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개요
Ⅱ. 단백질의 중요성
Ⅲ. 단백질의 분류
1. 완전 단백질
2. 부분적 완전 단백질
3. 불완전 단백질
Ⅳ. 단백질의 구성요소
Ⅴ. 단백질의 기능
1. 호르몬, 효소와 항체의 형성
2. 체액의 균형
3. 산·염기의 균형
1) 항상성유지
2) 영양소의 운반
Ⅵ. 단백질의 분해효소
Ⅶ. 단백질의 대사과정
Ⅷ. 단백질의 흡수
Ⅸ. 단백질의 결핍증
1. 쿠아시어커(kwashiorkor)
2. 마라스무스(marasmus)
참고문헌
Ⅱ. 단백질의 중요성
Ⅲ. 단백질의 분류
1. 완전 단백질
2. 부분적 완전 단백질
3. 불완전 단백질
Ⅳ. 단백질의 구성요소
Ⅴ. 단백질의 기능
1. 호르몬, 효소와 항체의 형성
2. 체액의 균형
3. 산·염기의 균형
1) 항상성유지
2) 영양소의 운반
Ⅵ. 단백질의 분해효소
Ⅶ. 단백질의 대사과정
Ⅷ. 단백질의 흡수
Ⅸ. 단백질의 결핍증
1. 쿠아시어커(kwashiorkor)
2. 마라스무스(marasmus)
참고문헌
본문내용
단백질이 한 가지뿐이고, 그것이 불완전 단백질이라면 한 개나 그 이상의 필수 아미노산 공급이 불충분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아미노산 풀이 감소되고 그에 따라 단백질의 합성이 중지된다.
Ⅸ. 단백질의 결핍증
1. 쿠아시어커(kwashiorkor)
단백질 결핍증을 \'쿠아시어커(kwashiorkor)\'라고 부르며, 전세계적으로 저개발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영양결핍증이다. 이 증상은 대개 1~4세까지의 어린이들에게서, 이유 뒤의 영양이 부족하거나 또는 급속한 성장에 필요한 영양의 섭취가 부족할 때 잘 나타난다. 저개발국가뿐 아니라 선진 개발국에서도 쿠아시어커는 볼 수 있다. 모유로 키우는 유아는 6개월 정도는 신체의 단백질 요구량에 맞을 만큼의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모유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나, 6개월 이후에 모유를 우유나 조제 분유 등으로 바꾸지 않고 곡류죽 등으로 대치하면서 그냥 이유만 시킨다면 단백질의 양이 부족하기 쉬워진다. 이렇게 되면 어린이가 잘 성장하지 않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도 떨어지게 된다.
단백질을 부족하게 섭취하여 이런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데다가 생활환경의 위생문제가지 겹치게 되면 어린아이들은 쉽게 병에 걸리게 되어 발열,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런 증상들은 단백질의 결핍증을 더 악화시킨다. 왜냐하면 조금 섭취한 단백질까지도 신체에서 소화·흡수되기 전에 설사나 구토 등으로 다 배설되기 때문이다.
쿠아시어커에는 여러 가지 증상들이 단계별로 따라온다. 초기에는 신경과민 경향을 보이며 성장이 지연되고 체중의 증가가 없는 것도 한 증상이다. 근육이 아주 빈약하게 되고 손발이 꼬이게되며 피부는 부스럼 같은 것이 생겨 거칠어지고, 탈색되고, 다리나 발에 비늘같은 것이 생기며, 머리카락은 뻣뻣해지다. 이와 같은 증상 외에도 빈혈, 식용부진, 간의 비대, 설사와 구토가 나타난다. 더 진전이 되면 부종이 나타난다.
2. 마라스무스(marasmus)
단백질의 결핍은 흔히 식사 내 열량 결핍과 함께 나타나며 이런 경우는 거의 굶는 것과 마찬가지의 상황이 된다. 이런 상태를 \'열량-단백질 영양불량(energy protein malnutrition, EPM)\'이라고 하며 열량과 단백질이 모두 부족한 경우를 일컫는다. 다른 말로는 \'마라스무스(marasmus)\' 혹은 \'PCM(protein-calorie malnutrition)\'이라고도 부른다.
