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실험제목
실험목적
실험 이론
실험 방법
기구 및 시약
실험결과
토의 및 결과
결론
참고문헌
실험목적
실험 이론
실험 방법
기구 및 시약
실험결과
토의 및 결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KCl= 0.0745g KCl/1L용액
따라서 0.745g/10L의 KCl이 필요하다.
③ 증류수 (20L)
④ Stop Watch
7. 실험방법
1) 실험1
-주입방법에 1단계 변화를 주었을 때 3개의 탱크의 농도변화의 응답속도 측정
① 20리터 용기(A용기)에 순수를 넣고 10리터 용기(B용기)에 0.001Mol농도의 KCl용액
(0.745g KCl)을 넣어 펌프와 연결한다.
② 탱크 1,2,3번의 전도도계의 수치가 일정하여 질 때까지, 장치의 배관과 3개의 탱크를 비커를
이용하여 순수로 세척하여준다.
① ②
③
③ 교반기 S/W를 올려주고 속도조절기를 사용하여 알맞은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유량을 100cc/min로 맞추고었다
④ A 용기의 용액을 3개의 탱크에 채운다.(A Pump S/W On)
⑤ 탱크 3번으로 Drain되면 B용기의 용액을 100ml/LPM으로 주입한다.
⑥ 탱크 1,2,3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전도도 값으로 기록한다.
⑦ 측정한 값을 그래프로 작성한다.
2) 실험2
-주입방법에 충격변화를 주었을 때 3개 탱크의 변화와 응답속도 측정
① 20리터 용기(A용기)에 순수를 넣고 10리터 용기(B용기)에 0.001Mol농도의 KCl용액을 넣어 펌프와 연결한다.
② 탱크 1,2,3번의 전도도계의 수치가 일정하여 질 때까지, 장치의 배관과 3개의 탱크를 비커를 이용하여 순수로 세척하여준다.
③ 교반기 S/W를 올려주고 속도조절기를 사용하여 알맞은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④ A 용기의 용액을 3개의 탱크에 채운다.(A Pump S/W On)
⑤ 탱크 3번으로 Drain되면 B용기의 용액을 100ml/LPM으로 약 4분간 주입한다.
⑥ 다시 순수를 100ml/LPM으로 주입한다.
⑦ 탱크 1,2,3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전도도 값으로 기록한다.
⑧ 측정한 값을 그래프로 작성한다.
8. 실험결과 및 고찰
1) 실험1
시간
(분)
전도도
시간
(분)
전도도
tank1
tank2
tank3
tank1
tank2
tank3
0
2
2.2
3.1
20
155.3
112.9
63.8
1
22.9
2.6
3.0
21
156.9
116.9
68.5
2
38.5
4.6
2.9
22
158.8
121.2
73.5
3
53.3
8.1
3.1
23
160.3
124.9
78.1
4
66.5
13.1
3.8
24
161.2
128.4
82.8
5
78.6
18.7
4.6
25
162.2
131.7
87.2
6
89
25.0
6.1
26
163.2
134.8
91.6
7
98.6
32.1
8.1
27
164.1
137.7
96.6
8
106.5
39.6
11.2
28
164.8
140.1
99.4
9
114.5
46.7
14.3
29
165.6
142.3
103.3
10
120.1
53.4
17.0
30
166.5
144.9
107.7
11
126
60.3
20.9
31
166.7
146.8
111.3
12
131.2
67.5
25.2
32
167.4
148.7
113.8
13
135.6
74.0
29.6
33
168.0
150.7
117.0
14
139.5
81.6
35.5
34
168.5
152.3
120.9
15
142.6
86.3
39.6
35
168.9
153.3
122.0
16
145.8
92.3
43.8
36
169.2
155.1
125.7
17
148.7
98.5
50.0
37
169.5
156.2
128.1
18
151.3
103.6
54.8
38
170.0
157.5
130.7
19
153.3
108.2
59.6
39
170.4
159.0
133.5
실험1의 경우 처음 증류수를 채운 후 이것이 tank3까지 drain되면 B용기의 용액을 채워 1단계 변화를 주었을 때 그 초기입력 농도에 해당하는 conductivity에 도달하는 지 그 결과를 보는 것이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B용기의 용액을 주입 시 그 응답속도가 tank1, tank2, tank3 차례로 나타나 탱크 사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전달지연 현상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 그래프의 기울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험의 다른 목적은 초기농도 입력값에 해당하는 전도도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것인데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그래프들이 최종 농도값에 근접하게 올라가는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오른쪽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그래프와도 흡사하게 나타나 비교적 성공적인 실험이라고 볼 수 있다.
