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유는 근수축시 흥분함.
② 양극전도차단 : 반복적 전기자극→전도속도↓→자극역치↑→Aδ, C섬유의 구심성전도 일 시적 차단→진통작용.
③ 피질억제설 : 원격 말초부위의 고강도 자극→광범위유해억제조절(DNIC)활성 감소→통증 소실. 진통작용은 고위중추에서의 serotonin분비와 관련.
④ 엔돌핀설 : β-엔돌핀 증가.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유형>
1.고빈도-저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conventional TENS)
-전통적으로 흔히 사용하던 방법
-75-125 pps 또는 80-120 pps의 높은 맥동빈도를 사용하고 맥동기간은 100 ㎲이하 로 낮게 하며 최소 가시수축(mvc)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낮은 강도로 15-45분간 자극한다.
-전기 자극 10-20분 이내에 진통작용이 나타나 자극 후 20-30분 정도 지속되어 비교 적 진통유발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진통지속시간이 짧다.
-급성통증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2.저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acupuncture-like TENS)
- 10-20 pps 이하 대개는 1-4 pps의 낮은 맥동빈도를 사용하며 맥동기간을 높게하고 강한 강도로 자극한다.
-심부통증 및 만성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엔돌핀의 분비가 증가하는 것
전기자극 20-30분에 진통작용이 나타나 자극 후 2-6시간 정도 지속되어 비교적 진 통유발이 느리지만 진통지속시간이 길다.
-만성통증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3.고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brief intense TENS)
-150 pps 이상의 높은 맥동빈도를 사용하고 맥동기간은 200 ㎲이상으로 하며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근수축이 일어나도록 매우 강한 강도로 자극한다.
-전기자극 5-15분 이내에 진통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전기자극하는 동안 진통작용 이 지속되어 비교적 진통유발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진통지속시간이 짧다.
-통증을 매우 빠르게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하며 감각신경을 역행자극해야 하므로 통증 부위의 근위부, 통증부위의 주위 또는 통증부위를 가운데 두고 교차 배치하여 치료
4.돌발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burst modulation)
-돌발변조는 대개 7개 정도를 한 묶음으로 만들어 2-4초 간격으로 맥동을 내보내는 변조방법이다.
-맥동기간을 다양하게 선택하고 맥동변조시간도 조절할 수 있다.
-급성통증 및 표면부 통증은 강한 강도로, 만성통증 및 심부통증은 낮은 강도로 자극
-진통유발 및 진통지속시간은 고빈도-저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저빈도-고강도 경피 신경전기자극의 중간수준이다.
통증의 정의
-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 유해한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려고 하는 반응
1) 통증의 전달경로(3단계의 신경원 경로를 거침)
- 일차신경원 : 말초신경에 속하는 지각세포(유해자극) → 척수후각의 세포나 뇌간에 있는 지각 종지핵에 연접
- 이차신경원 : 시상(기시) → 대뇌피질의 체성지각영역(종지)
- 삼차신경원 : 시상의 복측핵(기시) → 중심후회 & 중심방소엽의 내측대뇌피질 체성지각영역
2) 전도속도에 따라 분류
-빠른 통증
Aδ섬유(유수신경섬유)-특히 피부에 분포
직경 2~5㎛ , 전도속도 4~20m/s
핀이나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
날카롭고 화끈하면서 통증 부위가 명확한 국소통
잠재적인 조직손상을 알리는 통증을 전달
-느린 통증
C섬유(무수신경섬유)
직경0.4~1.2㎛ , 전도속도 0.5~2.5m/s
실질적인 조직손상을 알리는 통증을 절달함
주로 둔한 통증
통증 부위가 명확하지 않고 지속적인 견디기 어려운 통증
3) 통증의 기간에 따른 분류
- 급성통증
질병이나 외상에 따른 조직 손상에 대한 생활학적 증상
날카로운 통증
3개월 지속
유해자극이 감소되면 완화
효과적 치료가 되지 않으면 만성통증으로 발전
- 만성통증
질병의 보편적 과정보다 길게 지속된
손상, 회복 후에도 지속됨
무디어 길고 지속적인 통증
경계 부위가 분명하지 않음
정서불안과 우울증 동반
4)통증이론
① 특이성 이론
말초신경계 내에 특정 체계의 통증 수용기와 전도로가 존재한다는 이론
자극되는 수용체의 종류와 그에 따라 나타나는 감각과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고 주장
특정 신경섬유는 어떻게 흥분되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감각을 이끌어 냄
촉각기 : meissner 소체
냉각기 : krause 말단구조
온각기 : ruffini 소체
압각기 : pacinian 소체
통각기 : free nerce ending
※ 문제점: 여러 다른 형태의 자극이 통증으로 인식 지각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없음
②유형설
통증 자극을 전달하는 특정수용기, 신경로 또는 신경원 집단이 없다는 이론
피부 내에 있는 촉각 , 압박, 또는 온도 수용기를 흥분 시키게 하는 자극의 강도와 빈도 또는 유형이 통증 감각에 기여한다고 하였음.
