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베트남이란 어떤나라 2
1. 베트남 지리 및 민족구성 2
2. 베트남의 민족적 특징 2
Ⅱ. 베트남의 역사 3
1. 중국통치시대 3
2. 중국으로부터 베트남 독립 3
3. 떠이선(Tayson)의 반란 4
4. 응우엔왕조시대 5
5. 프랑스령 식민시대 5
Ⅲ. 베트남 전쟁 8
1. 1차 인도차이나 전쟁 8
2. 2차 인도차이나 전쟁 9
3.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11
4. 라이따이한과 한국인 11
Ⅳ. 베트남 생활문화 14
1. 베트남의 의(衣)문화 14
2. 베트남의 식(食)문화 15
3. 베트남의 주(宙)문화 15
Ⅴ. 베트남 생활문화 16
1. 베트남 여성들에 관한 정서 16
2. 기존의 정서 16
3. 베트남인들의 정서 16
Ⅵ. 변화하는 베트남 16
1. 도이모이 – 개혁개방정책 16
2. 경제ㆍ산업 17
1. 베트남 지리 및 민족구성 2
2. 베트남의 민족적 특징 2
Ⅱ. 베트남의 역사 3
1. 중국통치시대 3
2. 중국으로부터 베트남 독립 3
3. 떠이선(Tayson)의 반란 4
4. 응우엔왕조시대 5
5. 프랑스령 식민시대 5
Ⅲ. 베트남 전쟁 8
1. 1차 인도차이나 전쟁 8
2. 2차 인도차이나 전쟁 9
3. 베트남 전쟁과 한국군 11
4. 라이따이한과 한국인 11
Ⅳ. 베트남 생활문화 14
1. 베트남의 의(衣)문화 14
2. 베트남의 식(食)문화 15
3. 베트남의 주(宙)문화 15
Ⅴ. 베트남 생활문화 16
1. 베트남 여성들에 관한 정서 16
2. 기존의 정서 16
3. 베트남인들의 정서 16
Ⅵ. 변화하는 베트남 16
1. 도이모이 – 개혁개방정책 16
2. 경제ㆍ산업 17
본문내용
거운 물에 넣고 데쳐 다시 차가운 물로 헹궈 뼈를 우려낸 육수에 넣고 기호에 따라 박하, 레몬즙, 숙주나물 등과 함께 먹는다. 퍼는 주로 아침식사로 이용된다고 한다.
(3) 베트남의 주(宙)문화
-남향집, 집의 한 가운데에 신주 모심. 부모의 방을 가운데로 하여 서쪽은 아들, 동쪽은 딸의 방으로 사용. 나무침대. 돗자리 사용. 모기장이 중요.
-입식생활
5. 베트남의 가치관
(1) 베트남 여성들에 관한 정서
생활적응력이 높고명예를 중시. 유교문화의 영향으 로 가부장적인데 익숙하다. 정서적으로 한국인이 가진 여러가지 특징공유 => 한국인 농촌총각과 결혼 가능한 이유.
(2) 기존의 정서
베트남여성들이 일본, 대만, 한국으로 시집가는것이 멸시의 대상이 되었으나 요즘은 인식이 많이 개선됨.(여전히남아있는부분도있음)
(3) 베트남인들의 정서
- 이론보다는 직관이 풍부
-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협력을 우선시 하는 경향
- 유교사상에 의해 효와 예와 도덕과 의와 지와 신의를 처세의 덕목으로 삼음. 베트남은 가족 안에서 개인이 무시되는 철저한 가족 중심주의 사회로서 가정은 가장 혹은 족장에 의해 움직여지는 효행중심주의였다. 유교의 영향에 의해 일찍부터 과거제도가 있었고 학 문을 즐겨 함. 반면 자랑하기 좋아하며, 외형과 허명에 관심이 높아 가끔 거만하게 행동 하며 과장하기도 함.
- 신앙심이 깊어 조상숭배와 종교에 심취.
- 유교사회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공산화와 중국의 문화혁명, 시장경제의 영향을 받아 사회 가 변해 감.
