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제목
2. 목적
3. 기구
4. 이론
(1) 기본개념
(2) 종류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토의
2. 목적
3. 기구
4. 이론
(1) 기본개념
(2) 종류
5.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토의
본문내용
.1, 1에 놓고 실험하면 , 영점의 위치는 거의 고정이 될 것이다.
d) 이것을 아래의 식에 넣어 계산한다.
a
R3 = R4
회
a
b
b/a
1
49.1
50.9
1.037
2
49.2
50.8
1.035
3
49.1
50.9
1.037
b
e) 이것을 여러 번 반복한다.
6. 실험결과
회로 구성
a d
671 Ω 693 Ω
b c
a, b, c, d 접촉 저항
a = 0.3
b = 0.1
c = 0.1
d = 0.1
실험 증명
- 아래의 결과를 보면 전위차가 영인 지점에서부터 같은 거리를 떨어져있는 지점의 전위차는 거의 비슷하다.
- mA
거리
mA
-4.1
1 Cm
+4.0
-7.0
2 Cm
+8.0
-8.1
3 Cm
+10.0
-14.0
5 Cm
+16.0
-20
7 Cm
+20.1
7. 토의
- 이번 실험에서 중요한 오차가 나는 이유는 접합 지점의 접촉저항이다. 이 저항값은 작을 때는 0.1 - 0.3 옴 밖에 안되나 클 때는 수십 옴에 이르기도 한다.
- 이러한 접촉저항은 디지털 테스터기로 체크하거나, 시료 저항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수백 킬로옴) 잡아 접촉저항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 주어야만 한다.
d) 이것을 아래의 식에 넣어 계산한다.
a
R3 = R4
회
a
b
b/a
1
49.1
50.9
1.037
2
49.2
50.8
1.035
3
49.1
50.9
1.037
b
e) 이것을 여러 번 반복한다.
6. 실험결과
회로 구성
a d
671 Ω 693 Ω
b c
a, b, c, d 접촉 저항
a = 0.3
b = 0.1
c = 0.1
d = 0.1
실험 증명
- 아래의 결과를 보면 전위차가 영인 지점에서부터 같은 거리를 떨어져있는 지점의 전위차는 거의 비슷하다.
- mA
거리
mA
-4.1
1 Cm
+4.0
-7.0
2 Cm
+8.0
-8.1
3 Cm
+10.0
-14.0
5 Cm
+16.0
-20
7 Cm
+20.1
7. 토의
- 이번 실험에서 중요한 오차가 나는 이유는 접합 지점의 접촉저항이다. 이 저항값은 작을 때는 0.1 - 0.3 옴 밖에 안되나 클 때는 수십 옴에 이르기도 한다.
- 이러한 접촉저항은 디지털 테스터기로 체크하거나, 시료 저항의 크기를 충분히 크게 (수백 킬로옴) 잡아 접촉저항을 상대적으로 작게 만들어 주어야만 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저항의 측정, 직병렬 회로
저항기 색 코드와 저항값 측정
전구연결에 의한 합성저항 측정
[일반물리] 전하의 비저항 측정
전기 비저항탐사 실습결과보고서
전위선측정, Ohm's Law, Wheatstone-bridge에 의한 미지저항 측정 실험 예비&결과 레포트...
[예비] 전기전자실험 저항 - 커패시터 회로의 시정수
[결과] 전기전자실험 저항-커패시터 회로의 시정수
[기초정보공학실험] 멀티미터(Multimeter) 사용법 - 멀티미터의 구동원리를 살펴보고, 멀티미...
[전기기기 및 실험] 전기회로에서 저항의 연결
[자연과학] 미지저항 측정실험 - 일반물리실험 A+
하중저항계수법과 광섬유센서를 이용한 PSC합성형교의 내하력평가.(발표자료).pptx
[도수저항운동 (Manual Resistance Exercise)] 도수저항운동의 정의, 도수저항운동, 기계적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