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실험] BOD 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환경실험] BOD 실험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목적

2. 측정원리
◎적용시료
◎시료의 전처리

3. 시약제조
<희석수용>
<탈염소용>
<pH 조정용>
<용전산소 측정용>
◎배양병
◎유의사항

3. 실험준비물

4. 실험방법
◎시료의 전처리
1) 알칼리 또는 산을 함유한 시료
2) 잔류염소를 함유한 시료
3) 용존산소 및 용존기체가 과포화로 있는 시료
4) 독물을 함유하는 시료
◎실험조작 절차
◎Flow-chart
◎DO 측정방법(윙클로아지드화변법)
분석절차
◎Flow-chart

5. 결과

6. 고찰 및 토의

본문내용

( KI ) 150g을 정제수에
녹이고 이것에 NaN3 10g을 소량의 정제수에 녹게하여 이 두용액을 합친후 정제수를 가하여 전량을 1L로 한다.
전분용액
감자전분 1g을 정제수 100ml에 녹여 이것을 열정제수 200ml 중에 서서히 가해 액이
반투명이 될 때까지 끊인 후 용액을 정치해 그 상등액을 쓴다.
0.01N 티오황산 니트륨 용액
0.1N 티오황산 나트륨 용액 100ml에 정제수를 가해서 전량을 1L로 한다.
◎ 배양병
- BOD 분석에 사용하는 병에는 유리마개가 갖추어져 있어야 하며, 마개를 끼울 때
공기가 잡혀 들어가지 않도록 접촉부분이 연마(grind)되어 있어야 한다. 배양기관 중
병속으로 공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수밀봉(water seal)할 수 있는 형태의 것이라야
한다.
- BOD분석에 사용되는 병은 반드시 유기물질이 완전히 제거된 것이어야 한다. 병의
세척에는 크롬산 용액이나 양질의 세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좋다. 세제를 사용했을 때는 병의 벽에서 자라나기 쉬운 질산화 생물들이 제거 되도록 뜨거운 물로 씻어야
한다.
- 병은 사용하기 전에 전에 세척제가 모두 제거 되었는지 주의깊게 확인하여야 한다.
보통은 수돗물로 네 번을 씻어네고 마지막으로 증류수나 탈염수로 씻어내면 안심하고
사용 할 수 있다.
◎ 유의사항
독성물질이 없을 것
알맞은 pH가 유지될 것
이용 가능한 보조영양원들이 존재할 것
표준온도를 유지 할 것
토양기원의 혼합생물의 충분한 개체군이 존재할 것
3.실험준비물
< 기구 >
항온수조( 20℃±1 조절 가능한 것), BOD병, 교반봉
< 시약 >
완충액 , 황산마그네슘, 염화칼슘용액, 염화제이철용액, 희석수, 식종희석수, 황산(1+35),
수산화나트륨용액( 4w/v % ), 요오드화칼륨( 10w/v % ), 용존산소측정용시약
4.실험방법
◎ 시료의 전처리( 시료가 아래와 같은 경우는 필요에 따라 전처리 한다. )
1) 알칼리 또는 산을 함유하는 시료
- HCl( 1+1 ) 또는 NaOH( 4w/v % )에 의해서 시료의 pH를 약 7.0으로 조절한다.
▶미생물의 생존환경( pH7 정도 )으로 유지
다만, 이때 넣어주는 산 또는 알칼리 양이 시료량의 0.5%가 넘지 않도록 한다.
2) 잔류염소를 함유한 시료
- 미리 검수100~1000ml에 아지드화나트륨 0.1g와 요오드화칼륨 1g을 첨가하여 혼합한 후 염산을 첨가하여 미산성으로 한다. 유리된 요오드를 전분용액을 지시약으로 하여
아황산나트륨( N/40 )으로 청색이 없어질 때까지 적정한다. 별도로 같은양의 시료를 취
하여 앞의 적정값으로부터 구해 계산한 아황산 나트륨용액( N/40 )을 첨가하여 잔류염 소를 환원한다. 필요할 때에는 1>항과 같이 pH를 조절한다.
3) 용존산소 및 용존기체가 과포화로 있는 시료