6. 변화하는 베트남
(1)도이모이(DoiMoi) 개혁개방정책
- 베트남 판페레스트로 이카로 불리어잔도 이모이정책은 1986년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한 구엔 반린이 강력하게 추진.
- 1986년 12월 제6차베트남 공산당 전당대회에서 구엔반린이 서기장에 취임한 뒤, 전시형 외국의존경제에서 탈피하여 자조자립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추구하는 베트남식 개혁 개 방정책인<도이모이[刷新]>정책을 채택.
- 공산당은 90년 3월 중앙위원회에서 동구식 다당제채택을 거부하는 1당 지배체제원칙을 고수하고 부정부패 척결, 당체질개선,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당건설등 구체적인 쇄신방 안을 채택하였다.
- 91년 6월 제7차전당대회에서<도이모이> 노선을 재확인
- 92년 9월 제9기국회에서는 레둑안을 주석에 선출하고 보반키에트 총리등 개혁파각료들 을 유임시킴으로써 경제개혁가속화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 한편 경제개혁추진과정에서 이권 개입·밀수등 공직사회의 부정부패가 만연하자 정부는 92년 부패방지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대대적인 부정추방운동을 전개하였다.
- 97년 7월 총선에이어 9월 새로 개원한의회는 트란둑주옹부총리를 국가주석으로, 판반카 이부총리를 총리로 선출했다.- 12월 공산당중앙위원회 비공식회의에서 도무오이서기장 후임에 군총정치국장 인레카피에 우정치국상무위원을 선임. 이에 따라도무오이, 레둑안, 보반키에트 등 원로 3명이 일선에서 은퇴했다. 2002년 트란둑루웅국가주석이 국회의원 이 재선되었다.
(2) 경제·산업
- 1976년 남북통일을 이룬 뒤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목표로 경제의 남북통일을 꾀하고 있 으나 순조롭지 못한 형편이다.
1981-85년 제3차 5개년 계획에서 경제활동일부에 자유화를 허용하였으나, 오히려 북부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86년 제6차당대회에서 사회주의이식 실패에 따른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하여<도이모이> 정책을 채택하였다.
경 제
1975년에 공산화 통일된 베트남은 오랜 전쟁 탓에 경제 기반이 무너져 베트남 국민들의 가난한 생활이 계속되었다. 1980년에는 태풍으로 역사상 최대의 인명 피해가 발생해 베트남 경제가 타격을 받았다. 이후 1980년대부터 베트남 정부는 국민들의 먹을거리를 해결해주기 위하여 계획경제 작업을 중지하고, 새로운 경제 정책을 실시하였다. 현재는 옛날의 가난에서 크게 벗어났으며 빠르게 경제 성장을 하고 있지만 빠른 경제 성장의 후유증도 같이 겪고 있다. 베트남의 GDP는 1446억달러이며 1인당 GDP는 1700달러이다[3]. 수출은 822억 달러, 수입은 568억 달러이며 휴대폰 가입자는 인구의 9% 정도인 1730만 명인데 SK 텔레콤 등 한국 업체들이 CDMA 방식을 수출하여 진출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1991만 명(12%)이고 이중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20만 명으로 아직 소수이다. 컴퓨터 보급율 또한 155만대(2%) 정도이다. 하지만 주요도시에는 인터넷 카페가 많이 설치되어 있어서 인터넷 국제전화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트남의 생산품은 1차 산업으로 통해 얻어진 생산물이다. 특히 베트남은 중국과 미국을 이어 3대 쌀 생산국이다. 그 외에 커피와 차를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서방 세계와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석유개발을 통해 산유국이 되었다.