큰 신경섬유로 전달되는 자극은 촉각이고 작은 신경 섬유로 전달되는 자극은 통각
자극의 강도와 빈도가 충분하다면 감각은 통증으로 감지됨
※ 문제점 : 중추신경계 통증조절은 고려하지 않음.
③내재성이론
베타-엔드로핀 : 주로 뇌하수체, 시상하부에 집중됨, 매우 강한 진통 작용
통증유발 초기에는 enkephalin의 작용으로 진정효과
④관문조절설
자극의 패턴과 특별한 개념을 통합하고 통증 정보의 전달과 수정에 관련된 중추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
통각성 임펄스가 고위중추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척수후각에 위치하는 관문조절 체계에 의해 1차적으로 제어를 받는다는 이론
관문조절체계(gate control system)
-구성성 신경원, 척수 후각 내에 신경원의 상호작용, 전달세포 또는 T세포, 고위 뇌중 추에서 하행성 조절
● 치료적 효과
1. 전기적으로 감각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제거 및 조절
2. 약간의 미열효과와 마사지 효과
3. 근경축 완화 효과(근위축 방지 효과 없다.)
● 적응증
1. 통증을 동반하는 근골격계 질환및 손상 관절의 염좌, 활액낭염, 건초염, 동결견,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근막통증증후군, 사경, 회전근개 파열, 근경축
2. 통증을 동
② 양극전도차단 : 반복적 전기자극→전도속도↓→자극역치↑→Aδ, C섬유의 구심성전도 일 시적 차단→진통작용.
③ 피질억제설 : 원격 말초부위의 고강도 자극→광범위유해억제조절(DNIC)활성 감소→통증 소실. 진통작용은 고위중추에서의 serotonin분비와 관련.
④ 엔돌핀설 : β-엔돌핀 증가.
<경피신경전기자극의 유형>
1.고빈도-저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conventional TENS)
-전통적으로 흔히 사용하던 방법
-75-125 pps 또는 80-120 pps의 높은 맥동빈도를 사용하고 맥동기간은 100 ㎲이하 로 낮게 하며 최소 가시수축(mvc)이 유발되지 않는 범위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낮은 강도로 15-45분간 자극한다.
-전기 자극 10-20분 이내에 진통작용이 나타나 자극 후 20-30분 정도 지속되어 비교 적 진통유발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진통지속시간이 짧다.
-급성통증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2.저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acupuncture-like TENS)
- 10-20 pps 이하 대개는 1-4 pps의 낮은 맥동빈도를 사용하며 맥동기간을 높게하고 강한 강도로 자극한다.
-심부통증 및 만성통증을 치료하는데 사용되며 엔돌핀의 분비가 증가하는 것
전기자극 20-30분에 진통작용이 나타나 자극 후 2-6시간 정도 지속되어 비교적 진 통유발이 느리지만 진통지속시간이 길다.
-만성통증을 치료하는데 많이 사용한다.
3.고빈도-고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 (brief intense TENS)
-150 pps 이상의 높은 맥동빈도를 사용하고 맥동기간은 200 ㎲이상으로 하며 견딜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근수축이 일어나도록 매우 강한 강도로 자극한다.
-전기자극 5-15분 이내에 진통작용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전기자극하는 동안 진통작용 이 지속되어 비교적 진통유발이 빠르게 나타나지만 진통지속시간이 짧다.
-통증을 매우 빠르게 제거할 목적으로 사용하며 감각신경을 역행자극해야 하므로 통증 부위의 근위부, 통증부위의 주위 또는 통증부위를 가운데 두고 교차 배치하여 치료
4.돌발 경피신경전기자극치료(burst modulation)
-돌발변조는 대개 7개 정도를 한 묶음으로 만들어 2-4초 간격으로 맥동을 내보내는 변조방법이다.
-맥동기간을 다양하게 선택하고 맥동변조시간도 조절할 수 있다.
-급성통증 및 표면부 통증은 강한 강도로, 만성통증 및 심부통증은 낮은 강도로 자극
-진통유발 및 진통지속시간은 고빈도-저강도 경피신경전기자극과 저빈도-고강도 경피 신경전기자극의 중간수준이다.
