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LED의시장성에 따른 OlED발전가능성 및 분류별현재문제점 앞으로 계획.hwp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OLED의시장성에 따른 OlED발전가능성 및 분류별현재문제점 앞으로 계획.hwp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1. OLED의 시장성
1) OLED의 시장규모 :
2) OLED광원시장의 전망 :
3) OLED 어플리케이션 시장 성장 전망 :
4) AMOLED 업체별 출하량 추이 :
5) 연도별 OLED시장 전망 :
1. OLE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이론
1) OLED재료의 특징
2) OLED의 빛을 내는 원리
3) 전자의 스핀 방향
3) OLED 빛의 비밀
4) 형광과 인광의 차이 및 비율
5) 금속착체 구조
2. OLE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이론의 해결방안 모색
1) 기존 빛을 내는 원소들(희토류 원소)외의 새로운 조합을 찾아낸다.
2) 청색광을 발생하는 재료의 장기 수명화를 이루어야 한다.
3) 새로운 백색광의 발광체 개발을 해야 한다.
1.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공정과정 이론
1) OLED의 절연층 형성
2) OLED의 Full Color의 표현방식
3) 발광 효율 향상의 과제
2.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공정과정의 해결방안모색
1) 광 도출 효율을 향상함으로서 마더보드인 글라스의 반사효율을 높여준다.
2) 프로세스 및 장치관련 기술과제와 대책

결론

본문내용

장기 수명화를 이룩하여 셋째, 새로운 백색광의 발광체를 개발하는 것이다.
2. OLED(Organic Electro Luminescence Display)이론의 해결방안 모색
1) 기존 빛을 내는 원소들(희토류 원소)외의 새로운 조합을 찾아낸다.
희토류 원소는 17개 원소가 있다. (원소주기율표) Eu(유로품)의 적색을 사용후에 칼라 TV가 선명해졌다. Eu의 Spectro는 1점에 집중하여 파형을 보였다. 강한 광을 내는 원소는 Tb(테르븀), Eu(유로폼), Sm(사마륨)이 있다.
2) 청색광을 발생하는 재료의 장기 수명화를 이루어야 한다.
청색광의 완성이 결국 백색 OLED광을 만들 수 있었던 것처럼 청색광을 만드는 것이 가장 어려운 점이다. 청색광의 수명을 늘리기 위해서는 모든 광을 표면으로 내보는 것이 중요하다. 재료측면에서는 재료중에 있는 비발광 재결합센터을 제거해야한다. 또한 에너지갭 엔지니어링 측면에서는 전자와 홀을 주입하고 주입 열화가 있는 경우는 열화원인을 제거한다. 이를 통해서 재료와 전극을 최적화하는 것이 수명을 연장시키는 방법으로 가능하다.
3) 새로운 백색광의 발광체 개발을 해야 한다.
분자로부터 분자로 여기 에너지의 이동 거리가 가까우면(농도가 높음) 에너지 이동이 일어나고, 레벨이 가장 낮은 적색만 빛을 낸다. 거리가 멀면(농도가 낮음) 에너지 이동이 일어나기 어렵고 청, 녹, 적색이 빛을 낸다. 이 부분에 있어서 에너지의 주고 받음은 거리의 6승에 반비례한다.
상기 법칙에 의해 녹, 적의 농도를 아주 엷게 하면 3색의 혼색, 결국 백색이 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상식을 알게 된 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는다. R+G+B ≠ 백(白)이러한 공식이 OLED의 세계의 지난날의 상식이였다. 여기에너지 레벨은 청, 녹, 적 순서이며 에너지의 주고받음은 거리의 6승에 반비례할 때 바로 백색이 탄생한다는 것을 알았다. 에너지의 주고받음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농도를 엷게하면 3색 발광을 하며 적, 녹의 농도를 매우 줄이면 청색발광이 일어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즉 농도 조절을 하면 분산하여 발광이 가능하다.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를 두 번째 뜻으로 정의하여 우리가 공부할 것은 OLED의 공정과정의 원리를 분석하여 어떤 측면에 적용을 할 것인가를 찾아내야 한다. OLED의 공정과정을 통해서 OLED의 모듈을 구성할 때 어떤 Patterning을 사용하고 각각의 Patterning이 갖는 장단점을 비교하여 왜 다른 Patterning을 사용하지 않는지 알고 또 새로운 공정과정을 어떻게 분석하여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찾을 수 있을 것이다.
1.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공정과정 이론
1) OLED의 절연층 형성
액티브 소자의 형성

절연층 형성

1) 포토레지스터라는 감광재를
유리 기판표면에 바른다.


