놀이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 놀이치료란 ?

● 놀이치료 (Play Therapy) - (1) 놀이의 개념
놀이(play)의 개념
1. 놀이의 특징
2. 놀이의 기능(Functions of play behavior)

● 놀이치료 (Play Therapy) - (2) 놀이치료란 무엇인가?
1. 놀이치료의 정의
2. 소아정신과에서의 놀이의 임상적 응용.
3. 놀이치료의 대상이 되는 특정한 소아기 질환 또는 문제들

● 놀이치료 (Play Therapy) - (3) 놀이치료의 역사

● 놀이치료 (Play Therapy) - (4)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정신분석적 놀이치료 (psychoanalytic play therapy)
1. 정신분석적 치료에서의 놀이
2. 놀이의 목적
3. 놀이 재료
4. 치료자의 자격

● 놀이치료 (Play Therapy) - (5) 아동 중심 놀이치료
비지시적, 아동중심, 인본주의 놀이치료 (nondirective, child-centered, humanistic play therapy)
1. 기본 철학
2. Virginia Axline의 치료원칙
3. 치료자의 자격
4. 대상 아동
5. 집단 놀이치료
6. 놀이재료
7. 치료자의 행동
8. 대략적인 치료과정

● 놀이치료 (Play Therapy) - (6) 다른 놀이치료법
다른 놀이치료 방법들
1. 인지 행동 놀이치료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CBPT)
2. 발달 놀이치료 (developmental play therapy)
3. Filial therapy / 가족 놀이치료 (family play therapy)
4. Adler식 놀이치료 (Adlerian play therapy)
5. 집단놀이치료 (Group play therapy)
6. 현실 치료 (reality therapy)
7. 공평 놀이치료 (fair play therapy)
8. 모래상자놀이 (Sand Play)

● 참고문헌

● 부모상담

본문내용

인지, 아동이 할 일은 무엇인지 등을 가르쳐준다.
다. 한계(limit) 설정
놀이 도구이외에 치료실 안에 있는 물건이나 시설을 파괴해서는 안 된다.
치료자를 신체적으로 공격해서는 안 된다.
면담시간을 지나서 치료실에 남아있는 것은 금지한다.
치료실에서 장난감을 가져가는 것은 금한다.
창밖으로 장난감이나 다른 물건을 던져서는 안 된다.
(2) 치료적인 기법
가. 치료자의 개입 : 행동에 대한 합리적인 한계 안에서 전적으로 아이에게 초점을 맞춘다. 아이가 치료시간을 이끌고 치료자는 일정 한계 안에서 활동에 참여한다. 즉, 참여하면서 아이의 놀이를 뒤따라간다. 치료자는 아동의 성공과 실패, 성숙한 행동과 미숙한 행동, 예쁜 행동과 미운 행동에 대해 가능한 비슷한 관심과 감정을 제공하도록 노력한다.
나. 물리적인 위치 : 가능하면 아이와 같은 높이의 평면에서 활동하며 3-4 발걸음 정도의 신체적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좋다.
다. 비밀보장 : 치료상황에서 일어난 일에 대해서는 다른 사람에게 알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확신시켜주는 것이 좋다.
8. 대략적인 치료과정
(1) 첫 세션
따뜻하고 친근감 있고 지지적이며 수용적인 분위기를 만들어주는 것이 필요하다. 치료과정에서 말하고 싶은 모든 것을 말할 수 있고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것을 전달해준다. 치료자는 아동이 원한다면 같이 놀아 줄 것이라고 말해준다. 아동이 해서는 안 되는 행동을 할 때는 치료자가 말해줄 것이라는 것을 알려준다. 아주 수줍어하는 아동이라도 네 번째 세션 이내에 자유스럽게 놀 수 있게 된다.
(2) 초기 세션
놀이시간의 현실적 상황, 치료자, 그리고 한계에 대한 시험을 하려는 시도가 나타난다. 가끔 공격적인 행동이 나타날 수도 있다. 치료자가 정말로 아이의 행동을 비판하거나 심판하지 않는다는 것을 배우게 되어 나중에 좀더 자유스럽게 자신을 표현하게 된다.
(3) 중기 세션
점차 퇴행적인 모습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유아적인 말투, 아기 놀이, 인형과 자신을 먹이고 키우는 놀이가 이루어지면서 의존과 독립의 주제를 다루게 된다. 어른을 신뢰하고 편안한 마음이 된다. 이 과정을 통해 성격의 재구성이 일어나고 자기를 수용하는 모습이 늘어난다.
(4) 말기 세션
현실 지향적인 놀이가 많아진다. 공격적인 모습은 현실적인 사건에 국한되어 나타난다. 좌절에 대한 참을성이 생기며 친사회적인 행동이 대부분을 차지한다.
● 놀이치료 (Play Therapy) - (6) 다른 놀이치료법
다른 놀이치료 방법들
1. 인지 행동 놀이치료 (cognitive behavioral play therapy, CBPT)
2. 발달 놀이치료 (developmental play therapy)
3. Filial therapy / 가족 놀이치료 (family play therapy)
4. Adler식 놀이치료 (Adlerian play therapy)
5. 집단놀이치료 (Group play therapy)
6. 현실 치료 (reality therapy)
7. 공평 놀이치료 (fair play therapy)
8. 모래상자놀이 (Sand Play)
● 참고문헌
김광웅, 유미숙, 유재령 (2004). 놀이치료학. 학지사
송영혜, 윤지현 역(2001). 놀이치료 입문. 시프마프레스
신숙재, 이영미, 한정원(2000). 아동중심 놀이치료 - 아동상담- 동서문화사
● 부모상담
- 치료시 부모상담의 필요성
효과적인 상담을 위해 부모의 협조가 필요함
자녀를 이해할 수 있도록 함
효과적인 양육태도를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함
- 부모 상담 내용
놀이치료에 대한 이해
아동에 대한 이해
부모 자신에 대한 이해
부모교육 프로그램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9.07.06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42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