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나노기술(나노, NANO)의 개념
Ⅲ. 나노기술(나노, NANO)의 특징
Ⅳ. 탄소나노튜브의 기원
Ⅴ. 탄소나노튜브의 구조
Ⅵ. 탄소나노튜브의 물성
1. 전기적 성질
2. 열적 성질
3. 기계적 성질
Ⅶ. 탄소나노튜브의 전망
참고문헌
Ⅱ. 나노기술(나노, NANO)의 개념
Ⅲ. 나노기술(나노, NANO)의 특징
Ⅳ. 탄소나노튜브의 기원
Ⅴ. 탄소나노튜브의 구조
Ⅵ. 탄소나노튜브의 물성
1. 전기적 성질
2. 열적 성질
3. 기계적 성질
Ⅶ. 탄소나노튜브의 전망
참고문헌
본문내용
과학기술교류를 촉진하고 있다.
Ⅱ. 나노기술(나노, NANO)의 개념
물체를 원자나 분자 단위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로 물질의 성질을 알아내 새로운 특성을 갖는 물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난쟁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나노스\'에서 유래된 말로 \'작다\'는 의미다. 단위로 쓰일 때는 나노는 \'10억분의 1\'을 의미한다. 지난 52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피어만 박사는 원자를 제어하면 전 세계 정보를 200분의 1인치 크기의 정육면체에 담을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피어만 박사의 이 말은 50년이 지난 82년 IBM이 전자주사현미경을 발명하고 원자의 조작가능성을 제기하면서 현실화되었다. 나노기술이 실현되면 천연 다이아몬드는 물론이고 스스로 움직이면서 특정 질병에 걸린 세포를 인식할 수 있는 초소형 로봇도 개발할 수 있다. 세상을 바꿀 만한 기술이긴 하지만 나노기술의 상용화가 쉬운 일은 아니다.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을 21세기에 실현될 과학기술로 손꼽고 있다.
Ⅲ. 나노기술(나노, NANO)의 특징
학문간 경계가 없는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기술 분야(물리, 재료, 전자 등)들을 횡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기술 영역 구축되고, 기존 인적 자원과 학문 분야간 시너지 효과 유도할 수 있다.
분석, 제어, 합성의 전 과정이 극미세 수준(≤100㎚)에서 제어하기 때문에 높은 기술집약도가 필요하다. 크기, 소비 에너지 등을 최소화하면서도 최고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경제성이 실현될 수 있다. 오염발생 방지, 효과적 오염 제거 등이 가능하여 환경친화성이 높은 기술이다. 생체 나노 구조와 활동을 본떠 인공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 나노기술의 요체이기 때문에 자연에 가장 근접한 기술이다.
Ⅳ. 탄소나노튜브의 기원
탄소나노튜브는 1991년도 일본의 Iijima 박사가 풀러렌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견한 구조로 흑연 한층을 둘둘 말아놓은 형태로서 속이 비어있고, 여러 층이 동축케이블형태로 구성된 다층탄소나노튜브의 경우 직경이 수십㎛ 수백㎛이고 길이는 수㎛ 수십㎛이며, 단층탄소나노튜브의 경우 직경이 수㎛ 정도이고 길이가 수백㎛ 정도이다. 1992년 일본의 Oshiyama 박사팀과 미국의 Dresselhaus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의 감긴 형태 (chirality)인 armchair 나노튜브는 금속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zigzag 나노튜브는 직경에 따라 반도체 혹은 에너지
Ⅱ. 나노기술(나노, NANO)의 개념
물체를 원자나 분자 단위로 제조할 수 있는 기술로 물질의 성질을 알아내 새로운 특성을 갖는 물질을 생산하는 것을 말한다. 난쟁이를 의미하는 그리스어 \'나노스\'에서 유래된 말로 \'작다\'는 의미다. 단위로 쓰일 때는 나노는 \'10억분의 1\'을 의미한다. 지난 52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피어만 박사는 원자를 제어하면 전 세계 정보를 200분의 1인치 크기의 정육면체에 담을 수 있다고 말한 바 있다. 피어만 박사의 이 말은 50년이 지난 82년 IBM이 전자주사현미경을 발명하고 원자의 조작가능성을 제기하면서 현실화되었다. 나노기술이 실현되면 천연 다이아몬드는 물론이고 스스로 움직이면서 특정 질병에 걸린 세포를 인식할 수 있는 초소형 로봇도 개발할 수 있다. 세상을 바꿀 만한 기술이긴 하지만 나노기술의 상용화가 쉬운 일은 아니다. 과학자들은 나노기술을 21세기에 실현될 과학기술로 손꼽고 있다.
Ⅲ. 나노기술(나노, NANO)의 특징
학문간 경계가 없는 학제간(Interdisciplinary) 연구가 필요하다. 기존의 기술 분야(물리, 재료, 전자 등)들을 횡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새로운 기술 영역 구축되고, 기존 인적 자원과 학문 분야간 시너지 효과 유도할 수 있다.
분석, 제어, 합성의 전 과정이 극미세 수준(≤100㎚)에서 제어하기 때문에 높은 기술집약도가 필요하다. 크기, 소비 에너지 등을 최소화하면서도 최고의 성능을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높은 경제성이 실현될 수 있다. 오염발생 방지, 효과적 오염 제거 등이 가능하여 환경친화성이 높은 기술이다. 생체 나노 구조와 활동을 본떠 인공 구조물을 만드는 것이 나노기술의 요체이기 때문에 자연에 가장 근접한 기술이다.
Ⅳ. 탄소나노튜브의 기원
탄소나노튜브는 1991년도 일본의 Iijima 박사가 풀러렌을 만드는 과정에서 발견한 구조로 흑연 한층을 둘둘 말아놓은 형태로서 속이 비어있고, 여러 층이 동축케이블형태로 구성된 다층탄소나노튜브의 경우 직경이 수십㎛ 수백㎛이고 길이는 수㎛ 수십㎛이며, 단층탄소나노튜브의 경우 직경이 수㎛ 정도이고 길이가 수백㎛ 정도이다. 1992년 일본의 Oshiyama 박사팀과 미국의 Dresselhaus 교수팀은 탄소나노튜브의 감긴 형태 (chirality)인 armchair 나노튜브는 금속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zigzag 나노튜브는 직경에 따라 반도체 혹은 에너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