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쏘는 매운맛, 눈을 질끈 감게 하는 신맛, 더운 나라 특유의 달고 짠 맛. 태국 음식은 후각을 거쳐 새로운 탐험을 기다리는 미각의 세계를 자극한다. 나뭇잎, 열대 과일이 빚어내는 독특한 향과 수백 가지 향신료의 자극적인 맛이 매력인 태국 음식은 그 화려함과 풍성함으로 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다.
겡기카오완, 겡펫, 가이팟바이갑로, 톰얌쿵, 팟타이등 낯선 발음의 이름들을 내뱉을 때면, 그 동안 쓰지 않아 뻑뻑했던 혀의 근육이 자극되는 상쾌한 느낌을 받는다. 새로운 음식을 만나는 일은 이보다 좀더 큼직한 신선함을 준다.
태국 음식은 우리에겐 익숙지 않지만 일본 음식이나 중국 음식 못지 않게 세계적인 음식으로 미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독특하면서도 보편적인 맛을 갖고 있는 태국 음식은 한두 번 혀를 길들이면 금세 매료되는 맛의 비밀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맛은 비슷하지만 지리적으로 인도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태국은 나라 안에서도 크게 네 개의 식 문화권으로 나뉜다. 치앙마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는 조미료로 소금을 많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라오 문화권인 동북부는 북부와 함께 찹쌀을 주식으로 하며 코코넛 밀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민물고기로 담근 젓갈을 조미료로 주로 사용한다.
방콕을 중심으로 한 중앙부는 코코넛 밀크와 고추, 민트 등을 사용한 걸쭉한 요리가 많고 중국식도 선호한다. 조미료는 생선을 소금에 절여 우려 낸 즙인 남플라(nampla)를 많이 사용한다. 한편 남부 요리는 말레이시아 요리의 영향이 두드러져 향료를 많이 사용하는데 인도 요리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태국 황실요리가운데 하나인 \"꿍능까띠엄\" 태국 전통요리 \"느어팟크라파오\"
◆ 태국 음식의 특징
세계 6대 요리 중 하나로 손꼽히는 태국 요리는 다양한 향신료가 첨가되어 독특한 향미가 있으며 대체로 고소하고 맵고 신맛이 나는 편이며 더위를 이기고 힘을 얻을 수 있는 음식으로 발전하였으며 또한, 타이 음식은 최근 몇 년간 각광 받는 요리로 떠오르고 있는데, 그 이유는 먹음직스러운 맛뿐만 아니라 야채, 고기, 과일을 썰고 잘라 예술로 표현하여, 눈과 코, 미각을 모두 만족시켜주기 때문이다.
▶ 특 징
a. 중국의 영향을 받은 음식문화: 중국식 냄비, 장류, 면류 등이 있고 이것으로 인해 젓가락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b. 불교의 영향을 받은 음식문화: 동물의 살생을 금하고 있어 주로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이 많다.
c. 인도와 포르투갈의 영양을 받은 음식문화: 카레와 칠리를 사용한 것이 많다.
태국의 재래식 식사 관습은 준비한 음식을 반상 또는 대나무나 원목으로 만든 마루 바닥에 모두 차려놓고 빙 둘러앉아 손으로 먹는데, 이러한 습관의 가장 큰 이유는 열대의 기후에서 살기 때문에 모든 음식을 뜨거운 상태에서 먹지 않고 식혀서 먹어야만 했고 따라서 뜨거운 음식을 즐겨 먹는 추운 지방에서처럼 숟가락의 사용이 불필요했을 것이다.
원래 태국 음식의 조리 방법이 식품 재료들을 잘게 썰어서 조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숟가락과 포크는 개인의 접시에 담겨있는 음식을 떠먹을 때만 사용하며 다른 그릇에 담겨있는 음식을 먹을 때는 \"천끌랑\" 이라고 하는 \"중앙공동스푼\"을 사용해서 각자의 식기에 덜어 온 다음 개인의 숟가락으로 먹는다.
태국인 들의 식사 예절로는 음식을 먹을 때는 빨리 먹지 말 것, 소리내지 말 것, 음식을 씹을 때는 입술을 오므리고 씹을 것, 음식이 입안에 있을 때는 말을 하지 말 것, 국물 있는 음식을 먹을 때는 들이마시지 말고 숟가락으로 떠먹을 것 등을 가르친다.
▶ 태국의 대표적인 음식과 소스
태국은 세계 각 국 요리의 전시장이다. 유럽, 아시아, 미국 등 각지의 요리를 많은 레스토랑에서 다양하게 즐길 수 있으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다. 태국요리는 또한 뛰어난 맛과 향으로 유명한데 특히 볶음밥요리, 수프, 해산물 요리가 유명하며 여러 가지 양념과 소스가 곁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태국음식의 소스
태국음식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 소스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태국인 들은 모든 음식에 소스를 가미해 먹기 때문이다.
