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이기론
2. 사칠론
3. 수양론과 궁리론
◆ 과제를 마치며..
2. 사칠론
3. 수양론과 궁리론
◆ 과제를 마치며..
본문내용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리와 기는 하나이면서 둘이요 둘이면서 하나인 것이다. 이러한 \'리기지묘\'의 구조는 우주론이나 인성론 그리고 가치론에서도 적용된다. 따라서 사단칠정, 인심도심이 모두 리기지묘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가치적 측면에서도 리의 가치와 기의 가치가 상호 대립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대 가치를 용납하는 보완적 의미를 갖는다. 리만으로는 부족하고 기만으로도 부족하다. 리는 기를 통해서만 온전할 수 있고, 기는 리를 통해서만이 온전할 수 있다. 리와 기의 상호 보완성 이것이 이이 철학의 중요한 정신이다.
이이는 이러한 관점에서 자기 성리학을 달리 氣發理乘, 理通氣局이라고도 설명한다. \'기발리승\'이란 발하는 기 위에 리가 올라타 있는 존재 양태를 언표한 것이다. 리기의 묘합 구조를 기발리승이라는 말로 달리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이 말 자체는 이황의 \"사단리발이기수지, 칠정기발이리승지\"에서 유래하는 것이지만, 이이는 이황의 기발리승 하나의 길만을 고수한다. 이황처럼 두 가지 존재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기발리승 하나의 길만을 지킨다. 그리고 이황이 理發을 주장한 데 대하여, 이이는 이를 극력 반대하고 오직 발하는 것은 기요 리는 그 자체가 발할 수 없고 기발의 소이가 된다고 하였다. 이는 후일 송시열에 의해 율곡 학파의 사상적 특성을 뚜렷이 하는 것이기도 하며, 이황 後儒들에 의해 비판받는 문제이기도 하다.
또한 \'리통기국\'은 이이 성리설의 대표적인 이론인데, 불교적 용어의 차용이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은 자득적 견해라는 뜻을 나타낸다. 리통기국은 \'理無形, 氣有形\'이라는 리기의 특성에 연유한 것으로, 리의 보편성과 기의 局定性을 妙合的 相涵의 논리로 표현한 말이다. 리는 언제 어디서나 보편적으로 존재하지만, 기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제약되는데, 양자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므로 상호 영향 아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이의 \'리통기국\'은 리기의 체용일원과 리기지묘를 아울러 통찰한 이론이다. 즉 리의 체용 논리인 리일분수와 기의 체용 논리인 기일분수를 함께 고려하면서, 동시에 리기지묘의 관점에서 본 것이라 하겠다.
이이는 심, 성, 정 일체를 이 리기지묘의 구조로 이해한다. 이이에 의하면 심은 하나인데 도의에 따라 발한 심이 도심이고 형기에 따라 발한 심이 인심이다. 특히 이이는 인심도심을 정, 의를 겸한 심으로 보아, 인심과 도심의 상호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인심으로시작해도 잘 精察하면 도심으로 끝날 수 있고, 도심으로 시작해도 잘못하면 인심으로 귀결되고 만다는 것이다. 또 이이는 리와 성을 구별하는 입장에서 일단 성이란 合理氣의 구조로 보고 氣質之性 중심의 性論을 말한다. 이는 이이가 현실적 입장에서 인간의 성을 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칠론에서는 사단과 칠정을 모두 情으로 보고 칠정 속에 사단을 포함시켜 이해한다. 이이는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달리 구별해 이해한 것과는 달리, 사단칠정을 모두 기가 발함에 리가 올라탄 \'기발리승\'의 구조로 이해한다. 그리고 사단은 칠정 가운데 선한 정이라 한다. 이러한 이이의 인간 심성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으로 \'리기지묘\'의 입장을 전제한 것이며, 현실적 인간을 중심으로 본 관점이다. 따라서 수양론에서도 기질 변화를 통한 본래성의 회복에 초점을 맞추게 됨은 물론이다.
율곡의 사단칠정론이나 인심도심설에 대한 해석도 이원적인 논의와 다르다. 사칠론에 있어서도 사단이란 칠정 중의 선자일 뿐이며, 칠정이라 하여 형기에 속한 것으로만 보지 않는다. 사단은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의 네 가지 마음씨로서 각각 인의예지의 착한 본성에서 발로되어 나오는 정감이다. 사단과 칠정은 서로 포섭관계에 있지만 인심과 도심은 상대적인 것이므로 서로 포섭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율곡에 의하면, 인심과 도심은 결코 두 마음이 아니다. 인심이나 도심은 하나인데, 어떠한 의지적 방향을 가지고 작용하는냐에 따라 인심과 도심이 구별되는 것이다. 퇴계는 사단칠정을 이성적 작용으로 파악했다. 율곡은 이성적 작용도 작용인 이상 기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 이는 무위라는 주자의 측면을 계승, 존재와 도덕을 일괄하여 이기 관계를 이른바 ‘기발리승일도설’로 제시하였다.