산 업
농업이 주산업으로 되어 있다. 국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메콩 삼각주에서 생산되는 쌀이 국민의 주식인 동시에 수출품목의 대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오랜 전쟁으로 국토는 황폐하고 사회주의 이식 실패에 따른 경제파탄이 왔다. 1986년 12월 당대회에서 부분적인 사유경제제도를 도입하는 실용주의 경제정책을 채택했다. 제4차 5개년 계획(1986년~1990년)의 골간으로 1990년까지 2,300만 톤의 식량 생산, 5년간 70%의 수출증대를 선정하는 등 경제의 개방화를 적극 추진했다. 북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석탄·목재·해산물·차 등이고, 석탄·철광석·인회석·크롬·주석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남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쌀·고무·새우·차 등이다. ‘도이모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는 1989년 이래 연평균 8%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1995, 1996년도에도 9% 이상의 고속성장을 지속했다.[1]
유 통 업
베트남 유통업태는 특히 도시지역에서 과거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재래시장으로부터 현대화된 수퍼마켓과 쇼핑센터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수입상품의 취급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1999년 2개의 대형수퍼마켓에서 2004년에는 전국적으로 85개가 넘는 현대화된 수퍼마켓이 운영이다.
<출처 : 위키백과사전>
(3) 베트남의 주(宙)문화
-남향집, 집의 한 가운데에 신주 모심. 부모의 방을 가운데로 하여 서쪽은 아들, 동쪽은 딸의 방으로 사용. 나무침대. 돗자리 사용. 모기장이 중요.
-입식생활
5. 베트남의 가치관
(1) 베트남 여성들에 관한 정서
생활적응력이 높고명예를 중시. 유교문화의 영향으 로 가부장적인데 익숙하다. 정서적으로 한국인이 가진 여러가지 특징공유 => 한국인 농촌총각과 결혼 가능한 이유.
(2) 기존의 정서
베트남여성들이 일본, 대만, 한국으로 시집가는것이 멸시의 대상이 되었으나 요즘은 인식이 많이 개선됨.(여전히남아있는부분도있음)
(3) 베트남인들의 정서
- 이론보다는 직관이 풍부
- 개인보다는 공동체의 협력을 우선시 하는 경향
- 유교사상에 의해 효와 예와 도덕과 의와 지와 신의를 처세의 덕목으로 삼음. 베트남은 가족 안에서 개인이 무시되는 철저한 가족 중심주의 사회로서 가정은 가장 혹은 족장에 의해 움직여지는 효행중심주의였다. 유교의 영향에 의해 일찍부터 과거제도가 있었고 학 문을 즐겨 함. 반면 자랑하기 좋아하며, 외형과 허명에 관심이 높아 가끔 거만하게 행동 하며 과장하기도 함.
- 신앙심이 깊어 조상숭배와 종교에 심취.
- 유교사회의 성격을 가지면서도 공산화와 중국의 문화혁명, 시장경제의 영향을 받아 사회 가 변해 감.
6. 변화하는 베트남
(1)도이모이(DoiMoi) 개혁개방정책
- 베트남 판페레스트로 이카로 불리어잔도 이모이정책은 1986년 공산당 서기장에 취임한 구엔 반린이 강력하게 추진.
- 1986년 12월 제6차베트남 공산당 전당대회에서 구엔반린이 서기장에 취임한 뒤, 전시형 외국의존경제에서 탈피하여 자조자립의 사회주의 시장경제를 추구하는 베트남식 개혁 개 방정책인<도이모이[刷新]>정책을 채택.
- 공산당은 90년 3월 중앙위원회에서 동구식 다당제채택을 거부하는 1당 지배체제원칙을 고수하고 부정부패 척결, 당체질개선, 대중과 함께 호흡하는 당건설등 구체적인 쇄신방 안을 채택하였다.
- 91년 6월 제7차전당대회에서<도이모이> 노선을 재확인
- 92년 9월 제9기국회에서는 레둑안을 주석에 선출하고 보반키에트 총리등 개혁파각료들 을 유임시킴으로써 경제개혁가속화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 한편 경제개혁추진과정에서 이권 개입·밀수등 공직사회의 부정부패가 만연하자 정부는 92년 부패방지위원회를 신설하는 등 대대적인 부정추방운동을 전개하였다.