2) 글라스 기반의 표면에
마스크를 이용해서
극소 패턴을 태워서 만든다.
캐소드
새퍼레이트 의 형성



3) 현상액에 집어넣어 여분의
포토레지스터를 없앤다.

포토레지스터

Negative 형
: 빛을 받는 부분 이 남는다

Positive 형
: 빛을 받는 부분이 부식된다.
2) OLED의 Full Color의 표현방식
OLED STACKS의 여러 가지 Patterning의 기술들을 3가지로 비교하여 분석해 볼 수 있다.
(1) RGB의 화소를 배열한 방식 :
적생발광재료의 개발과제가 필요하다. Eu계열의 형광체를 연구중이다. 이 방식의 해결과제는 색순도와 고휘도 그리고 장수명화이다.
장점 : 색변환층이나 Filter에 의한 감소가 없기에 높은 효율과 좋은 색상이 나타난다.
단점 : 개구율의 차이가 있다. RGB의 열화의 차이가 있다. shadow mask를 사용하였다.
(2) 색변환층을 이용한 방식 :
청색발광의 빛을 색변환층에 사용하여 녹색광과 적색광으로 변환한다. 2만시간 이상의 청색발광 장수명화를 실현시켜야 한다.
장점 : shadow mask가 없다.
단점 : 높은 효율 청색이 필요하다. 청색의 안정서이 정형적으로 나쁘다.
(3) 백색발광 color filter 사용
백색발광 형광재료의 개발이 요구된다.
장점 : shadow mask가 없는 방식으로 높은 백색 효율이 가능하다. RGB Patterning이 개구율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단점 : 필터 흡수 때문에 효율의 누설, 손실, 손해를 가져온다.
3) 발광 효율 향상의 과제
발광 효율은 내부양자 효율, 캐리어주입 효율, 광도출 효율로 나타낼 수 있다. 내부양자 효율은 인광 재료채용으로 향상할 수 있고, 캐리어 효율은 전극계면 연구로 향상할 수 있다. 광도출 효율은 전반사(굴절률 차이)억제를 통해 이룰 수 있다. 지금까지는 약 20%만 효율로 사용되고 나머지는 글라스의 온도가 올라감에 따라 그 안에 갇혀있게 된다.
OLED의 공정과정을 통해서 절연층의 형성을 통해서 또한 각각의 Patterning안에서 Shadow mask의 사용 및 color filter의 사용이 발광을 저해하는 문제점으로 발견할 수 있었다. 결국 모듈을 완성시키기 위해서 회로를 구성하는데도 재료 못지 않게 발광을 신경써서 구성해야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는데 있어서 우리가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첫째, 광 도출 효율의 향상을 위해서 마더보드인 글라스의 새로운 각도를 찾는 것이고, 둘째, 전반적인 프로세스 및 장치관련 기술에 대한 대책도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2.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의 공정과정의 해결방안모색
1) 광 도출 효율을 향상함으로서 마더보드인 글라스의 반사효율을 높여준다.
현재 층간굴절류에 의한 전반사의 결과 발광량의 20%만 사용되고 있다. 광도출 효율은 발광층과 ITO, ITO와 글라스 기판, 글라스 기판과 공기의 각 계면에서 전반사가 생겨서 내부에 빛이 같혀있는 상태이기에 약 20%만 발광량이 일어나고 있다. 알루미늄을 사용하는 음극은 외부로부터의 빛을 반사하는 미러가 된다. 원편광판을 1매 넣어서 외부로부터의

키워드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9.06.29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359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