-프릭본(고춧가루), 투어(땅콩가루), 남쏨프릭(고추를 얇게 저며 썰어 식초에 담가 놓은 것), 남빠(생선간장으로 우리나라 젓국과 간장을 섞은 듯한 느낌: 한국교민들은 김치 담글 때 주로 사용함)
이상 4가지 양념이 항상 준비되어 있어 기호에 따라 곁들여 먹는다.
4가지양념(님플라)
기타소스
-프릭남빠(남빠에 작은 태국 고추를 썰어 넣은 것), 남프릭 씨라 차(독특한 향의 새콤매콤한 소스), 남찜(특정요리에 따라 찍어먹는 소스의 종류), 씨유(중국음식계통에서 많이 쓰이는 것으로 우리나라 콩간장과 흡사)등이 있다.
대표적인 태국음식
카오팟: 가장 흔한 일명 볶음밥으로 게, 새우, 오징어,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주문하는 대로 만들어주며 태국음식이 입에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좋은 식사이다.
쏨땀: 태국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설익은 파파야를 채를 쳐 마른 새우, 고추, 땅콩가루, 라임, 남빠 등을 함께 빻아서 만드는 태국 동북부 지방인 이산음식의 대표이며 찹쌀밥과 닭구이, 태국왕실에서 경영하는 싱하 맥주와 함께 먹으면 한끼 식사와 열대지방에서의 더위를 잊을 수 있다.
깽: 카레종류로 한국에서와는 달리 찌개 같은 느낌을 준다.
얌: 샐러드의 일종으로 대부분 맛은 새콤달콤하다.
꾸웨이띠오우: 쌀 국수로 쌀로 만든 국수를 물에 살짝 삶아 어묵이나 돼지고기. 야채 등을 넣어 먹는 음식이다. 물이 있는 것도 있고 마른국수로도 먹을 수 있다.
이외에도 꼬치라든가 고기구이, 태국 식 쏘시지 인 싸이꺽 이 산등 손쉽게 간식이나 술안주로 저렴하게 먹어볼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태국음식은 한가지를 주문하면 그 외에 반찬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영양의 균형과 미각을 살리는 지혜의 하나로 생 야채를 곁들인다. 가령 밥 종류를 주문하면 접시 귀퉁이에 생 외, 토마토, 쪽파 등을 곁들여준다.
여러 가지를 주문해서 먹은 후 남긴 음식은 종업원에게 싸이퉁이 라고 하면 거리의 음식점에서부터 고급레스토랑까지 친절하게 봉투나 상자에 음식을 싸준다.
겡기카오완, 겡펫, 가이팟바이갑로, 톰얌쿵, 팟타이등 낯선 발음의 이름들을 내뱉을 때면, 그 동안 쓰지 않아 뻑뻑했던 혀의 근육이 자극되는 상쾌한 느낌을 받는다. 새로운 음식을 만나는 일은 이보다 좀더 큼직한 신선함을 준다.
태국 음식은 우리에겐 익숙지 않지만 일본 음식이나 중국 음식 못지 않게 세계적인 음식으로 미국, 일본, 유럽 등지에서 사랑을 듬뿍 받고 있다. 풍부한 음식 문화와 독특하면서도 보편적인 맛을 갖고 있는 태국 음식은 한두 번 혀를 길들이면 금세 매료되는 맛의 비밀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기본적인 맛은 비슷하지만 지리적으로 인도와 중국의 영향을 많이 받은 태국은 나라 안에서도 크게 네 개의 식 문화권으로 나뉜다. 치앙마이를 중심으로 한 북부는 조미료로 소금을 많이 사용하는 특징이 있으며, 라오 문화권인 동북부는 북부와 함께 찹쌀을 주식으로 하며 코코넛 밀크를 거의 사용하지 않고 민물고기로 담근 젓갈을 조미료로 주로 사용한다.
방콕을 중심으로 한 중앙부는 코코넛 밀크와 고추, 민트 등을 사용한 걸쭉한 요리가 많고 중국식도 선호한다. 조미료는 생선을 소금에 절여 우려 낸 즙인 남플라(nampla)를 많이 사용한다. 한편 남부 요리는 말레이시아 요리의 영향이 두드러져 향료를 많이 사용하는데 인도 요리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태국 황실요리가운데 하나인 \"꿍능까띠엄\" 태국 전통요리 \"느어팟크라파오\"
◆ 태국 음식의 특징
세계 6대 요리 중 하나로 손꼽히는 태국 요리는 다양한 향신료가 첨가되어 독특한 향미가 있으며 대체로 고소하고 맵고 신맛이 나는 편이며 더위를 이기고 힘을 얻을 수 있는 음식으로 발전하였으며 또한, 타이 음식은 최근 몇 년간 각광 받는 요리로 떠오르고 있는데, 그 이유는 먹음직스러운 맛뿐만 아니라 야채, 고기, 과일을 썰고 잘라 예술로 표현하여, 눈과 코, 미각을 모두 만족시켜주기 때문이다.
