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토목재료학 6장 연습문제 풀이입니다.
1 특수콘크리트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라.
2 AE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라.
3 AE콘크리트의 공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고 설명하라.
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장시간 운반에 따른 품질 변화에 대한 대책에 관하여 설명하라.
6. 서중콘크리트와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시의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7. 수중콘크리트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8. 수중콘크리트의 치기 및 양생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9. 프리팩트콘크리트공법이 보통콘크리트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하라.
10. 프리팩트콘크리트의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11.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라.
12.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공법을 비교하여 설명하라.
13.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하여 설명하라.
14. 해양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라.
15. 해양콘크리트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16. 경량콘트리트와 중량콘크리트 특성에 대하여 설명 하여라.
17.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18. 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19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20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1 특수콘크리트의 종류에 대하여 설명하라.
2 AE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라.
3 AE콘크리트의 공기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열거하고 설명하라.
4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5. 레디믹스트 콘크리트의 장시간 운반에 따른 품질 변화에 대한 대책에 관하여 설명하라.
6. 서중콘크리트와 한중 콘크리트의 시공시의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7. 수중콘크리트의 시공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라.
8. 수중콘크리트의 치기 및 양생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9. 프리팩트콘크리트공법이 보통콘크리트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하라.
10. 프리팩트콘크리트의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11.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라.
12.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공법을 비교하여 설명하라.
13. 뿜어붙이기 콘크리트의 배합에 대하여 설명하라.
14. 해양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라.
15. 해양콘크리트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16. 경량콘트리트와 중량콘크리트 특성에 대하여 설명 하여라.
17.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18. 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19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20 섬유 보강 콘크리트의 특성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본문내용
물-시멘트비는 40~60%정도가 적당하다.
5) 혼화재료는 급결제로써 시멘트중량의 5~8%정도가 적당하다.
14. 해양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라.
육상이나 해상의 공기중에서 시공하는 항만, 해안, 해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말하며, 해수의 작용을 받는 구조물과 육상이나 해면상에 건설되어 파랑이나 해수 물보라, 조풍의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도 해양 콘크리트로 간주한다.
해양에 건설되는 구조물은 시공시 및 건설 후에 일반적인 구조물의 외력 외에도 파력, 수압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 설계시 이러한 외력에 대하여 구조물이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해양 구조물의 시공시에는 해풍, 해류, 조류 등을 고려해야 한다.
15. 해양콘크리트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해양구조물에서는 균일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도록 치기, 다지기, 양생 등에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시공이음을 두지않는 것이 좋지만, 해양구조물에서는 특히 이 부분에서 피해가 시작하므로 이것을 피하도록 해야한다. 특히 최고조위로부터 위로 60cm 최저조위로부터 아래로 60cm사이의 강조부분에는 시공이음이 놓여지지 않도록 시공계획을 세울 필요가있다.
한편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덮개는 해수에 직접 닿는 부분, 조석간만의 작용을 받는 부분, 심한 마찰작용의 받지는 않으나 항상 해수로 씻기워지는 부분, 심한 조풍작용을 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표 6.13의 7.5cm정도가 대부분이고, 시공후의 콘크리트의 상태도 거의 만족할만 하다고 한다.
(a)해수에 직접 닿는 부분, 해수로 씻기워지는 부분, 심한 조풍을 받는 부분
70
(b) (a)이외의 부분
50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 덮개(mm)
특히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시에는 콘크리트에 해로운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16. 경량콘트리트와 중량콘크리트 특성에 대하여 설명 하여라.
* 경량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는 골재의 성질에 의하여 정해지며 설계계산을 할때 단위용적중량은 골재의 전부를 경량골재로 할 경우 1.9t/m³ 을 사용해도 좋다
인공경량 골재의 강도는 주로 표층부의 표면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입경이 큰 경량골재는 약하기 때문에 고강도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에 따라 강도가 상당히 틀려진다
탄성계수는 1.2~2.0x10⁴mpa범위이며 이값은 보통콘크리트의 40~80%정도이다
E=2974√Fck Mpa (w=1.7t/m³) E=3500√Fck Mpa (w=1.9t/m³)
* 중량콘크리트
비중이 큰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중량 콘크리트라 한다. 방사선 차폐용과 같은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중량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철광석 중정석 기타의 중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로써 단위용적중량이 3~5t/m³범위이다.
