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지리학관점- 구북구(한국)의 생물상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물지리학관점- 구북구(한국)의 생물상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생물지리학적 관점

구북구
식물분포(식물상)
(1)난대림
(2)온대림
1)남부 온대림
2)중부 온대림
3)북부 온대림
(3)한대림

동물분포(동물상)
(1)시베리아 아지방
(2)중국아지방

본문내용

국경까지 이르는 평지는 대개 이에 속한다. 온대림을 다시 3부로 나누어 보면 다음과 같다.
1)남부 온대림
참대, 참단풍나무, 서나무가 생육하고 있는 곳으로 서해안 북위 37도 동해안은 38도 내륙은 36.5도 이남의 온대림이 이에 속한다.
2)중부온대림
신덕갈나무, 고로쇠단풍나무, 물자작나무, 개산초나무 등이 자생하는 곳으로 서해안은 북위 39도, 동해안은 40도, 내륙은 38도의 한계선으로부터 이남으로부터 남부 온대림의 북한계에 이르는 온대림이 이에 속한다
3)북부온대림
자작나무, 잣나무, 시닥나무, 물가작나무, 신떡갈나무 등이 자생하는 곳으로 중부 온대림 북한계로부터 국경까지 이르는 온대림이 이에 속한다.
(3)한대림
한대림은 우리나라의 평지에서 볼 수가 없다 중부 남부의 높은 산 정상부근 및 북부 개마고지에서만 볼 수 있다 한대림에 생식하는 수종은 잎갈나무 전나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지빵나무, 눈잣나무 같은 것들이다. 이상은 위도에 따른 산림식물의 수평적 분포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한국의 식물구계를 이웃나라와 비교하여 보건대 남부에 있어서는 일본과 동일 동이 많아져 한국고유종이 현저히 나타난다. 보다 북쪽으로 가면 서부와 동북부로 갈라져 분포상에 차별을 이룬다. 서부에 속하는 평안북도는 남만주와 랴우뚱 반도와 같은 동일종이 많아지며 한랭하므로 인접지인 소련의 연해주 및 북만주와 같은 플로라를 나타낸다.
>> 동물 지구의 분류
시베리아 아지방과 중국 아지방의 2지구로 나눈다. 시베리아 아지방은 한국의 동북부 즉 함경남도 부전령산맥 입구의 개마고원의 구역이다. 이죽는 지대가 높고 위도도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9.06.1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2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