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연중행사 일본의 국경일 히나마츠리 단고노셋쿠 시치고산 세츠분 오쇼가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일본의 연중행사 일본의 국경일 히나마츠리 단고노셋쿠 시치고산 세츠분 오쇼가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1. 오쇼가츠

2. 세츠분

3. 히나마츠리

4. 하나미

5. 단고노셋쿠

6. 다나바타

7. 오봉

8. 오츠키미

9. 시치고산

10. 도시노세
- 그밖의 일본의 국경일

본문내용

어 있다.
1) 유래
콩뿌리기는 원래 산미(散米)라 하여 하급의 영혼들을 대접하기 위해서 신사 주위에 쌀을 뿌린 것인데, 민간에게 전승되는 사이에 콩뿌리기로 바뀌었다. 게다가 중국에서 전래된 추나(追儺)의식을 받아들여 제재전복(除災傳福)을 염원했다는 데서도 유래된다. 이 두 가지를 절충한 것이 오늘날 전해지고 있는 세쯔분의 콩뿌리기 행사이다.
3. 히나마츠리(ひな祭り)
히나마쓰리는 3월일에 여자아이의 성장과 행복을 기원하는 행사로 여자 어린이의 날이다. 모모노셋쿠(桃の節句)라고도 한다.
그날 각 가정에서는 히나인형을 장식하여 여자아이의 건강과 장래의 행복을 기원하는 행사이다. 기원은 고대 중국에서 3월에 막 태어난 여자아이가 3일 후에 죽었기 때문에 사람들이 술을 준비하고 강으로 떠내려 보냈다는 고사에서 시작되었다.
이것이 3월 3일 물의 축제이고 이 날에는 사람들이 물가로 나와 몸에 붙은 병이나 재앙을 없애는 행사를 가졌다.
이러한 행사가 일본에 전해져 고대 일본에서는 신상에 일어날 수 있는 불결한 일이나 재난등을 인형에 옮겨 흐르는 강물에 떠내려 보내면서 액막이를 했는데 이를 히나나가시(ひな流し)라고 하였고, 이러한 풍습은 일본의 각지에 전해져 그 모습이 남아 있는데 아와시마 신사에서는 3월 3일 전국에서 봉납된 인형을 배에 실어 바다로 떠내려 보낸다고 한다. 이것이 일본 여자 아이들의 인형놀이와 결부되었고 오늘날과 같이 히나인형을 장식하고 여자아이의 무병과 행복을 기원하는 큰 축제로서 확립하게 된 것은 에도시대江戶時代(1603-1867)이후의 일이다. 궁정의 여성들 사이에서 성대하게 행해졌다고 한다 이 행사가 궁정에서 뿐만 아니라 일반서민 사이에 보급되면서 현대와 같은 히나마쯔리의 형태가 이루어졌다 그렇지만 일반서민이 히나인형을 살 수 있게 된 것은 명치시대(서기 1868년~서기 1912년)말경부터이다.
1) 히나인형
단을 만들어 그 위에 장식하는 인형이다. 왕과 왕비를 중심으로 각 단에는 일본 전통 옷을 입은 좌우대신, 궁녀, 악사를 상징하는 인형을 두었다.
4. 하나미(花見)
3월말~5월말. 만개한 벚꽃을 구경하는 벚꽃놀이
전국적으로 열리며 많은 사람들이 벚꽃나무 아래에 자리를 펴고 술을 마시고 노 래를 부르는등 즐거운 시간을 보냄 전국적으로 열리며 많은 사람들이 벚꽃나무 아래에 자리를 펴고 술을 마시고 노래를 부르는등 즐거운 시간을보낸다.
5.단고노셋쿠(端午の節句)
- 5월 5일. 남자아이의 건강한 성장과 출세를 기원하는 날
1) 고가츠닌교(五月人形): 영웅이나 사무라이 인형을 장식함

2) 고이노보리(こいのぼり): 종이나 헝겊으로 만든 잉어 모양으로 만든 기. 남자아이 의 출세를 기원. 잉어가 폭포를 올라가서 용이 된다고 하는 전설(登龍門)에서 유 래