- 겨루에 채취한 시료등 온도가 20℃이하일 때 20℃로 배양하면 용존산소나 용존기체가
과포화로 되기 쉽다. 또한 녹조류가 많은 하천수나 호소에서는 배양중에 기포가 발생하 거나 기체가 BOD병에 확산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미리 온도를 20℃로 조절하여 폭기 등 의 방법에 의해 용존산소 및 용존기체를 20℃ 포화량 근처로 감소시켜 둔다.
4.) 독물을 함유하는 시료
- 동, 크롬, 수은, 비소 등의 중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시료는 정확한 값이 얻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잇다. 이와같은 경우에는 중금속에 익숙한 식종물질을 배양하여 독물에 의한 영 향을 받지 않게하여 측정한다.
◎ 실험조작 절차
BOD병을 증류수로 깨끗이 헹구어 냄
2개의 병에 희석수를 가득 채우고, 공기가 갇히지 않게 주의하여 마개를 꼭 끼운다.
BOD값의 추정범위 내에 들어갈 수 있도록 한 개 또는 그 이상의 희석검수를 만든다.
우선 3개의 BOD병에 희석수를 채운다.( No1,2,3)
시험되는 시료를 조심해서 일정분량을 피펫으로 취해서 3개의 다른 BOD병 No4,5,6을
넣는다. 다음, 이병들에 희석수를 부어 가득채우고 공기가 마개밑에 갇히지 않도록 주 의하여 마개를 꼭끼운다. 이때, 마개가 수봉되어 있는가를 확인한다.
BOD병 No3,6에 대해 즉시 최초의 용존산소량을 정량한다.
나머지 BOD병, 희석수를 채운 공시험수 No1,2와 희석검수 No4,5을 배양기에 넣어 20℃에서 5일간 배양 시킨다.
정확히 5일이 지난 다음, BOD병 No1,2와 No4,5에 대하여 윙클러지법의 아지드화나트 륨 변법에 의해 Po를 정량한다. 5일후의 산소 소비량은 적어도 1mg/L이라야 한다.
No1,2의 평균치 → Po2 , No4,5의 평균치→ B2
계산식에 의해 농도 계산
◎ FLOW CHARTS
3개 300ml BOD병, 시료에 BOD 희석수를 넣는다.
← 마개 수봉함(water seal)
2병을 밀봉하여 BOD용 배양기 20℃, 어두운 곳에 5일간 배양
→ 1병은 15분간 방치후 Do측정(D1)
희석배율에 따라 희석검액 조제, 300ml 3개 BOD병을 완전히 채움
2병 밀봉 BOD 배양기( 20℃, 5일간 )
→ 1병은 Do측정( B1 )
5일이 지난 BOD병의 용존산소 측정법에 따라 DO측정
→ BOD-D2
식종액BOD-B2
5일간 저장한 다음 산소소비량 40~70% 희석검액 선택→ 처음 용존산소량과 5이간 배양한 다음 남아 있는 용존 샨소량 평균치차 BOD계산
◎ DO의 시험방법(윙클로아지드화변법)
분석 절차
-산소병을 정차하고, 용존산소가 고정되어 있는 용액속에 황산(1+2)1ml을 기벽에
대고 천천히 주입한다. 이렇게하여 침전을 용해시킨다. 이러면 요오드는 유리되므로
이 용액 적당량을 0.025티오황사나트륨(Na2S2O3)표준용액으로 적정하여 황색이
엷어질 때까지 적정한다.
(계산)
DO(O2 mg/L) =
a : 적정에 소비된 0.025N 티오황산나트륨( Na2S2O3 ) 표준용액의 양(ml)
f : 0.025N XLDH 황산나트륨( Na2S2O3 )의 역가
V1 : 전체의 시료량 (ml)
V2 : 적정에 사용한 시료량(ml)
R : 황산망간용액과 알칼리성아지드화나트륨용액의 첨가량(ml)
0.2 : 1ml의 0.025N 티오황산나트륨( Na2S2O3 )표준용액은 0.2mg의 O2에 해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29
  • 저작시기2002.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3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