사단은 칠정의 선한 일부분이고, 칠정은 사단을 종합한 것이다
칠정 이외에 다른 정이 없으며, 칠정 가운데서 인욕이 섞이지 않고 순연하게 천리에서 나온 것이 사단이다.
율곡은 퇴계가 “사단은 리에서 발생하여 기가 거기에 따르고 칠정은 기에서 발생하여 리가 그것을 탄다”는 것에 반대하면서 “사단이나 칠정이나 그것은 모두 기에서 발생하고 리가 그것을 타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진 것을 본 연후에야 비로소 측은한 마음이 생기는 것인데, 이것은 측은히 여기는 ‘기’가 발동하여 생긴 것은즉 ‘기’는 측은한 것의 인이다. 그러니 리가 기를 올라 탄다고 하는 것이다. 이같이 율곡은 이발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단은 칠정 중의 선한 부분일 뿐이라고 한다. 그런데 율곡에게는 “어떻게 칠정 중에 순수하고 완전하게 리에 해당하는 사단이 발생하게 되었는가”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연지기’라는 말을 만들어 낸다. 기를 편협한 것, 정신에 상대되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 아닌 것이다. 율곡이 말한 본연지기-호연지기는 정신적인 기백이요, 의로운 힘이다. 충만한 정신이다. 따라서 호연지기는 진취적 기상의 바탕이 된다고 하겠다. 본연지성이란 원래 기질지성을 떠나 있는 것이 아니다. 본연지성이 나타나는 것은 기질을 떠나서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담일허명한 ‘본연지기’가 문제되는 것이다. 기에는 본연에 기가 있는데 그것은 순수하고 청명하여 이를 싣고 리 그 자체대로 움직여 그대로 사단이 된다는 것이다.
율곡은 기를 물질적인 것, 감성적인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영역, 심령이나 이성까지도 기로 본다. 그러므로 기는 본연지성을 언폐하는 것일 뿐 아니라. 본연지성을 회복시키는 것이요, 본연지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한편 율곡은 서경덕이 주기론에 대해서는 ‘리통기국설’을 퇴계의 리기이원적 경향에
이이는 이러한 관점에서 자기 성리학을 달리 氣發理乘, 理通氣局이라고도 설명한다. \'기발리승\'이란 발하는 기 위에 리가 올라타 있는 존재 양태를 언표한 것이다. 리기의 묘합 구조를 기발리승이라는 말로 달리 표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물론 이 말 자체는 이황의 \"사단리발이기수지, 칠정기발이리승지\"에서 유래하는 것이지만, 이이는 이황의 기발리승 하나의 길만을 고수한다. 이황처럼 두 가지 존재 구조를 제시하는 것이 아니라, 오직 기발리승 하나의 길만을 지킨다. 그리고 이황이 理發을 주장한 데 대하여, 이이는 이를 극력 반대하고 오직 발하는 것은 기요 리는 그 자체가 발할 수 없고 기발의 소이가 된다고 하였다. 이는 후일 송시열에 의해 율곡 학파의 사상적 특성을 뚜렷이 하는 것이기도 하며, 이황 後儒들에 의해 비판받는 문제이기도 하다.
또한 \'리통기국\'은 이이 성리설의 대표적인 이론인데, 불교적 용어의 차용이라는 주장에도 불구하고 그 자신은 자득적 견해라는 뜻을 나타낸다. 리통기국은 \'理無形, 氣有形\'이라는 리기의 특성에 연유한 것으로, 리의 보편성과 기의 局定性을 妙合的 相涵의 논리로 표현한 말이다. 리는 언제 어디서나 보편적으로 존재하지만, 기는 시간과 공간에 따라 제약되는데, 양자는 떨어질 수 없는 관계이므로 상호 영향 아래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이이의 \'리통기국\'은 리기의 체용일원과 리기지묘를 아울러 통찰한 이론이다. 즉 리의 체용 논리인 리일분수와 기의 체용 논리인 기일분수를 함께 고려하면서, 동시에 리기지묘의 관점에서 본 것이라 하겠다.
이이는 심, 성, 정 일체를 이 리기지묘의 구조로 이해한다. 이이에 의하면 심은 하나인데 도의에 따라 발한 심이 도심이고 형기에 따라 발한 심이 인심이다. 특히 이이는 인심도심을 정, 의를 겸한 심으로 보아, 인심과 도심의 상호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였다. 인심으로시작해도 잘 精察하면 도심으로 끝날 수 있고, 도심으로 시작해도 잘못하면 인심으로 귀결되고 만다는 것이다. 또 이이는 리와 성을 구별하는 입장에서 일단 성이란 合理氣의 구조로 보고 氣質之性 중심의 性論을 말한다. 이는 이이가 현실적 입장에서 인간의 성을 보고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사칠론에서는 사단과 칠정을 모두 情으로 보고 칠정 속에 사단을 포함시켜 이해한다. 이이는 이황이 사단과 칠정을 달리 구별해 이해한 것과는 달리, 사단칠정을 모두 기가 발함에 리가 올라탄 \'기발리승\'의 구조로 이해한다. 그리고 사단은 칠정 가운데 선한 정이라 한다. 이러한 이이의 인간 심성에 대한 이해는 기본적으로 \'리기지묘\'의 입장을 전제한 것이며, 현실적 인간을 중심으로 본 관점이다. 따라서 수양론에서도 기질 변화를 통한 본래성의 회복에 초점을 맞추게 됨은 물론이다.