통증의 정의
- 실질적인 또는 잠재적인 조직손상과 관련하여 표현되는 감각적이고 정서적인 불유쾌한 경험. 유해한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려고 하는 반응
1) 통증의 전달경로(3단계의 신경원 경로를 거침)
- 일차신경원 : 말초신경에 속하는 지각세포(유해자극) → 척수후각의 세포나 뇌간에 있는 지각 종지핵에 연접
- 이차신경원 : 시상(기시) → 대뇌피질의 체성지각영역(종지)
- 삼차신경원 : 시상의 복측핵(기시) → 중심후회 & 중심방소엽의 내측대뇌피질 체성지각영역
2) 전도속도에 따라 분류
-빠른 통증
Aδ섬유(유수신경섬유)-특히 피부에 분포
직경 2~5㎛ , 전도속도 4~20m/s
핀이나 바늘로 찌르는 듯한 통증
날카롭고 화끈하면서 통증 부위가 명확한 국소통
잠재적인 조직손상을 알리는 통증을 전달
-느린 통증
C섬유(무수신경섬유)
직경0.4~1.2㎛ , 전도속도 0.5~2.5m/s
실질적인 조직손상을 알리는 통증을 절달함
주로 둔한 통증
통증 부위가 명확하지 않고 지속적인 견디기 어려운 통증
3) 통증의 기간에 따른 분류
- 급성통증
질병이나 외상에 따른 조직 손상에 대한 생활학적 증상
날카로운 통증
3개월 지속
유해자극이 감소되면 완화
효과적 치료가 되지 않으면 만성통증으로 발전
- 만성통증
질병의 보편적 과정보다 길게 지속된
손상, 회복 후에도 지속됨
무디어 길고 지속적인 통증
경계 부위가 분명하지 않음
정서불안과 우울증 동반
4)통증이론
① 특이성 이론
말초신경계 내에 특정 체계의 통증 수용기와 전도로가 존재한다는 이론
자극되는 수용체의 종류와 그에 따라 나타나는 감각과는 일정한 관계가 있다고 주장
특정 신경섬유는 어떻게 흥분되는지에 관계없이 항상 동일한 감각을 이끌어 냄
촉각기 : meissner 소체
냉각기 : krause 말단구조
온각기 : ruffini 소체
압각기 : pacinian 소체
통각기 : free nerce ending
※ 문제점: 여러 다른 형태의 자극이 통증으로 인식 지각될 수 있다는 것을 설명할 수 없음
②유형설
통증 자극을 전달하는 특정수용기, 신경로 또는 신경원 집단이 없다는 이론
피부 내에 있는 촉각 , 압박, 또는 온도 수용기를 흥분 시키게 하는 자극의 강도와 빈도 또는 유형이 통증 감각에 기여한다고 하였음.
큰 신경섬유로 전달되는 자극은 촉각이고 작은 신경 섬유로 전달되는 자극은 통각
자극의 강도와 빈도가 충분하다면 감각은 통증으로 감지됨
※ 문제점 : 중추신경계 통증조절은 고려하지 않음.
③내재성이론
베타-엔드로핀 : 주로 뇌하수체, 시상하부에 집중됨, 매우 강한 진통 작용
통증유발 초기에는 enkephalin의 작용으로 진정효과
④관문조절설
자극의 패턴과 특별한 개념을 통합하고 통증 정보의 전달과 수정에 관련된 중추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
통각성 임펄스가 고위중추로 전달되는 과정에서 척수후각에 위치하는 관문조절 체계에 의해 1차적으로 제어를 받는다는 이론
관문조절체계(gate control system)
-구성성 신경원, 척수 후각 내에 신경원의 상호작용, 전달세포 또는 T세포, 고위 뇌중 추에서 하행성 조절
● 치료적 효과
1. 전기적으로 감각신경을 자극하여 통증제거 및 조절
2. 약간의 미열효과와 마사지 효과
3. 근경축 완화 효과(근위축 방지 효과 없다.)
● 적응증
1. 통증을 동반하는 근골격계 질환및 손상 관절의 염좌, 활액낭염, 건초염, 동결견, 퇴행성관절염, 류마티스관절염, 근막통증증후군, 사경, 회전근개 파열, 근경축
2. 통증을 동
추천자료
[물리치료] 연구방법론
심호흡계 물리치료 (Cardiopulmonary Physical Therapy)
피로골절의 물리치료와 재활
[가정]가정에서의 위탁양육, 가정에서의 물리치료, 가정에서의 여가생활, 가족생활주기(Famil...
근골격계 질환[물리치료]
대퇴골절시 물리치료 프로토콜
지역사회 복지를 위한 물리치료사의 역할.
[물리치료학] 정상보행과 편마비보행에 관해
[소아물리치료] 아동의 정상적인 운동발달
물리치료 - 파킨슨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에서 실시하는 치료적 운동방법
[신경계 물리치료 사례연구] 신경계case - 안면마비
[질환별 물리치료] PMD[Progressive Muscular Dystrophy]
[질환별 물리치료] 운동신경원 질환과 감각신경원 질환
[KANUDA] 기능성 물리치료 베개의 블루오션을 개척한 가누다(Kanuda) 브랜드 발표.ppt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