중량콘크리트에서 주용한것은 재료분리가 적고 블리딩과 수축률이 적은 콘크리트가 필요하며 타설시 진동기를 사용할때에는 과도한 진동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중량콘크리트는 x선이나 r선 중성자선의 차폐효과도 볼수있으며 원자력 발전용 압력용기 생체 차폐 대상으로 사용된다.
17.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구조물이 특수화 되어감에 따라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시스템이 요구화되고있다 구조시스템은 보다 효용이 높은 건설재료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콘크리트의 고품질화가 적극적으로 검토되고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미국에서는 42mpa 일본에서는 60~80mpa 우리나라는 40mpa를 기준으로 하고있다.
18. 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에 유동화제라고 하는 분산성능이 좋은 혼화제를 유입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킨 콘크리트이다
유동화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시공성 개선을 목적으로 개발 사용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시공성보다도 종래의 시공성을 유지하면서 된비빔 콘크리트에 가까운 품질을 얻는 묽은 반죽의 콘크리트 개선이라는 목적으로 이용되고있다.
유동화 콘크리트는 타설다짐이 매우 유용한 유동성을 가지면서도 단위수량은 보통콘크리트 보다도 적으므로 단위시멘트 중량을 적게할수있다 유동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보통 묽은 반죽의 콘크리트보다도 8~15%작게되어 콘크리트의 유동화 균열 저감에 효과가있다.
19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매스콘크리트의 내부에 있어서의 온도상승은 단위시멘트량 10kg/m³의 증감에 따라 1c의비율로 증가한다 단위 시멘트량을 적게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슬럼프값을 적게하고
5) 혼화재료는 급결제로써 시멘트중량의 5~8%정도가 적당하다.
14. 해양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라.
육상이나 해상의 공기중에서 시공하는 항만, 해안, 해양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말하며, 해수의 작용을 받는 구조물과 육상이나 해면상에 건설되어 파랑이나 해수 물보라, 조풍의 영향을 받는 콘크리트 구조물도 해양 콘크리트로 간주한다.
해양에 건설되는 구조물은 시공시 및 건설 후에 일반적인 구조물의 외력 외에도 파력, 수압 등을 고려하여 구조물 설계시 이러한 외력에 대하여 구조물이 안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해양 구조물의 시공시에는 해풍, 해류, 조류 등을 고려해야 한다.
15. 해양콘크리트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해양구조물에서는 균일한 콘크리트를 얻을 수 있도록 치기, 다지기, 양생 등에 충분한 배려가 필요하다. 일반적인 경우에는 시공이음을 두지않는 것이 좋지만, 해양구조물에서는 특히 이 부분에서 피해가 시작하므로 이것을 피하도록 해야한다. 특히 최고조위로부터 위로 60cm 최저조위로부터 아래로 60cm사이의 강조부분에는 시공이음이 놓여지지 않도록 시공계획을 세울 필요가있다.
한편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덮개는 해수에 직접 닿는 부분, 조석간만의 작용을 받는 부분, 심한 마찰작용의 받지는 않으나 항상 해수로 씻기워지는 부분, 심한 조풍작용을 받는 부분에 대해서는 표 6.13의 7.5cm정도가 대부분이고, 시공후의 콘크리트의 상태도 거의 만족할만 하다고 한다.
(a)해수에 직접 닿는 부분, 해수로 씻기워지는 부분, 심한 조풍을 받는 부분
70
(b) (a)이외의 부분
50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최소 덮개(mm)
특히 해양콘크리트 구조물의 설계시에는 콘크리트에 해로운 균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를 요한다.
16. 경량콘트리트와 중량콘크리트 특성에 대하여 설명 하여라.
