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POP 전후 세계시장으로의 도약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J-POP 전후 세계시장으로의 도약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40년대 베끼기 엔까에서 90년대 세계 제 2위의 음반시장을 만들어 낸 일본음악

●90년대 J-POP 결산

●J-POP에만 존재하는 특별함

●일본음악에 대한 잘못된 인식... 그리고 진실

●J-POP로의 접근

●J-POP의 단점?

●한국...???

본문내용

2001년, 세계 음반 시장은 5대 메이저 레코드사가 약 70%를 점유하고 있다. 현재 세계시장 1위는 미국의 UNIVERSAL로 21.5%의 시장점유율을 갖고 있으며 2위 SONY는 14.6%, EMI가 13%로 3위를 기록하고 있다. 이밖에 TimeWarner가 12.6%로 4위, BMG가 9.7%로 5위를 달리고 있는데, 이 중 UNIVERSAL, SONY, TimeWarner가 모두 미국에 본사를 둔 기업이다. 이 밖의 다른 군소 레코드업체를 포함하면 미국은 세계 음반 시장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최근 영국의 EMI와 독일의 BMG가 미국 음반회사들에 맞서 합병을 선언하여 단일업체로는 최대 점유율을 가지게 되었으나 미국업체들의 확장에는 밀리는 듯하다. 문제는 이들 레코드사의 발매음반 대부분이 미국 음반이라는 데 있다. 2000년 12월 영국의 ‘THE TIMES\'지에는 밀레니엄 특집의 일환으로 20세기의 10대 음반과 10대 뮤지션을 선정한 바 있는데, 미국이 아닌 영국 신문에서조차 미국 음반과 미국 뮤지션들이 10위 내의 대다수를 차지하였다. 이는 세계 음반시장에서 미국 음악의 위상을 잘 말해주고 있다고 하겠다.
하지만 주목할 점은 일본회사인 SONY가 점유율 2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일본이 국가별 음반시장규모에서도 미국에 이어 2위라는 사실이다. 전체 매출액 규모 380억달러의 세계 음반시장에서 40%를 차지하는 미국에 이어 두 번째의 매출을 자랑하는 작은 섬나라 일본.
그들의 대중음악의 시작과 현재를 알아본다.
●40년대 베끼기 엔까에서 90년대 세계 제 2위의 음반시장을 만들어 낸 일본음악
우리 나라가 8.15광복을 맞이하던 날 일본은 쓰라린 전쟁의 패배를 맛보아야만 했다. 그 이후 우리 나라는 트로트에서 지금의 댄스 일변도인 가요시장으로, 일본은 엔까에서 세계 제 2위의 음악시장이라는 엄청난 발전으로 그 길을 달리했다. 도대체 일본음악은 어떠한 역사를 거쳐 왔길래 그렇게 발전할 수 있었을까?
○베끼기 엔까 (40-50년대)
일본의 패전 후인 1945년을 기점으로 미국 군대가 일본에 상륙하게 되고, 그러한 미국 군대가 상주하던 미군 부대를 전전하며 팝송을 따라 부르던 시절부터 일본의 대중가요는 그 뿌리를 내리기 시작했다. 이때부터 미국 대중음악의 인상적인 멜로디 라인과 일본인들의 정서가 융합되어 新엔까(40년대 이전부터 민족음악을 대변하는 엔까의 형태는 존재하고 있었다)가 탄생하기 시작했으며, 일본 엔까계의 전설적인 여왕이자 한국계 일본인으로도 유명한 미조라 히바리가 활동을 시작하던 시기도 바로 이때였다.
○포크와 록으로 움직이기 시작한 대중가요 (60년대)
60년대를 주름잡던 비틀즈(The Beatles)의 인기는 일본에서도 예외가 아니었다. 64년 일본에서 공연을 갖기도 했던 비틀즈로부터 지대한 영향을 받아 포크와 록의 움직임이 꿈틀거리기 시작하였고, 수많은 그룹 사운드 붐이 일어났다. 또한 당시 사카모토 큐(Sakamoto Q)의 \'Sukiyaki\'란 노래는 일본어로 불리워졌음에도 불구하고 미국 빌보드 챠트에서 1위를 기록하며 아시아 역사상 지금까지 유례없는 대 성과를 거두기도 하였다.
○TV로 양분화된 아이돌과 언더그라운드 (70년대)
70년대로 넘어오면서 일본의 음악계는 크게 두 가지 부류로 나뉘는데, 첫째는 미디어와 음악 산업의 발전으로 아이돌 가수의 원조격인 비디오형 가수들이 나타난 것이고, 둘째는 그러한 미디어에 반항하며 포크와 록의 전성기를 이루어낸 언더그라운드의 출현이다. 비디오형 가수의 원조 핑크 레이디(Pink Lady)와 일본 록 역사의 전설적인 그룹 해피 엔드(Happy End)가 탄생한 것이 바로 이 시기이다.
○각종 장르의 출현 (80년대)
80년대에 들어서는 여러가지 새로운 장르가 각 분야에서 생성되기 시작했다. 야마하 카시오등의 힘을 얻어 전자사운드 그룹 와이엠오(Y.M.O), 티엠엔(TMN)이 탄생했고, 미디어의 발달과 CD의 등장, 카라오케의 일반화 등으로 우리에게도 잘 알려진 소녀대, 소년대, 히카루겐지 같은 전형적인 아이돌 가수가 대거 등장했다. 또 다른 한편에서는 80년대의 버블경제가 만들어낸 암울한 사회를 비판하는 로큰롤과 펑크, 하드록 등이 록에서 한층 폭 넓어진 새로운 사운드를 보여주기 시작했다. 이 당시 록의 엑스 재팬(X JAPAN), 로큰롤의 오자키 유타카, 하드록의 라우드니스(Loudness)는 일본음악 역사에 한 획을 긋는 아티스트로 자리잡게 되었다.
○장르의 춘추전국 시대 (90년대)
80년대부터 자리잡기 시작한 일본음악의 장르별 움직임은 90년대 들어와 최고의 전성기를 맞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21페이지
  • 등록일2009.06.20
  • 저작시기200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35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