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구조충감염은 낭미충의 자가감염(self infection)이 생기고,
가족이나 타인에게 충란전파.
* 포충증(Echinococcosis, Hydatid disease)
(1) 병원체
- 단방조충 (Echinococcus glanulosus).
- 중간숙주의 체내(폐와 간)에서 발육하는 포충은 단방.
(2) 동물감염
- 면양, 산양, 돼지, 소, 물소, 말, 당나귀, 낙타, 코끼리, 원숭이, 사람 그밖의
야생동물에 감염.
- 종숙주 : 개와 여우.
(3) 인체감염
- 양목견을 사육하는 지방에 多. 감염된 개가 배출하는 충란을 사람과 면양이
먹게 되면 감염.
(4) 예방
- 단방조충의 자연감염은 국내에 보고 無.
- 중간숙중의 체내에서 자란 포충을 개나 여우에게 먹지 못하게 할 것
- 도축검사시 포충을 적출하고 폐기처분.
* 선충류(Nematoda)
- 선충류는 자웅이체.
- 자유생활하는 종류가 많음. 각동물에 적응하여 기생생활을 하거나 자유생활을
겸하기도 것도 있음.
- 인수공통기생충병을 일으키는 종류는 약 50여종. 국내에서는 회충, 십이지장충,
사상충, 안충이 존재.
[1] 회충증(Ascariasis)
(1) 병원체
- 회충(Ascaris lumbricoides), 돼지에 감염되는 회충(Ascaris suum)
(2) 동물감염
- 돼지의 회충감염률은 높고 임신돈은 회충을 보유하고 있고 그 새끼는 태어난
후에 오염되어 감염되는 경로를 취함.
- 돈회충은 소, 면양, 사람에게 감염되며 실험적으로 쥐, 생쥐, 기니피그에도 감염.
(3) 인체감염
- 대부분 감염은 인분을 시비한 야채에 부착된 충란에 의함.
- 회충의 피해는 체내 이행하는 유충에 의한 조직파괴로 시작, 성충에 의한 피해는
기계적 및 독성작용과 미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① 체내이행에 의한 병변: 장벽의 관통에 따른 조직의 파괴.
② 성충에 의한 병변: 산통, 복부팽만, 혈변, 설사가 병행하는 기생충성 장염.
③ 독성작용: 장내의 성충에 의한 대사산물 등이 독작용.
④ 미입에 의한 부작용: 소화관 이외의 장기나 장소로 미입하여 여러 증상을 초래.
(4) 예방
- 인분비료를 사용하지 말 것.
[2] 유충이행증(Larva migrans)
(1) 이행기전
- 유충이행증이란, 동물기생충이 인체에 감염되어 여러장기나 기관을 이행함으로써 야기되는 증상.
- 동물이나 가축에 기생하는 선충류는 숙주에 감염하고나서 체내이행을 꼭 수행해야 만 성충으로 발육, 이행을 하지 못했을 때 사멸.
따라서 인체에 우연히 감염되더라도 숙주에서 행했던 습성에 의해 인체를 배회,
여기서 여러증상을 야기시킴.
- 유충이행증의 세가지 형태.
① 회충유충이 장기를 이행하는 현상.
② 구충의 감염자충이 피부를 뚫고 침입하여 파행하는 현상.
③ 사상충의 자충이 모기에 의해 피부에 접종된 후 혈관내피세포에서 탈피를 하고
혈류를 따라서 중추신경계로 미입하는 현상.
(2) 병원체
- 유충장기이행증 : Toxocara canis(견회충), T. cati(묘회충)
- 유충피하이행증 : Ancylostoma aninum(견구충), A. braziliens(브라질구충),
Strongyloides stercoralis (분선충) 등.
- 사상충이행증 : Dirofilaria immitis(심장사상충), D. conjunctiva(결막디로필라리아)
(3) 동물감염
- 유충장기이행증을 일으키는 동물의 회충 등은 국내에서도 모두 보고된 기생충.
- 구충의 동물감염은 개, 소에서 보고.
(4) 인체감염
- 유충이 장기에 이행시 호산구증가증, 감비대, 폐의 여러증상, 신장염, 심부전증,
발열, 기침 등이 유발.
- 유충이 피하에 이행시 파행진이 생기고 침입부위에 발적과 수포를 형성
- 사상충의 감염자충이 인체에 접종되는 현상은 입증되었고 역학적으로 중요.
(5) 예방
- 동물에서의 기생충 구제.(사상충)
[3] 아니사키스증(Anisakiasis)
(1) 병원체
- Anisakis spp.(A. simplex, A. tipica, A. physteris),
Terranova spp., Contracaecum spp.
(2) 동물감염
- 제1 중간숙주 : 새우.