* 경량콘크리트
경량콘크리트는 골재의 성질에 의하여 정해지며 설계계산을 할때 단위용적중량은 골재의 전부를 경량골재로 할 경우 1.9t/m³ 을 사용해도 좋다
인공경량 골재의 강도는 주로 표층부의 표면 상태에 따라 달라지며 일반적으로 입경이 큰 경량골재는 약하기 때문에 고강도 경량골재 콘크리트에서는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에 따라 강도가 상당히 틀려진다
탄성계수는 1.2~2.0x10⁴mpa범위이며 이값은 보통콘크리트의 40~80%정도이다
E=2974√Fck Mpa (w=1.7t/m³) E=3500√Fck Mpa (w=1.9t/m³)
* 중량콘크리트
비중이 큰골재를 사용하여 만든 콘크리트를 중량 콘크리트라 한다. 방사선 차폐용과 같은 특수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중량콘크리트를 만들기 위하여 철광석 중정석 기타의 중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로써 단위용적중량이 3~5t/m³범위이다.
중량콘크리트에서 주용한것은 재료분리가 적고 블리딩과 수축률이 적은 콘크리트가 필요하며 타설시 진동기를 사용할때에는 과도한 진동을 주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중량콘크리트는 x선이나 r선 중성자선의 차폐효과도 볼수있으며 원자력 발전용 압력용기 생체 차폐 대상으로 사용된다.
17. 고강도 콘크리트의 정의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구조물이 특수화 되어감에 따라 합리적이고 경제적인 구조시스템이 요구화되고있다 구조시스템은 보다 효용이 높은 건설재료를 필요로 하고 있으며 콘크리트의 고품질화가 적극적으로 검토되고있다.
고강도 콘크리트는 미국에서는 42mpa 일본에서는 60~80mpa 우리나라는 40mpa를 기준으로 하고있다.
18. 유동화 콘크리트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단위수량이 적은 콘크리트에 유동화제라고 하는 분산성능이 좋은 혼화제를 유입하여 유동성을 증대시킨 콘크리트이다
유동화 콘크리트는 콘크리트의 시공성 개선을 목적으로 개발 사용되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시공성보다도 종래의 시공성을 유지하면서 된비빔 콘크리트에 가까운 품질을 얻는 묽은 반죽의 콘크리트 개선이라는 목적으로 이용되고있다.
유동화 콘크리트는 타설다짐이 매우 유용한 유동성을 가지면서도 단위수량은 보통콘크리트 보다도 적으므로 단위시멘트 중량을 적게할수있다 유동화 콘크리트의 건조수축은 보통 묽은 반죽의 콘크리트보다도 8~15%작게되어 콘크리트의 유동화 균열 저감에 효과가있다.
19 매스콘크리트의 시공시 유의사항에 대하여 설명하라.
매스콘크리트의 내부에 있어서의 온도상승은 단위시멘트량 10kg/m³의 증감에 따라 1c의비율로 증가한다 단위 시멘트량을 적게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의 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슬럼프값을 적게하고
추천자료
Operating System Concept(공룡책) 운영체제 연습문제 정답 1장 ~ 13장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총론 (3판/이재호 저) 5장 연습문제 풀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총론(3판/이재호 저) 7장 연습문제 풀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총론 (3판/이재호 저) 6장 연습문제 풀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총론(3판/이재호 저) 9장 연습문제 풀이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총론(3판/이재호 저) 10장 연습문제 풀이
수문학 구미서관 (이재수 저) 제10장 연습문제풀이(홀수)
수문학 구미서관 (이재수 저) 10장 연습문제(홀수) 풀이
William Stallings - Operating systems - Chapter8 연습문제 풀이
William Stallings - Operating systems - Chapter7 연습문제 풀이
William Stallings - Operating systems - Chapter6 연습문제 풀이
William Stallings - Operating systems - Chapter5 연습문제 풀이
William Stallings - Operating systems - Chapter4 연습문제 풀이
William Stallings - Operating systems - Chapter3 연습문제 풀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