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포스트구조주의란?
◎포스트구조주의자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
◎포스트구조주의의 특징
◎주요이론가
(1) 소쉬르
(2) 레비스트로스
(3) 자크 데리다
(4) 미셸 푸코
(5)자크 라캉
◎포스트구조주의자
◎포스트구조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의 관계
◎포스트구조주의의 특징
◎주요이론가
(1) 소쉬르
(2) 레비스트로스
(3) 자크 데리다
(4) 미셸 푸코
(5)자크 라캉
본문내용
문화적 체계의 미리 정해져 있는 질서에 따라 욕망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무의식이란 원본을 상실하고 언어를 통해서 간접적인 매개만이 존재하는 욕망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아이는 언어의 체계, 기표의 체계, 즉 상징계에 진입하는 결과로 현실계와 상상계에서 가지던 욕구를 잃어버리게 된다. 그리고 이에 따른 결여감, 상실감의 자리가 욕망이 위치하는 곳이다.
추천자료
영화싸이코와심리비평
장미의 이름과 포스트모더니즘
디바감상문 - 포스트모더니즘과 누벨이마쥬를 중심으로
료타르와 포스트 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대중예술과 고급예술의 조화
자크 라깡의 거울 단계
[페미니즘][페미니즘 이론]페미니즘의 정의와 페미니즘 이론 분석 고찰(마르크스주의 페미니...
뤼스 이리가라이의 이론을 통해 살펴본 루이스 부르주아 작품의 고찰
21세기와 글로벌문화 - 후기구조주의를 넘어서
[감상문] 장미의 이름과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던 도시론의 정식화와 한계, 모던 도시이론 대 포스트모던 도시론
포스트모던 전망으로서 도시-포스트모던 공간론
환상과 리얼리티 [대서사의 귀환과 포스트모던 리얼리즘]
[가족상담 및 치료] 가족치료의 이론적 기초 - 가족치료와 개인치료의 차이, 초기 가족의 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