2) 실험2
시간
(분)
전도도
시간
(분)
전도도
tank1
tank2
tank3
tank1
tank2
tank3
0
65.8
13.9
3.0
20
11.0
21.8
22.9
1
58.3
18.4
3.9
21
10.1
20.8
22.8
2
52.0
22.2
6.6
22
9.3
19.6
22.4
3
48.4
25.6
8.3
23
8.7
18.7
22.0
4
42.2
27.9
10.0
24
8.1
17.7
21.6
5
38.5
29.3
11.6
25
7.5
16.9
21.2
6
34.9
30.4
13.7
26
7.0
15.8
20.6
7
32.0
30.7
15.2
27
6.6
15.1
20.3
8
28.2
30.9
16.6
28
6.2
14.3
19.6
9
26.8
30.8
17.9
29
5.7
13.3
18.8
10
24.6
30.4
19.0
30
5.3
12.6
18.3
11
22.5
29.9
19.8
31
5.0
11.6
17.3
12
20.8
29.3
20.7
32
4.7
11.0
16.8
13
19.4
28.7
21.4
33
4.5
10.5
16.1
14
17.8
27.8
21.9
34
4.3
9.8
15.5
15
16.5
27.0
22.4
35
4.1
9.3
14.5
16
15.2
26.0
22.7
36
3.9
8.7
14.1
17
13.9
24.9
23.0
37
3.7
8.4
13.9
18
12.9
23.9
23.1
38
3.5
8.1
13.7
19
11.9
22.9
23.0
39
3.3
7.8
13.5
실험2의 경우 증류수를 tank3까지 drain한 후 B용기의 용액을 주입 후 다시 증류수를 흘려보내서 충격변화를 주었을
따라서 0.745g/10L의 KCl이 필요하다.
③ 증류수 (20L)
④ Stop Watch
7. 실험방법
1) 실험1
-주입방법에 1단계 변화를 주었을 때 3개의 탱크의 농도변화의 응답속도 측정
① 20리터 용기(A용기)에 순수를 넣고 10리터 용기(B용기)에 0.001Mol농도의 KCl용액
(0.745g KCl)을 넣어 펌프와 연결한다.
② 탱크 1,2,3번의 전도도계의 수치가 일정하여 질 때까지, 장치의 배관과 3개의 탱크를 비커를
이용하여 순수로 세척하여준다.
① ②
③
③ 교반기 S/W를 올려주고 속도조절기를 사용하여 알맞은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유량을 100cc/min로 맞추고었다
④ A 용기의 용액을 3개의 탱크에 채운다.(A Pump S/W On)
⑤ 탱크 3번으로 Drain되면 B용기의 용액을 100ml/LPM으로 주입한다.
⑥ 탱크 1,2,3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전도도 값으로 기록한다.
⑦ 측정한 값을 그래프로 작성한다.
2) 실험2
-주입방법에 충격변화를 주었을 때 3개 탱크의 변화와 응답속도 측정
① 20리터 용기(A용기)에 순수를 넣고 10리터 용기(B용기)에 0.001Mol농도의 KCl용액을 넣어 펌프와 연결한다.
② 탱크 1,2,3번의 전도도계의 수치가 일정하여 질 때까지, 장치의 배관과 3개의 탱크를 비커를 이용하여 순수로 세척하여준다.
③ 교반기 S/W를 올려주고 속도조절기를 사용하여 알맞은 속도로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
④ A 용기의 용액을 3개의 탱크에 채운다.(A Pump S/W On)
⑤ 탱크 3번으로 Drain되면 B용기의 용액을 100ml/LPM으로 약 4분간 주입한다.
⑥ 다시 순수를 100ml/LPM으로 주입한다.
⑦ 탱크 1,2,3의 농도변화를 측정하여 전도도 값으로 기록한다.