율곡의 사단칠정론이나 인심도심설에 대한 해석도 이원적인 논의와 다르다. 사칠론에 있어서도 사단이란 칠정 중의 선자일 뿐이며, 칠정이라 하여 형기에 속한 것으로만 보지 않는다. 사단은 측은지심수오지심사양지심시비지심의 네 가지 마음씨로서 각각 인의예지의 착한 본성에서 발로되어 나오는 정감이다. 사단과 칠정은 서로 포섭관계에 있지만 인심과 도심은 상대적인 것이므로 서로 포섭할 수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율곡에 의하면, 인심과 도심은 결코 두 마음이 아니다. 인심이나 도심은 하나인데, 어떠한 의지적 방향을 가지고 작용하는냐에 따라 인심과 도심이 구별되는 것이다. 퇴계는 사단칠정을 이성적 작용으로 파악했다. 율곡은 이성적 작용도 작용인 이상 기에 의한 것이라고 보고, 이는 무위라는 주자의 측면을 계승, 존재와 도덕을 일괄하여 이기 관계를 이른바 ‘기발리승일도설’로 제시하였다.
사단은 칠정의 선한 일부분이고, 칠정은 사단을 종합한 것이다
칠정 이외에 다른 정이 없으며, 칠정 가운데서 인욕이 섞이지 않고 순연하게 천리에서 나온 것이 사단이다.
율곡은 퇴계가 “사단은 리에서 발생하여 기가 거기에 따르고 칠정은 기에서 발생하여 리가 그것을 탄다”는 것에 반대하면서 “사단이나 칠정이나 그것은 모두 기에서 발생하고 리가 그것을 타는 것”이라고 했다. 그는 어린아이가 우물에 빠진 것을 본 연후에야 비로소 측은한 마음이 생기는 것인데, 이것은 측은히 여기는 ‘기’가 발동하여 생긴 것은즉 ‘기’는 측은한 것의 인이다. 그러니 리가 기를 올라 탄다고 하는 것이다. 이같이 율곡은 이발을 인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단은 칠정 중의 선한 부분일 뿐이라고 한다. 그런데 율곡에게는 “어떻게 칠정 중에 순수하고 완전하게 리에 해당하는 사단이 발생하게 되었는가”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그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연지기’라는 말을 만들어 낸다. 기를 편협한 것, 정신에 상대되는 것으로 보는 입장이 아닌 것이다. 율곡이 말한 본연지기-호연지기는 정신적인 기백이요, 의로운 힘이다. 충만한 정신이다. 따라서 호연지기는 진취적 기상의 바탕이 된다고 하겠다. 본연지성이란 원래 기질지성을 떠나 있는 것이 아니다. 본연지성이 나타나는 것은 기질을 떠나서 있을 수 없는 것이다. 그러므로 담일허명한 ‘본연지기’가 문제되는 것이다. 기에는 본연에 기가 있는데 그것은 순수하고 청명하여 이를 싣고 리 그 자체대로 움직여 그대로 사단이 된다는 것이다.
율곡은 기를 물질적인 것, 감성적인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정신적인 영역, 심령이나 이성까지도 기로 본다. 그러므로 기는 본연지성을 언폐하는 것일 뿐 아니라. 본연지성을 회복시키는 것이요, 본연지성을 드러내는 것이다.
한편 율곡은 서경덕이 주기론에 대해서는 ‘리통기국설’을 퇴계의 리기이원적 경향에
추천자료
2011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2년 1학기 성인학습및상담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에릭슨,레빈슨,로에빙거의발달이론)
성인학습 및 상담론 자료
성인학습 및 상담론 답변
2012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성인학습및상담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에릭슨,레빈슨,로에빙거의발달이론)
한방에서 보는 음양오행론에 대해서
2013년 2학기 한국희곡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성인학습 및 상담론 3공통) 에릭슨(Erikson), 레빈슨(Levinson), 로에빙거(Loevinger)의 발달...
2014년 1학기 성인학습및상담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에릭슨,레빈슨,로에빙거발달이론 비교)
2014년 2학기 한국희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5년 1학기 성인학습및상담론 중간시험과제물 공통(에릭슨,레빈슨,로에빙거발달이론 비교)
2015년 2학기 한국희곡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