EPM은 총 식사 섭취량이 적기 때문에 그 속에 있는 단백질의 양이 단백질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도 부족할 뿐 아니라 에너지를 내는 데도 부족하게 되므로 영양적으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식이요법이 바로 따르지 않으면 영양실조에 소화기계 질환과 감염까지 겹쳐서 죽음에 이르는 수가 많다.
참고문헌
○ 21세기 영양학원리, 교문사
○ 강인숙(1995), 현대 식품화학, 지구문화사
○ 기초영양학 식품영양학교재, 광문각
○ 신광순·황우익, 최신영양학, 신광출판사
○ 이근보·양종범·고명수, 식품분석, 유한문화사
○ 정동효·장형기(1999), 식품분석, 형설출판사
Ⅸ. 단백질의 결핍증
1. 쿠아시어커(kwashiorkor)
단백질 결핍증을 \'쿠아시어커(kwashiorkor)\'라고 부르며, 전세계적으로 저개발국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영양결핍증이다. 이 증상은 대개 1~4세까지의 어린이들에게서, 이유 뒤의 영양이 부족하거나 또는 급속한 성장에 필요한 영양의 섭취가 부족할 때 잘 나타난다. 저개발국가뿐 아니라 선진 개발국에서도 쿠아시어커는 볼 수 있다. 모유로 키우는 유아는 6개월 정도는 신체의 단백질 요구량에 맞을 만큼의 충분한 양의 단백질을 모유로부터 공급받을 수 있으나, 6개월 이후에 모유를 우유나 조제 분유 등으로 바꾸지 않고 곡류죽 등으로 대치하면서 그냥 이유만 시킨다면 단백질의 양이 부족하기 쉬워진다. 이렇게 되면 어린이가 잘 성장하지 않고 감염에 대한 저항력도 떨어지게 된다.
단백질을 부족하게 섭취하여 이런 감염에 대한 저항력이 떨어진데다가 생활환경의 위생문제가지 겹치게 되면 어린아이들은 쉽게 병에 걸리게 되어 발열, 설사, 구토 등의 증상이 나타나게 되며, 이런 증상들은 단백질의 결핍증을 더 악화시킨다. 왜냐하면 조금 섭취한 단백질까지도 신체에서 소화·흡수되기 전에 설사나 구토 등으로 다 배설되기 때문이다.
쿠아시어커에는 여러 가지 증상들이 단계별로 따라온다. 초기에는 신경과민 경향을 보이며 성장이 지연되고 체중의 증가가 없는 것도 한 증상이다. 근육이 아주 빈약하게 되고 손발이 꼬이게되며 피부는 부스럼 같은 것이 생겨 거칠어지고, 탈색되고, 다리나 발에 비늘같은 것이 생기며, 머리카락은 뻣뻣해지다. 이와 같은 증상 외에도 빈혈, 식용부진, 간의 비대, 설사와 구토가 나타난다. 더 진전이 되면 부종이 나타난다.
2. 마라스무스(marasmus)
단백질의 결핍은 흔히 식사 내 열량 결핍과 함께 나타나며 이런 경우는 거의 굶는 것과 마찬가지의 상황이 된다. 이런 상태를 \'열량-단백질 영양불량(energy protein malnutrition, EPM)\'이라고 하며 열량과 단백질이 모두 부족한 경우를 일컫는다. 다른 말로는 \'마라스무스(marasmus)\' 혹은 \'PCM(protein-calorie malnutrition)\'이라고도 부른다.
EPM은 총 식사 섭취량이 적기 때문에 그 속에 있는 단백질의 양이 단백질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도 부족할 뿐 아니라 에너지를 내는 데도 부족하게 되므로 영양적으로는 매우 심각한 상황이다. 식이요법이 바로 따르지 않으면 영양실조에 소화기계 질환과 감염까지 겹쳐서 죽음에 이르는 수가 많다.
참고문헌
○ 21세기 영양학원리, 교문사
○ 강인숙(1995), 현대 식품화학, 지구문화사
○ 기초영양학 식품영양학교재, 광문각
○ 신광순·황우익, 최신영양학, 신광출판사
○ 이근보·양종범·고명수, 식품분석, 유한문화사
○ 정동효·장형기(1999), 식품분석, 형설출판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