⑧ 측정한 값을 그래프로 작성한다.
8. 실험결과 및 고찰
1) 실험1
시간
(분)
전도도
시간
(분)
전도도
tank1
tank2
tank3
tank1
tank2
tank3
0
2
2.2
3.1
20
155.3
112.9
63.8
1
22.9
2.6
3.0
21
156.9
116.9
68.5
2
38.5
4.6
2.9
22
158.8
121.2
73.5
3
53.3
8.1
3.1
23
160.3
124.9
78.1
4
66.5
13.1
3.8
24
161.2
128.4
82.8
5
78.6
18.7
4.6
25
162.2
131.7
87.2
6
89
25.0
6.1
26
163.2
134.8
91.6
7
98.6
32.1
8.1
27
164.1
137.7
96.6
8
106.5
39.6
11.2
28
164.8
140.1
99.4
9
114.5
46.7
14.3
29
165.6
142.3
103.3
10
120.1
53.4
17.0
30
166.5
144.9
107.7
11
126
60.3
20.9
31
166.7
146.8
111.3
12
131.2
67.5
25.2
32
167.4
148.7
113.8
13
135.6
74.0
29.6
33
168.0
150.7
117.0
14
139.5
81.6
35.5
34
168.5
152.3
120.9
15
142.6
86.3
39.6
35
168.9
153.3
122.0
16
145.8
92.3
43.8
36
169.2
155.1
125.7
17
148.7
98.5
50.0
37
169.5
156.2
128.1
18
151.3
103.6
54.8
38
170.0
157.5
130.7
19
153.3
108.2
59.6
39
170.4
159.0
133.5
실험1의 경우 처음 증류수를 채운 후 이것이 tank3까지 drain되면 B용기의 용액을 채워 1단계 변화를 주었을 때 그 초기입력 농도에 해당하는 conductivity에 도달하는 지 그 결과를 보는 것이다. 위의 그래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B용기의 용액을 주입 시 그 응답속도가 tank1, tank2, tank3 차례로 나타나 탱크 사이에 전달하는 과정에서 전달지연 현상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그 그래프의 기울기를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이 실험의 다른 목적은 초기농도 입력값에 해당하는 전도도에 도달함을 확인하는 것인데 그래프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그래프들이 최종 농도값에 근접하게 올라가는 형태의 그래프를 그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는 오른쪽의 이론을 바탕으로 한 그래프와도 흡사하게 나타나 비교적 성공적인 실험이라고 볼 수 있다.
2) 실험2
시간
(분)
전도도
시간
(분)
전도도
tank1
tank2
tank3
tank1
tank2
tank3
0
65.8
13.9
3.0
20
11.0
21.8
22.9
1
58.3
18.4
3.9
21
10.1
20.8
22.8
2
52.0
22.2
6.6
22
9.3
19.6
22.4
3
48.4
25.6
8.3
23
8.7
18.7
22.0
4
42.2
27.9
10.0
24
8.1
17.7
21.6
5
38.5
29.3
11.6
25
7.5
16.9
21.2
6
34.9
30.4
13.7
26
7.0
15.8
20.6
7
32.0
30.7
15.2
27
6.6
15.1
20.3
8
28.2
30.9
16.6
28
6.2
14.3
19.6
9
26.8
30.8
17.9
29
5.7
13.3
18.8
10
24.6
30.4
19.0
30
5.3
12.6
18.3
11
22.5
29.9
19.8
31
5.0
11.6
17.3
12
20.8
29.3
20.7
32
4.7
11.0
16.8
13
19.4
28.7
21.4
33
4.5
10.5
16.1
14
17.8
27.8
21.9
34
4.3
9.8
15.5
15
16.5
27.0
22.4
35
4.1
9.3
14.5
16
15.2
26.0
22.7
36
3.9
8.7
14.1
17
13.9
24.9
23.0
37
3.7
8.4
13.9
18
12.9
23.9
23.1
38
3.5
8.1
13.7
19
11.9
22.9
23.0
39
3.3
7.8
13.5
실험2의 경우 증류수를 tank3까지 drain한 후 B용기의 용액을 주입 후 다시 증류수를 흘려보내서 충격변화를 주었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