- 제 2 중간숙주 : 명태, 대구, 청어, 연어, 고등어, 삼치, 가다랭이, 오징어, 낙지 등.
- 종숙주 : 고래.
- 동물에서는 어류의 내장을 먹는 돼지.
(3) 인체감염
- 위아니사키스증과 장아니사키스증을 구별.
- 병변은 봉와직염형, 농양형성형, 육아종형, 농양육아종형 등이 있음.
(4) 예방
- 제 2 중간숙주의 생어회를 금식할 것.
- 어류의 내장을 제거하고 냉동하는 것이 감염을 방지하는 법.
- 식염수, 식초에 강하고, 온도 2℃에서 50일간, -10℃에서 10일간,
-20℃에서 수시간 생존.
- 60℃로 가열시 즉시 사멸.
[4] 분선충증(Strongylodiasis)
(1) 병원체
-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 기생생활과 자유생활기 존재해서 세대교번을 하며, 암컷만 기생.
(2) 동물감염
- 개, 고양이, 여우, 곰, 원숭이에 감염.
(3) 인체감염
- 피부를 뚫고 침입할 때 국소의 염증을 초래하며, 체내이행시 기관지염의
증세가 병발.
- 경구적 감염시 장점막에 염증반응과 표재성인 궤양이 형성. 2차적 감염이
수반되어서 이질의 원인이 됨. (연충성 이질 이라함)
(4) 예방
- 토양성 질병이기 때문에 환경조건을 개선 해야함.
- 자가감염과 중복감염됨으로 치료를 빨리 해야함.
인수공통 외부기생충성 감염증(Ectoparasitic zoonoses)
- 인수공통 외부기생충이란, 가축 가금 야생동물의 외부기생충으로서 사람에게도 피해를 끼치는 절지동물을 지칭하는 말.
[1] 벼룩(Aphaniptera spp.)
(1) 생활사
- 알 → 부화 → 유충 → 첫 번째 탈피 → 두 번째 탈피 → 번데기.
(2) 인체감염
- 사람벼룩, 쥐벼룩, 개벼룩, 고양이벼룩 등이 견조충과 축소조충의 중간숙주가 됨.
- 암수가 직접 흡혈하기 때문에 피부염을 유발, 흑사병과 같은 미생물을 매개
(3) 예방
- 벼룩은 먼지속에 알을 낳으므로 환경을
가족이나 타인에게 충란전파.
* 포충증(Echinococcosis, Hydatid disease)
(1) 병원체
- 단방조충 (Echinococcus glanulosus).
- 중간숙주의 체내(폐와 간)에서 발육하는 포충은 단방.
(2) 동물감염
- 면양, 산양, 돼지, 소, 물소, 말, 당나귀, 낙타, 코끼리, 원숭이, 사람 그밖의
야생동물에 감염.
- 종숙주 : 개와 여우.
(3) 인체감염
- 양목견을 사육하는 지방에 多. 감염된 개가 배출하는 충란을 사람과 면양이
먹게 되면 감염.
(4) 예방
- 단방조충의 자연감염은 국내에 보고 無.
- 중간숙중의 체내에서 자란 포충을 개나 여우에게 먹지 못하게 할 것
- 도축검사시 포충을 적출하고 폐기처분.
* 선충류(Nematoda)
- 선충류는 자웅이체.
- 자유생활하는 종류가 많음. 각동물에 적응하여 기생생활을 하거나 자유생활을
겸하기도 것도 있음.
- 인수공통기생충병을 일으키는 종류는 약 50여종. 국내에서는 회충, 십이지장충,
사상충, 안충이 존재.
[1] 회충증(Ascariasis)
(1) 병원체
- 회충(Ascaris lumbricoides), 돼지에 감염되는 회충(Ascaris suum)
(2) 동물감염
- 돼지의 회충감염률은 높고 임신돈은 회충을 보유하고 있고 그 새끼는 태어난
후에 오염되어 감염되는 경로를 취함.
- 돈회충은 소, 면양, 사람에게 감염되며 실험적으로 쥐, 생쥐, 기니피그에도 감염.
(3) 인체감염
- 대부분 감염은 인분을 시비한 야채에 부착된 충란에 의함.
- 회충의 피해는 체내 이행하는 유충에 의한 조직파괴로 시작, 성충에 의한 피해는
기계적 및 독성작용과 미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① 체내이행에 의한 병변: 장벽의 관통에 따른 조직의 파괴.
② 성충에 의한 병변: 산통, 복부팽만, 혈변, 설사가 병행하는 기생충성 장염.
③ 독성작용: 장내의 성충에 의한 대사산물 등이 독작용.
