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조류실험레포트(표본만들기 포함)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해조류실험레포트(표본만들기 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p.1

실험목적 및 내용 과정 p.2

서론 p.2

내용 p.3~7

성산 가서 찍은 사진들 p.8

내가 채집한 조류 p.9~15
 →패 p.9
  참도박 p.10
  미역 p.11~12
  잎파래 p.12
  톳 p.13~14
  마디잘록이 p.15

고찰 및 평가 p.16

참고문헌 p.16

본문내용

<톳>
<톳이랑 부챙이말>
내가 채집한 조류들

학 명: Ishige okamurae Yendo
과 명: 패과 Ishigeaceae
목 명: 민가지말목 Chordariales
분 포: 국내 - 남부 해안 각지, 제주도(각 지역 연안)
식물체는 딱딱한 나뭇가지처럼 보이고, 색은 암갈색이며 건조하면 흑색으로 되고 질은 단단하고 대지에 붙지 않는다. 부착기는 작은 반상근이고 짧은 줄기를 가지고 복차상으로 분기
하고 상부는 가는 원주상이며 또는 모가 나고 편원이며 세로로 주름이 있는 수도 있다.크기는 5~10㎝ 쯤 된다.
몸의 구조는 내층은 배게 엉켜진 사상세포로 되었고, 외층은 몸의 표면에 직각하고 열을 지운 소세포로 되었다.
참도박
학 명: Grateloupia elliptica Holmes
과 명: 지누아리과 Halymeniaceae
목 명: 도박목 Halymeniales
분 포: 국내 - 경북, 남해안 , 국외 - 일본
식물체는 하부 뒷면으로 암석에 부착하여 편평한 원형으로 확대되고 후에 엇비슷하게 자란다. 크기는 20~30㎝, 더러는 60㎝ 이상에 달하고 폭은 5~15㎝ 또는 그 이상이다. 몸은 불규칙하게 분열하고 열편의 하부는 마치 줄기처럼 보이는 것도 있다. 때로는 차상 또는 장상으로 분열하거나 불규칙하게 분열하기도 한다. 사분포자낭은 피층 속에 산재하고 낭과는 몸의 표변에 산재한다. 색은 짙은 자홍색이고 질은 두꺼운 혁질이고 강인하다. 건조하면 대지에 불충분하게 붙는다.
미역
학 명: Undaria pinnatifida (Harvey) Suringar
과 명: 미역과 Alariaceae
목 명: 다시다목 Laminariales
분 포: 국내 - 전역
크기 몸길이 1~2m, 폭 50cm
체색 암갈색
산란시기 3~7월
서식장소 저조선 부근 바위
분포지역 한국 전역, 일본 등
기타 별칭 해채(海菜).감곽(甘藿).자채(紫菜).해대(海帶)
한방에서는 미역을 해채, 감곽, 자채, 해대 등으로 부른다.
외형적으로는 뿌리·줄기·잎의 구분이 뚜렷한 엽상체(葉狀體) 식물이다.
식물체의 부착기는 나무의 뿌리모양이며 기부에서 돌려나서 여러 번 두갈래로 갈라지며 다른 물질(돌, 나무)에 붙는다. 줄기는 납작한 원형이며 그 상부는 엽상부의 중륵으로 되고 엽상부는 좌우에 날개처럼 갈라진다. 엽상부의 전체적인 모양은 난원형이나 피침형이고 엽면에는 털이 모여서 난 모과가 있는데 육안으로는 작은 점이 흩어져 있는 것처럼 보인다. 줄기의 양측에 미역귀라고 불리는 주름잡힌 리본모양의 포자엽이 형성되어 있다. 미역은 1년생이고 가을에서 겨울 동안에 자라고 봄에서 여름동안에 유주자를 내어서 번식한다. 유주자를 방출한 후 모체는 유실된다.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하나, 한·난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지역에는 분포하지 않는다. 저조선 부근 바위에 서식하나 남부지방은 더 깊은 곳에, 북부지방에서는 더 얕은 곳에 서식하는 경향이 있다. 겨울에서 봄에 걸쳐서 주로 채취되며 이 시기에 가장 맛이 좋다. 봄에서 여름에 걸쳐 번식한다.
