천사가 나타나는데 이천사는 창조주의 또 다른 모습이다. 천사를 통해 God의 사랑을 확인한 Tom은 자기 할 일을 열심히 하는 착한 아이가 되면 신과 함께 영원히 즐거울 거라는 꿈속으로부터 다시 냉혹하고 암담한 현실로 돌아오게 된다. 부지런히 일어나 가방을 들고 일터로 나가는 아이의 마음속에는 행복하고 따뜻하기만 하다. 그것은 바로 그 어린이가 순수함을 잃지 않았고, 또한 비참한 현실 속에서도 마음속에는 항상 따뜻하고 행복한 순수의 세계로 꽉 차있기 때문이다.
5. London
William Blake
I wander thro\' each charter\'d street,
Near where the charter\'d Thames does flow,
And mark in every face I meet
Marks of weakness, marks of woe.
In every cry of every Man,
In every Infant\'s cry of fear,
In every voice, in every ban,
The mind-forg\'d manacles I hear.
How the Chimney-sweeper\'s cry
Every black\'ning Church appalls;
And the hapless Soldier\'s sigh
Runs in blood down Palace walls.
But most thro\' midnight streets I hear
How the youthful Harlot\'s curse
Blasts the new-born Infant\'s tear,
And blights with plagues the Marriage hearse
이 시는 당시 영국사회의 모순을 비판하고 권력층만을 위한 국법, 제도에 소외계층,빈민층들이 겪어야만 하는 가난의 비참한 생활상을 신랄하게 묘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권 - 주류, 상류사회를 위한 호화스러운 거리, 가진 자들을 위한 안락한 휴식공간인 아름다운 템즈 강은 향락을 위한 전리품이고 그 거리와 강가를 그저 헐벗은 맨손과 굶주린 배를 움켜쥐고 생계를 위해 바쁘게 스쳐지나갈 수 밖에 없는 영국의 어두운 뒷골목의 서민들의 생활고.
비애스러운 삶, 가진 것이 없는 나약함과 현실(모두 일부를 위해 위장된, 만들어진 완벽한 제도, 겉으로는 그럴싸해 보이지만 폐부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