④ 미입에 의한 부작용: 소화관 이외의 장기나 장소로 미입하여 여러 증상을 초래.
(4) 예방
- 인분비료를 사용하지 말 것.
[2] 유충이행증(Larva migrans)
(1) 이행기전
- 유충이행증이란, 동물기생충이 인체에 감염되어 여러장기나 기관을 이행함으로써 야기되는 증상.
- 동물이나 가축에 기생하는 선충류는 숙주에 감염하고나서 체내이행을 꼭 수행해야 만 성충으로 발육, 이행을 하지 못했을 때 사멸.
따라서 인체에 우연히 감염되더라도 숙주에서 행했던 습성에 의해 인체를 배회,
여기서 여러증상을 야기시킴.
- 유충이행증의 세가지 형태.
① 회충유충이 장기를 이행하는 현상.
② 구충의 감염자충이 피부를 뚫고 침입하여 파행하는 현상.
③ 사상충의 자충이 모기에 의해 피부에 접종된 후 혈관내피세포에서 탈피를 하고
혈류를 따라서 중추신경계로 미입하는 현상.
(2) 병원체
- 유충장기이행증 : Toxocara canis(견회충), T. cati(묘회충)
- 유충피하이행증 : Ancylostoma aninum(견구충), A. braziliens(브라질구충),
Strongyloides stercoralis (분선충) 등.
- 사상충이행증 : Dirofilaria immitis(심장사상충), D. conjunctiva(결막디로필라리아)
(3) 동물감염
- 유충장기이행증을 일으키는 동물의 회충 등은 국내에서도 모두 보고된 기생충.
- 구충의 동물감염은 개, 소에서 보고.
(4) 인체감염
- 유충이 장기에 이행시 호산구증가증, 감비대, 폐의 여러증상, 신장염, 심부전증,
발열, 기침 등이 유발.
- 유충이 피하에 이행시 파행진이 생기고 침입부위에 발적과 수포를 형성
- 사상충의 감염자충이 인체에 접종되는 현상은 입증되었고 역학적으로 중요.
(5) 예방
- 동물에서의 기생충 구제.(사상충)
[3] 아니사키스증(Anisakiasis)
(1) 병원체
- Anisakis spp.(A. simplex, A. tipica, A. physteris),
Terranova spp., Contracaecum spp.
(2) 동물감염
- 제1 중간숙주 : 새우.
- 제 2 중간숙주 : 명태, 대구, 청어, 연어, 고등어, 삼치, 가다랭이, 오징어, 낙지 등.
- 종숙주 : 고래.
- 동물에서는 어류의 내장을 먹는 돼지.
(3) 인체감염
- 위아니사키스증과 장아니사키스증을 구별.
- 병변은 봉와직염형, 농양형성형, 육아종형, 농양육아종형 등이 있음.
(4) 예방
- 제 2 중간숙주의 생어회를 금식할 것.
- 어류의 내장을 제거하고 냉동하는 것이 감염을 방지하는 법.
- 식염수, 식초에 강하고, 온도 2℃에서 50일간, -10℃에서 10일간,
-20℃에서 수시간 생존.
- 60℃로 가열시 즉시 사멸.
[4] 분선충증(Strongylodiasis)
(1) 병원체
- 분선충(Strongyloides stercoralis), 기생생활과 자유생활기 존재해서 세대교번을 하며, 암컷만 기생.
(2) 동물감염
- 개, 고양이, 여우, 곰, 원숭이에 감염.
(3) 인체감염
- 피부를 뚫고 침입할 때 국소의 염증을 초래하며, 체내이행시 기관지염의
증세가 병발.
- 경구적 감염시 장점막에 염증반응과 표재성인 궤양이 형성. 2차적 감염이
수반되어서 이질의 원인이 됨. (연충성 이질 이라함)
(4) 예방
- 토양성 질병이기 때문에 환경조건을 개선 해야함.
- 자가감염과 중복감염됨으로 치료를 빨리 해야함.
인수공통 외부기생충성 감염증(Ectoparasitic zoonoses)
- 인수공통 외부기생충이란, 가축 가금 야생동물의 외부기생충으로서 사람에게도 피해를 끼치는 절지동물을 지칭하는 말.
[1] 벼룩(Aphaniptera spp.)
(1) 생활사
- 알 → 부화 → 유충 → 첫 번째 탈피 → 두 번째 탈피 → 번데기.
(2) 인체감염
- 사람벼룩, 쥐벼룩, 개벼룩, 고양이벼룩 등이 견조충과 축소조충의 중간숙주가 됨.
- 암수가 직접 흡혈하기 때문에 피부염을 유발, 흑사병과 같은 미생물을 매개
(3) 예방
- 벼룩은 먼지속에 알을 낳으므로 환경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