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通經환
導經환
양음백자환
억음지황환
시호억간탕
자음백보환
만통환
오적환
창사환
중화환
오약탕
당귀산
도인산
정귀환
導經환
양음백자환
억음지황환
시호억간탕
자음백보환
만통환
오적환
창사환
중화환
오약탕
당귀산
도인산
정귀환
본문내용
便赤澁 腹脅脹滿하야 氣急坐臥不得이니라.
상피산은 각기로 감기가 발생하여 양 다리가 부종하고 소변이 적색으로 깔깔해지고, 복부 옆구리가 창만하여 숨이 급하고 앉으나 눕질 못함을 치료한다.
血風疼痛에 芎 人蔘 荊芥穗요.
혈풍 동통에 궁궁, 인삼, 형개수이다.
大芎散
대궁궁산
川芎 一錢 薑黃 枳殼 甘草 各五分 赤茯 赤芍 酸棗仁 桂心 當歸 木香 牛膝 各一分 姜[薑]을 煎熱服이니라.
천궁 4g, 강황, 지각, 감초 각각 2g, 적복령, 적작약, 산조인, 계심, 당귀, 목향, 우슬 각각 0.4g, 생강을 달여 뜨겁게 복용한다.
治血風의 身體 骨節이 疼痛하며 心膈壅滯 不思飮食이니라.
대궁궁산은 혈풍으로 온 몸 골절이 아프며 심장 횡격막이 막혀 정체하여 음식먹을 생각이 없음을 치료한다.
人蔘荊芥散
인삼형개산
人蔘 荊芥 生地 柴胡 鱉甲 酸棗仁 枳殼 羚羊角 白朮 各七分半 桂心 川芎 當歸 防風 甘草 各五分 姜[薑]을 煎熱服이니라.
인삼형개산은 인삼, 형개, 생지황, 시호, 별갑, 산조인, 지각, 영양각, 백출 각각 3g, 계심, 천궁, 당귀, 방풍, 감초 각각 2g과 생강을 달여 뜨겁게 복용한다.
治血風에 體痛 頭昏 目澁 心 煩渴 寒熱 盜汗 頰赤 口乾 痰嗽 胸滿이나 或 月水不調하야 臍腹痛 癖塊硬이나 或 産後瘦弱症이니라.
인삼형개산은 혈풍에 몸이 아프고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깔깔하고, 마음이 두근거리고, 번갈하고, 한열하고, 도한하며, 뺨이 붉고, 입이 마르고, 담 기침하고, 가슴이 그득하나 혹은 월경이 고르지 않고, 배꼽과 복부가 급하게 아프고, 현벽으로 덩어리가 단단하거나 혹은 산후에 마르고 약한 증상을 치료한다.
상피산은 각기로 감기가 발생하여 양 다리가 부종하고 소변이 적색으로 깔깔해지고, 복부 옆구리가 창만하여 숨이 급하고 앉으나 눕질 못함을 치료한다.
血風疼痛에 芎 人蔘 荊芥穗요.
혈풍 동통에 궁궁, 인삼, 형개수이다.
大芎散
대궁궁산
川芎 一錢 薑黃 枳殼 甘草 各五分 赤茯 赤芍 酸棗仁 桂心 當歸 木香 牛膝 各一分 姜[薑]을 煎熱服이니라.
천궁 4g, 강황, 지각, 감초 각각 2g, 적복령, 적작약, 산조인, 계심, 당귀, 목향, 우슬 각각 0.4g, 생강을 달여 뜨겁게 복용한다.
治血風의 身體 骨節이 疼痛하며 心膈壅滯 不思飮食이니라.
대궁궁산은 혈풍으로 온 몸 골절이 아프며 심장 횡격막이 막혀 정체하여 음식먹을 생각이 없음을 치료한다.
人蔘荊芥散
인삼형개산
人蔘 荊芥 生地 柴胡 鱉甲 酸棗仁 枳殼 羚羊角 白朮 各七分半 桂心 川芎 當歸 防風 甘草 各五分 姜[薑]을 煎熱服이니라.
인삼형개산은 인삼, 형개, 생지황, 시호, 별갑, 산조인, 지각, 영양각, 백출 각각 3g, 계심, 천궁, 당귀, 방풍, 감초 각각 2g과 생강을 달여 뜨겁게 복용한다.
治血風에 體痛 頭昏 目澁 心 煩渴 寒熱 盜汗 頰赤 口乾 痰嗽 胸滿이나 或 月水不調하야 臍腹痛 癖塊硬이나 或 産後瘦弱症이니라.
인삼형개산은 혈풍에 몸이 아프고 머리가 어지럽고 눈이 깔깔하고, 마음이 두근거리고, 번갈하고, 한열하고, 도한하며, 뺨이 붉고, 입이 마르고, 담 기침하고, 가슴이 그득하나 혹은 월경이 고르지 않고, 배꼽과 복부가 급하게 아프고, 현벽으로 덩어리가 단단하거나 혹은 산후에 마르고 약한 증상을 치료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