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 국어음운론(國語音韻論, Korean Phonology)
- 음운론 : 특정한 언어의 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언어의 기능성 연구.
인간의 말소리(의사전달에 요구되는 음성기관을 통해 나온 소리)에 국한.
(The system of sounds in a language)
- 음성학 : 음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
(가) speech sound : 언어음, 말소리
(나) sound patterns : 음성모형
a. 음성목록(sound inventories) : 한국어에 유/무성의 대립은 없지만, 된소리와 거센소 리의 대립이 있다. (음성목록이 언어마다 다르기 때문)
b. 음성서열(sound orders) : 한국어 (CVC_강, CV_차), 일어(CV_な),
영어(자/모의 서열이 자유롭다_sprint)
c. 음운법칙(phonological rule)
- 통시적 음운현상 - 단모음화 : aj, uj, oj, uj > , e, , u
사이 > 새, 가히> 가이> 개
- 반치음(ㅿ)의 소실 : 아 > 아우 (충청도에선 ‘아수’라고도 함)
- (통시적)구개음화 :
- 음운론 : 특정한 언어의 음 체계를 연구하는 학문. 언어의 기능성 연구.
인간의 말소리(의사전달에 요구되는 음성기관을 통해 나온 소리)에 국한.
(The system of sounds in a language)
- 음성학 : 음의 실체를 연구하는 학문.
(가) speech sound : 언어음, 말소리
(나) sound patterns : 음성모형
a. 음성목록(sound inventories) : 한국어에 유/무성의 대립은 없지만, 된소리와 거센소 리의 대립이 있다. (음성목록이 언어마다 다르기 때문)
b. 음성서열(sound orders) : 한국어 (CVC_강, CV_차), 일어(CV_な),
영어(자/모의 서열이 자유롭다_sprint)
c. 음운법칙(phonological rule)
- 통시적 음운현상 - 단모음화 : aj, uj, oj, uj > , e, , u
사이 > 새, 가히> 가이> 개
- 반치음(ㅿ)의 소실 : 아 > 아우 (충청도에선 ‘아수’라고도 함)
- (통시적)구개음화 :
추천자료
이란어(페르시아어) 음성학
광복 이후부터 1980년대까지의 국어학
[연계교육] 유치원과 초등학교 국어의 연계 언어발달 비교
2010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0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등고(登高)>의 국어학적 분석
2016년 2학기 국어학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6년 2학기 국어학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한국어음운론_어문 규정에 제시된 10개의 단모음을 모음의 분류 기준에 따라 IPA를 밝혀 제시...
2017년 하계계절시험 국어학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한국어음운론-현대 한국어의 분절음과 비분절음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2017년 2학기 국어학개론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2017년 2학기 국어학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한국어음운론(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