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간과 식량위기
외국 농산물 수입검역실태
바나나 수입방법
농산물 품질 인증 마크
외국 농산물 수입검역실태
바나나 수입방법
농산물 품질 인증 마크
본문내용
씨가 컨테이너의 앞, 중간, 뒷부분에서 2상자씩을 꺼내 고기 덩어리를 살펴봤고 그는 “항만에 들어온 수입축산물은 전국 60여 곳 에 있는 냉장업체에 가서 관능검사를 받는다”며 “운송기간 적정한 온도가 유지됐는지, 고기가 변질되지 않았는지를 눈으로 살펴본다”고 설명했습니다. 관능검사는 전체 중량의 1%만을 채취해 실시되지만, 그가 하루 처리하는 컨테이너는 40~100대에 이른며 국립수의과학검역원 관계자는 “대다수 업체가 수의사 1명을 둔다”며 “검역시행장으로 지정된 냉장업체는 관리수의사를 둬야 한다는 규정만 있을 뿐, 처리 규모에 따른 인력 수 규정은 없다”고 말한바 있습니다. 이와 같이 첫 번째로 수입 농축산물 검사인력 턱없이 부족 합니다. 지금까지 조사한 바와 같이 외국 농산물 수입검역실태를 보면은 지금 우리나라에 검역사가 상당히 부족 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부족한 것도 둘째 치고 검사 하는 과정에서 너무나 복잡해 그것을 일일이 한다는 것과 힘들다는 것도 알았고 수입 절차도 그렇게 까다롭다는 것도 이제야 실감나게 되었습니다. 그리고 이번 레포트를 쓰면서 알아보았지만, 우리나라에는 식품안전을 다루는 정부기구들이 많지 않고, 이들의 식품안전을 위한 활동도 다양하지 못하며 외국의 비정부기구들이 보여주는 적극정인 활동과 성과를 당장에 기대 하기는 힘들기는 하지만 지금은 식품안전문제에 관심을 기울이는 비정부기구들이 생겨나고 있고, 개별적인 활동 이외에도 단체간에 연대활동도 시도 되고 있어 이러한 비정부기구들이 본격적으로 식품안전 관련 활동을 한다면 우리나라의 식품안전 수준이 향상될 것 이라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