전복·소라의 주요 먹이이며 주로 우리나라, 일본, 중국 등지에서만 식용으로 이용된다. 식이섬유와 칼륨, 칼슘, 요오드 등이 풍부하여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산후조리, 변비.비만 예방, 철분.칼슘 보충에 탁월하여 일찍부터 애용되어 왔다. 고려시대부터 이미 중국에 수출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도경》에서는 \"미역은 귀천이 없이 널리 즐겨 먹고 있다. 그 맛이 짜고 비린내가 나지만 오랫동안 먹으면 그저 먹을만 하다.\"고 나와 있으며 《고려사》에는 \"고려 11대 문종 12년(1058)에 곽전(바닷가의 미역 따는 곳)을 하사하였다.\"는 기록과 \"고려 26대 충선왕 재위 중(1301)에 미역을 원나라 황태후에게 바쳤다.\"는 기록도 있다. 민간에서는 산후선약(産後仙藥)이라 하여 산모가 출산한 후에 바로 미역국을 먹이는데 이를 \'첫국밥\'이라하며 이때 사용하는 미역은 \'해산미역\'이라 하여 넓고 긴 것을 고르며 값을 깎지 않고 사오는 풍습이 있다. 동의보감에선 \"해채는 성질이 차고 맛이 짜며 독이 없다. 효능은 열이 나면서 답답한 것을 없애고 기(氣)가 뭉친 것을 치료하며 오줌을 잘 나가게 한다\"는 기록이 있다. 최근에는 양식기술의 발달로 가공품으로 많이 이용·수출되고 있으며, 국이나 냉국 혹은 무침·볶음·쌈등 다양한 방법으로 식용한다. 다이어트 식품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잎파래
학 명: Enteromorpha linza (Linnaeus) J. Agardh
과 명: 갈파래과 Ulvaceae
목 명: 갈파래목 Ulvales
분 포: 국내 - 각지; 제주도 전 연안
서식장소 조간대 상부의 바위 또는 만(灣) 내의 목공사물
크기 길이 10∼20cm, 나비 0.5∼10cm
간대 상부의 바위 또는 만(灣) 내의 목공사물 등에서 자란다. 식물체는 조그마한 기부에서 여러 개체가 모여서 나고, 길쭉하며 편평한 엽상체를 이룬다. 모양은 피침상, 신장형 또는 선상이다. 단조이고 하부에 더러 조금의 가지를 부출하는 수가 있다. 몸의 하부는 매우 가늘고 가장자리는 주름이 있거나 또는 평탄하다. 보통 길이는 10~20㎝이고, 넓이는 0.5~10㎝이다. 어릴 때는 실모양이고 가운데가 비어 있지만 넓게 된 것은 막의 대부분이 유착해서 막혀 있고 양 가장자리만 유착하지 않고 남아 있다.색은 선록색이며 질은 엷은 막질이다. 11월경에서 5,6월까지 번무한다.은 밝녹색을 띠며 부드럽다. 창자파래 ·납작파래 ·가시파래 등과 함께 나서 식용 ·물김치 또는 말려서 국거리로 이용한다. 한국의 전연안에 분포한다.

학 명: Hizikia fusiformis (Harvey) Okamura
과 명: 모자반과 Sargassaceae
목 명: 모자반목 Fucales
분 포: 국내 - 동해안 주문진 이남, 서해안 장산곳 이남, 서남해안, 제주도 / 국외 - 일본, 동지나해
크기 10∼60cm(제주에서 나는 것은 1m 이상)
체색 갈색
산란시기 5~7월
서식장소 평균 수면에서 저조선 약 30cm 위쪽의 조간대 하부
방언 톳나물, 따시래기,

키워드

  • 가격4,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9.07.28
  • 저작시기2009.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472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