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러한 특징을 기반으로 우리가 원하는 목적에 맞게 사용할 수 있으며, 밑에 표에 두개의 증폭기의 차이점을 요약함으로써 이번 실험을 마치기로 하겠다.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
위상차
180˚
0˚
출력단자
컬렉터 단자
이미터 단자
전압이득
보통
1보다 작다
전류이득
보통
높다
전력이득
높다
높지만 전류이득보다는 낮다
입력임피던스
보통
높다
출력임피던스
보통
낮다
실험 15장에 대한 복습문제
1. 그림 15-1과 같은 위상분리기 회로에서 두 출력의 전압이득은?
(a) 1보다 현저히 크다 (b) 1과 같다. (c) 1보다 현저히 작다.( 1보다 약간 작다. )
⇒ 위에서의 전압이득은 각각 다음과 같다.
Av(OA)=Vout/Vin=[ic*(RC||RL1)]/[ie*(r\'e+RE||RL2)]=(RC||RL1)/(r\'e+RE||RL2)
=(1kΩ||1kΩ)/(3.676Ω+1kΩ||1kΩ)=0.993
Av(OB)=Vout/Vin=[ie*(RE||RL2)]/[ie*(r\'e+RE||RL2)]=(RE||RL2)/(r\'e+RE||RL2)
=(1kΩ||1kΩ)/(3.676Ω+1kΩ||1kΩ)=0.993이
모두 1보다 약간 작은 값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Av의 분모항(r\'e+RE||RL2)이
분자항 (RC||RL1)또는 (RE||RL2)보다 값이 크기 때문이다.
2. 그림 15-1과 같은 회로에서 두 개의 출력신호간 위상차는?
(a) 0° (b) 45°
(c) 90° (d) 180°
⇒ OA(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출력파형은 입력신호와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나타내어 졌다. 하지만 OB(공통 컬렉터 증폭기)의 출력파형은 입력신호와 0˚의 위상차를 가지고 나타내어 졌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OA와 OB의 출력파형은 서로 180˚의 위상차가 존재하게 된다.
3. 그림 15-1의 회로에서 부하저항 RL2가 제거된다면 Vout1은?
(a) 눈에 뛰게 증가한다. (b) 눈에 뛰게 감소한다. (c) 그대로이다.
⇒ 회로에서 부하저항(RL2)가 제거하여 Vout1(OA)을 측정하게 된다면, 우선 공식으로 보면, Vout1=[ic×(RC||RL1)]이고, 이 식에서 RL2와 관련된 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결국 Vout1의 출력전압값은 변함이 없게 된다.
4. 그림 15-1의 회로에서 부하저항 RL1이 제거된다면 Vout2은?
(a) 눈에 뛰게 증가한다. (b) 눈에 뛰게 감소한다. (c) 그대로이다.
⇒ 회로에서 부하저항(RL1)가 제거하여 Vout2(OB)을 측정하게 된다면, 우선 공식으로 보면, Vout2=[ie×(RE||RL2)]이고, 이 식에서 RL1와 관련된 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결국 Vout2의 출력전압값은 변함이 없게 된다.
5. 그림 15-1의 회로에서 부하저항 RL1이 제거된다면 Vout1은?
(a) 눈에 뛰게 증가한다. (b) 눈에 뛰게 감소한다. (c) 그대로이다.
⇒ 회로에서 부하저항(RL1)가 제거하여 Vout1(OA)을 측정하게 된다면, 우선 공식으로 보면, Vout1=[ic×(RC||RL1)]이고, 이 식에서 RL1이 제거
공통 이미터 증폭기
공통 컬렉터 증폭기
위상차
180˚
0˚
출력단자
컬렉터 단자
이미터 단자
전압이득
보통
1보다 작다
전류이득
보통
높다
전력이득
높다
높지만 전류이득보다는 낮다
입력임피던스
보통
높다
출력임피던스
보통
낮다
실험 15장에 대한 복습문제
1. 그림 15-1과 같은 위상분리기 회로에서 두 출력의 전압이득은?
(a) 1보다 현저히 크다 (b) 1과 같다. (c) 1보다 현저히 작다.( 1보다 약간 작다. )
⇒ 위에서의 전압이득은 각각 다음과 같다.
Av(OA)=Vout/Vin=[ic*(RC||RL1)]/[ie*(r\'e+RE||RL2)]=(RC||RL1)/(r\'e+RE||RL2)
=(1kΩ||1kΩ)/(3.676Ω+1kΩ||1kΩ)=0.993
Av(OB)=Vout/Vin=[ie*(RE||RL2)]/[ie*(r\'e+RE||RL2)]=(RE||RL2)/(r\'e+RE||RL2)
=(1kΩ||1kΩ)/(3.676Ω+1kΩ||1kΩ)=0.993이
모두 1보다 약간 작은 값을 나타내는데, 그 이유는 Av의 분모항(r\'e+RE||RL2)이
분자항 (RC||RL1)또는 (RE||RL2)보다 값이 크기 때문이다.
2. 그림 15-1과 같은 회로에서 두 개의 출력신호간 위상차는?
(a) 0° (b) 45°
(c) 90° (d) 180°
⇒ OA(공통 이미터 증폭기)의 출력파형은 입력신호와 180˚의 위상차를 가지고 나타내어 졌다. 하지만 OB(공통 컬렉터 증폭기)의 출력파형은 입력신호와 0˚의 위상차를 가지고 나타내어 졌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OA와 OB의 출력파형은 서로 180˚의 위상차가 존재하게 된다.
3. 그림 15-1의 회로에서 부하저항 RL2가 제거된다면 Vout1은?
(a) 눈에 뛰게 증가한다. (b) 눈에 뛰게 감소한다. (c) 그대로이다.
⇒ 회로에서 부하저항(RL2)가 제거하여 Vout1(OA)을 측정하게 된다면, 우선 공식으로 보면, Vout1=[ic×(RC||RL1)]이고, 이 식에서 RL2와 관련된 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결국 Vout1의 출력전압값은 변함이 없게 된다.
4. 그림 15-1의 회로에서 부하저항 RL1이 제거된다면 Vout2은?
(a) 눈에 뛰게 증가한다. (b) 눈에 뛰게 감소한다. (c) 그대로이다.
⇒ 회로에서 부하저항(RL1)가 제거하여 Vout2(OB)을 측정하게 된다면, 우선 공식으로 보면, Vout2=[ie×(RE||RL2)]이고, 이 식에서 RL1와 관련된 항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결국 Vout2의 출력전압값은 변함이 없게 된다.
5. 그림 15-1의 회로에서 부하저항 RL1이 제거된다면 Vout1은?
(a) 눈에 뛰게 증가한다. (b) 눈에 뛰게 감소한다. (c) 그대로이다.
⇒ 회로에서 부하저항(RL1)가 제거하여 Vout1(OA)을 측정하게 된다면, 우선 공식으로 보면, Vout1=[ic×(RC||RL1)]이고, 이 식에서 RL1이 제거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