- 97년 7월 총선에이어 9월 새로 개원한의회는 트란둑주옹부총리를 국가주석으로, 판반카 이부총리를 총리로 선출했다.- 12월 공산당중앙위원회 비공식회의에서 도무오이서기장 후임에 군총정치국장 인레카피에 우정치국상무위원을 선임. 이에 따라도무오이, 레둑안, 보반키에트 등 원로 3명이 일선에서 은퇴했다. 2002년 트란둑루웅국가주석이 국회의원 이 재선되었다.
(2) 경제·산업
- 1976년 남북통일을 이룬 뒤 사회주의 경제건설을 목표로 경제의 남북통일을 꾀하고 있 으나 순조롭지 못한 형편이다.
1981-85년 제3차 5개년 계획에서 경제활동일부에 자유화를 허용하였으나, 오히려 북부 지역 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 86년 제6차당대회에서 사회주의이식 실패에 따른 경제난을 타개하기 위하여<도이모이> 정책을 채택하였다.
경 제
1975년에 공산화 통일된 베트남은 오랜 전쟁 탓에 경제 기반이 무너져 베트남 국민들의 가난한 생활이 계속되었다. 1980년에는 태풍으로 역사상 최대의 인명 피해가 발생해 베트남 경제가 타격을 받았다. 이후 1980년대부터 베트남 정부는 국민들의 먹을거리를 해결해주기 위하여 계획경제 작업을 중지하고, 새로운 경제 정책을 실시하였다. 현재는 옛날의 가난에서 크게 벗어났으며 빠르게 경제 성장을 하고 있지만 빠른 경제 성장의 후유증도 같이 겪고 있다. 베트남의 GDP는 1446억달러이며 1인당 GDP는 1700달러이다[3]. 수출은 822억 달러, 수입은 568억 달러이며 휴대폰 가입자는 인구의 9% 정도인 1730만 명인데 SK 텔레콤 등 한국 업체들이 CDMA 방식을 수출하여 진출하고 있다. 인터넷 사용자는 1991만 명(12%)이고 이중 초고속 인터넷 가입자는 20만 명으로 아직 소수이다. 컴퓨터 보급율 또한 155만대(2%) 정도이다. 하지만 주요도시에는 인터넷 카페가 많이 설치되어 있어서 인터넷 국제전화 등을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트남의 생산품은 1차 산업으로 통해 얻어진 생산물이다. 특히 베트남은 중국과 미국을 이어 3대 쌀 생산국이다. 그 외에 커피와 차를 생산하고 있다. 최근에는 중국과 서방 세계와의 합작으로 이루어진 석유개발을 통해 산유국이 되었다.
산 업
농업이 주산업으로 되어 있다. 국민의 대부분이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메콩 삼각주에서 생산되는 쌀이 국민의 주식인 동시에 수출품목의 대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오랜 전쟁으로 국토는 황폐하고 사회주의 이식 실패에 따른 경제파탄이 왔다. 1986년 12월 당대회에서 부분적인 사유경제제도를 도입하는 실용주의 경제정책을 채택했다. 제4차 5개년 계획(1986년~1990년)의 골간으로 1990년까지 2,300만 톤의 식량 생산, 5년간 70%의 수출증대를 선정하는 등 경제의 개방화를 적극 추진했다. 북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석탄·목재·해산물·차 등이고, 석탄·철광석·인회석·크롬·주석 등의 지하자원이 풍부하다. 남부 베트남의 주요 수출품은 쌀·고무·새우·차 등이다. ‘도이모이 정책’ 이후 베트남 경제는 1989년 이래 연평균 8%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달성했으며 1995, 1996년도에도 9% 이상의 고속성장을 지속했다.[1]
유 통 업
베트남 유통업태는 특히 도시지역에서 과거 몇 년 동안 전통적인 재래시장으로부터 현대화된 수퍼마켓과 쇼핑센터로 점진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추세는 수입상품의 취급확대를 촉진하고 있다. 1999년 2개의 대형수퍼마켓에서 2004년에는 전국적으로 85개가 넘는 현대화된 수퍼마켓이 운영이다.
<출처 : 위키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