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과 혼 개념 비교연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영과 혼 개념 비교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들어가는 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1

II. 영혼에 대한 개념 정리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2

III. 이분설과 삼분설의 영혼 이해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3

IV. 나가는 말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5

참고문헌 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ㆍ6

본문내용

것은 인간의 심리적이고 정신적인 부분으로 이성, 감성, 사회적 상관성 등의 기초가 되는 요소이다. 그래서 동물들도 초보적인 혼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리고 마지막 세 번째 요소는 영(Spirit)인데, 이것은 신과 교통할 수 있는 영적이고 종교적인 부분을 말한다. 이렇게 인간은 종교적인 요소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영적인 문제들을 인식하고 영적인 자극에 대해서 반응할 수 있는 것이다. 영과 혼의 차이는 영은 개인의 영적인 자질들의 자리인 반면에 인격적인 부분들은 혼의 범주에 속한다. 삼분설은 교회사 초기, 알렉산드리아 교부들 사이에서 특히 널리 퍼져 있었다. 삼분설은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트, 오리겐 그리고 그레고리의 닛사 등에게서 발견되고 있는데, 아폴리나리우스가 자신의 기독론을 내세울 때 삼분설을 사용한 이후, 그 기독론이 이단으로 정죄 받음에 따라, 삼분설도 불신받게 되었다. 이후, 삼분설은 19세기에 이르러서야 영과 독일의 신학자들에 의해서 부활하게 된다. 밀라드 J. 에릭슨, 현재규 역,「복음주의 조직신학(중) -인간론, 기독론-」88-90.
2) 삼분설의 영과 혼 이해
많은 사람들은 삼분설이 고대 헬라철학의 인간 삼분법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본다. 실제로 영향을 받지 않은 것은 아니었으나, 실제로 삼분설의 주요한 근거는 몇몇 성경 속의 구절들이다. 삼분설은 영과 혼을 영혼이나 영 혹은 혼으로 하나의 비물질적 요소로 보는 이분설의 견해와는 다르게, 성경 속의 몇몇 구절들에 근거하여 혼과 영을 서로 별개의 비물질적 요소로 구분하고 있다. 혼과 영을 구분하는 가장 중요한 성경 구절은 데살로니가전서 5:23절이다. “평강의 하나님이 친히 너희로 온전히 거룩하게 하시고 또 너희 온 영과 혼과 몸이 우리 주 예수그리스도 강림하실 때에 흠이 없게 보전되기를 원하노라.” 또한 히브리서 4:12절은 이렇게 말씀한다. “하나님의 말씀은 살았고 운동력이 있어 좌우에 날선 어떤 검보다도 예리하여 혼과 영과 및 관절과 골수를 찔러 쪼개기까지 하며 또 마음의 생각과 뜻을 감찰하나니.” 밀라드 J. 에릭슨, 현재규 역, 「88-90.
삼분설에서는 몸과 영은 혼을 방편으로 상호연관성을 가진다고 주장한다. 영에 관련된 성경구절을 그 근거로 삼아, 영은 양심, 직감, 하나님과의 관계 혹은 교통(예배) 등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주장하며, 영은 주로 감정과 느낌, 상상 등의 마음과 심리적인 요소의 기능을 갖고 있다고 주장한다.

키워드

,   ,   조직신학,   신학
  • 가격8,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9.06.21
  • 저작시기2008.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2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