6. 다나바타(七夕)
음력 7월 7일. 우리 나라의 칠월 칠석과 같은 날로써 견우성과 직녀성이 1년에 한 번 만난다는 풍습에서 유래 되었다. 중국에서 들어온 풍습이 일본 고유의 문화와 융합된 명절이다본래는 음력 7월 7일에 행해지는데 지방에 따라서는 한 달 늦은 8월 7일인 곳도 있다. 다나바타는 견우와 직녀가 일 년에 한 번 만나는 것을 허락하는 날이라는 전설이 퍼졌으며 七夕이라 표기하고 헤이안시대에는 상류층 자녀들이 기치코덴(乞巧奠)이라는 별축제를 하였다. 여자아이는 이 날 아침 머리를 감고, 각 가정에서는 신에게 바치는 식기류를 씻고, 벼루를 깨끗이 하고 불구(佛具)를 닦으며 준비하는 것 가운데는 신을 위한 제의 만들기가 있고, 발된 미코(神女)가 물가에 만들어진 단상에서 베를 짰다. 이러한 일본의 고래신앙과 중국에서 전래된 견우와 직녀의 전설이 합쳐서 오늘날의 풍습에 이르고 있다.
1) 다나바타다케(七夕竹)
칠석날 밤에는 견우와 직녀가 해후를 하고 다음 날에는 다시 하늘나라로 돌아간다.
그때 두 별에게 더러움, 부정을 함께 가지고 가게끔 대나무를 세우는 풍습이 생겼다.
2) 오색 단자쿠(五色短冊)
오색 단자쿠에다 노래나 뜻있는 문구(文句)를 써서 색지장식과 함께 대나무에 매달고 다음 날에는 대나무채로 강이나 바다로 떠내려 보내는 풍습이다. 중국에서는 직녀성을 기려 여성이 바느질에 능하도록 기원하는 풍습이 있었다는 데서 비롯, 일본에서는 오색 단자쿠에 소망을 쓰고 색종이, 종이학 등과 함께 정원에 장식한 대나무에 매달아 서도와 수예 등이 능숙해지도록 기원하였다.

7. 오봉(お盆)
정월과 더불어 일본의 2대 명절의 하나이며조상의 영전에 음식을 차리고 명복을 비는 불교 행사에서 유래 되었으며 조상의 영을 맞이하는 준비로서 집 주위에 등불을 켜두기나 성묘를 한다.
본 (盆)이란 말은 우라본경(盂蘭盆經)이라는 불교경전에서 유래되었지만 오본행사의 대부분 특히 중추부는 모두 일본특유의 것으로 불교와 관련된 의식은 아니다. 석가의 16명 제자 가운데 한 사람이 지옥으로 떨어져 괴로워하는 죽은 어머니를 지극 정성으로 공양하여 구해냈다고 하는 불교설화에서 유래된다. 음력 7월 13∼15일 사이에 불단에 공물을 바치고 조상의 혼령을 모신다. 관동지방에서는 양력 7월에 행해진다.
설과 함께 일본의 2대 명절로 도회지에 가 있던 이들이 오본을 보내기 위해 매년 고향으로 돌아간다. 이 귀성인파는 연례행사의 하나이다.
1) 하카마이리(墓參り): 성묘
1) 봉다나(盆棚; 제물선반) : 오봉기간 동안에는 불단에 특별히 선반을 설치하여 공물을 준비하며 설탕, 과자 등에 과일, 소면, 경단 등을 올려놓거나 생전에 조상이 즐겨먹던 음식을 준비한다.
2) 무카에비(迎え火): 13일 날 조상의 혼백을 맞이하기 위해서 묘 자리나 강가, 문 앞 등에 피우는 불. 주로 마, 보리, 짚, 소나무 등을 태움
3) 오쿠리비 (送り火): 오봉이 끝난 다음 날(일반적으로 16일), 저승으로 돌아가는조상의 영혼을 위해 피우는 불이다
4) 봉오도리(盆踊り): 오봉 기간 동안, 밤에 동네 사람들이 모여서 노래와 피리, 북 장단에 맞춰서 봉오도리(춤)를 즐긴다
8. 오츠키미(お月見)
9∼10월 초가을에는 태풍이 통과할 때를 제외하고는 쾌청한 날씨가 계속된다.
오쯔키미는 음력 8월 15일에 참억새나 경단, 감자, 고구마 등을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9.06.19
  • 저작시기2009.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