▶ 특 징
a. 중국의 영향을 받은 음식문화: 중국식 냄비, 장류, 면류 등이 있고 이것으로 인해 젓가락을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b. 불교의 영향을 받은 음식문화: 동물의 살생을 금하고 있어 주로 수산물을 이용한 음식이 많다.
c. 인도와 포르투갈의 영양을 받은 음식문화: 카레와 칠리를 사용한 것이 많다.
태국의 재래식 식사 관습은 준비한 음식을 반상 또는 대나무나 원목으로 만든 마루 바닥에 모두 차려놓고 빙 둘러앉아 손으로 먹는데, 이러한 습관의 가장 큰 이유는 열대의 기후에서 살기 때문에 모든 음식을 뜨거운 상태에서 먹지 않고 식혀서 먹어야만 했고 따라서 뜨거운 음식을 즐겨 먹는 추운 지방에서처럼 숟가락의 사용이 불필요했을 것이다.
원래 태국 음식의 조리 방법이 식품 재료들을 잘게 썰어서 조리하는 것이기 때문에 숟가락과 포크는 개인의 접시에 담겨있는 음식을 떠먹을 때만 사용하며 다른 그릇에 담겨있는 음식을 먹을 때는 \"천끌랑\" 이라고 하는 \"중앙공동스푼\"을 사용해서 각자의 식기에 덜어 온 다음 개인의 숟가락으로 먹는다.
태국인 들의 식사 예절로는 음식을 먹을 때는 빨리 먹지 말 것, 소리내지 말 것, 음식을 씹을 때는 입술을 오므리고 씹을 것, 음식이 입안에 있을 때는 말을 하지 말 것, 국물 있는 음식을 먹을 때는 들이마시지 말고 숟가락으로 떠먹을 것 등을 가르친다.
▶ 태국의 대표적인 음식과 소스
태국은 세계 각 국 요리의 전시장이다. 유럽, 아시아, 미국 등 각지의 요리를 많은 레스토랑에서 다양하게 즐길 수 있으며 가격도 비교적 저렴하다. 태국요리는 또한 뛰어난 맛과 향으로 유명한데 특히 볶음밥요리, 수프, 해산물 요리가 유명하며 여러 가지 양념과 소스가 곁들여지는 경우가 많다.
태국음식의 소스
태국음식을 제대로 즐기기 위해서 소스를 알아둘 필요가 있다. 태국인 들은 모든 음식에 소스를 가미해 먹기 때문이다.
-프릭본(고춧가루), 투어(땅콩가루), 남쏨프릭(고추를 얇게 저며 썰어 식초에 담가 놓은 것), 남빠(생선간장으로 우리나라 젓국과 간장을 섞은 듯한 느낌: 한국교민들은 김치 담글 때 주로 사용함)
이상 4가지 양념이 항상 준비되어 있어 기호에 따라 곁들여 먹는다.
4가지양념(님플라)
기타소스
-프릭남빠(남빠에 작은 태국 고추를 썰어 넣은 것), 남프릭 씨라 차(독특한 향의 새콤매콤한 소스), 남찜(특정요리에 따라 찍어먹는 소스의 종류), 씨유(중국음식계통에서 많이 쓰이는 것으로 우리나라 콩간장과 흡사)등이 있다.
대표적인 태국음식
카오팟: 가장 흔한 일명 볶음밥으로 게, 새우, 오징어,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주문하는 대로 만들어주며 태국음식이 입에 맞지 않는 사람에게는 좋은 식사이다.
쏨땀: 태국의 대표적인 음식으로 설익은 파파야를 채를 쳐 마른 새우, 고추, 땅콩가루, 라임, 남빠 등을 함께 빻아서 만드는 태국 동북부 지방인 이산음식의 대표이며 찹쌀밥과 닭구이, 태국왕실에서 경영하는 싱하 맥주와 함께 먹으면 한끼 식사와 열대지방에서의 더위를 잊을 수 있다.
깽: 카레종류로 한국에서와는 달리 찌개 같은 느낌을 준다.
얌: 샐러드의 일종으로 대부분 맛은 새콤달콤하다.
꾸웨이띠오우: 쌀 국수로 쌀로 만든 국수를 물에 살짝 삶아 어묵이나 돼지고기. 야채 등을 넣어 먹는 음식이다. 물이 있는 것도 있고 마른국수로도 먹을 수 있다.
이외에도 꼬치라든가 고기구이, 태국 식 쏘시지 인 싸이꺽 이 산등 손쉽게 간식이나 술안주로 저렴하게 먹어볼 수 있는 것들이 많다. 일반적으로 태국음식은 한가지를 주문하면 그 외에 반찬이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영양의 균형과 미각을 살리는 지혜의 하나로 생 야채를 곁들인다. 가령 밥 종류를 주문하면 접시 귀퉁이에 생 외, 토마토, 쪽파 등을 곁들여준다.
여러 가지를 주문해서 먹은 후 남긴 음식은 종업원에게 싸이퉁이 라고 하면 거리의 음식점에서부터 고급레스토랑까지 친절하게 봉투나 상자에 음식을 싸준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