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안록산과 양귀비, 그리고 현종
2. 안사의 난의 원인 및 그 사회적 배경
3. 안사의 난의 전개과정
4. 안사의 난의 사회, 경제적 영향
5. 안사의 난이 혁명이 되지못한 이유
2. 안사의 난의 원인 및 그 사회적 배경
3. 안사의 난의 전개과정
4. 안사의 난의 사회, 경제적 영향
5. 안사의 난이 혁명이 되지못한 이유
본문내용
난 이후에 더욱 두드러졌다. 장기간의 전란은 농민의 부역 부담을 전례없이 가중시켰을 뿐 아니라 정부의 ‘백역병작’과 명목이 번잡한 가렴 징수로 민호의 소멸과 생산의 황폐라는 상황을 조성하였다. 토지 관계의 극렬한 변화는 호등인정으로 부세를 징수하던 조용조제를 다시 유지할 수 없게 하였다. 세수입의 내원을 확보하고 각 계층의 백성이 비교적 합리적으로 부세를 부담케 하기 위하여 780년 양세법이 반포되었다.
양세법은 호세와 지세를 세수입의 주요 내용으로 하여 여름과 가을 양 시기로 나누어 징수하는 일종의 신세법이었다. 지출할 경비에 따라 세입을 정하고 징세 대상을 확정하여 일률적으로 토지와 재산의 다소에 따라 납세의 등급을 확정했다. 양세법의 시행은 역사상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조용조와 각종의 가연잡세를 합병하여 일종의 간편한 통일세제를 확립함으로써, 조정은 세정의 대권을 장악할 수 있었고 관리들은 마음대로 가렴주구를 행할 수 없게 되어 국가 부세 수입의 상대적 안정을 가져왔고 생산의 회복과 발전에도 유리하였다. 재산과 토지로서 호등을 확정하여 세를 거두었으므로 자산이 적으면 세금이 적고 자산이 많으면 세금도 많았다. 조용조제의 “정부(丁夫)로 근본을 삼는” 것이 아니라 “자산으로 주종을 삼게”되었다. 납세의 다소와 인정의 다소는 이미 직접 관계치 않게 되었는데 이것은 봉건세제 발전 과정 중 하나의 새로운 형태이고 국가의 농민에 대한 인신적 지배의 약화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양세법의 시행은 당 후기 대지주 토지소유제와 상품 경제의 발전을 반영하였다.
5. 안사의 난이 혁명이 되지 못한 이유
당대의 전성 시기가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된 것은 안사의 난 때문이었다. 이 큰 난은 비록 평정되었지만 그것이 당 제국에 준 상처는 깊고 심각하였다. 또 그것은 직접간접으로 약간의 곤란한 응어리를 남겨 놓아 당으로 하여금 이를 해결하지 못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을 쇠망하도록 촉진시켰고,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당 이후 수백 년 동안의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그렇다면 안사의 난은 왜 혁명이 아니라 단순한 반란으로 그쳐야 했는가? 안사의 난이 실패로 돌아간 것은 안록산 그 자신의 잘못이 컸다고 생각한다. 즉 그는 새 왕조를 세울만한 역량이 부족했던 것이다. 먼저 그는 수신제가를 하지 못했다. 어찌 아들이 아버지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할 수 있겠는가! 이것은 천륜에 어긋나는 일이다. 새로운 왕조가 들어서기 위해서는 새로운 질서와 도덕의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미 그 내부에 골육상잔의 비극이 있었으니 새로운 도덕 확립이란 의미없는 이상에 불과한 것이다.
둘째로 그는 자신의 부하들을 제대로 규율하지 못하였다. 반란군의 약탈과 방화가 심했다는 것은 이미 민심을 얻기를 포기했다는 것과 동일하다. 군사의 힘만으로 한 나라를 세울 수는 없다. 반드시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야만 한다. 그러나 안록산은 그것까진 신경을 쓰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하여 안사의 난은 단순한 반란으로 그친 것은 물론 당의 멸망을 가속화시켰다는 오명을 안은 채 역사 속에 남게 되었다.
양세법은 호세와 지세를 세수입의 주요 내용으로 하여 여름과 가을 양 시기로 나누어 징수하는 일종의 신세법이었다. 지출할 경비에 따라 세입을 정하고 징세 대상을 확정하여 일률적으로 토지와 재산의 다소에 따라 납세의 등급을 확정했다. 양세법의 시행은 역사상 중요한 의의를 갖고 있다. 조용조와 각종의 가연잡세를 합병하여 일종의 간편한 통일세제를 확립함으로써, 조정은 세정의 대권을 장악할 수 있었고 관리들은 마음대로 가렴주구를 행할 수 없게 되어 국가 부세 수입의 상대적 안정을 가져왔고 생산의 회복과 발전에도 유리하였다. 재산과 토지로서 호등을 확정하여 세를 거두었으므로 자산이 적으면 세금이 적고 자산이 많으면 세금도 많았다. 조용조제의 “정부(丁夫)로 근본을 삼는” 것이 아니라 “자산으로 주종을 삼게”되었다. 납세의 다소와 인정의 다소는 이미 직접 관계치 않게 되었는데 이것은 봉건세제 발전 과정 중 하나의 새로운 형태이고 국가의 농민에 대한 인신적 지배의 약화를 의미하는 것이었다. 양세법의 시행은 당 후기 대지주 토지소유제와 상품 경제의 발전을 반영하였다.
5. 안사의 난이 혁명이 되지 못한 이유
당대의 전성 시기가 쇠퇴의 길로 접어들게 된 것은 안사의 난 때문이었다. 이 큰 난은 비록 평정되었지만 그것이 당 제국에 준 상처는 깊고 심각하였다. 또 그것은 직접간접으로 약간의 곤란한 응어리를 남겨 놓아 당으로 하여금 이를 해결하지 못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당을 쇠망하도록 촉진시켰고, 어떤 부분에 있어서는 당 이후 수백 년 동안의 정치에 영향을 주었다. 그렇다면 안사의 난은 왜 혁명이 아니라 단순한 반란으로 그쳐야 했는가? 안사의 난이 실패로 돌아간 것은 안록산 그 자신의 잘못이 컸다고 생각한다. 즉 그는 새 왕조를 세울만한 역량이 부족했던 것이다. 먼저 그는 수신제가를 하지 못했다. 어찌 아들이 아버지를 죽이고 왕위를 찬탈할 수 있겠는가! 이것은 천륜에 어긋나는 일이다. 새로운 왕조가 들어서기 위해서는 새로운 질서와 도덕의 수립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미 그 내부에 골육상잔의 비극이 있었으니 새로운 도덕 확립이란 의미없는 이상에 불과한 것이다.
둘째로 그는 자신의 부하들을 제대로 규율하지 못하였다. 반란군의 약탈과 방화가 심했다는 것은 이미 민심을 얻기를 포기했다는 것과 동일하다. 군사의 힘만으로 한 나라를 세울 수는 없다. 반드시 백성들의 지지를 얻어야만 한다. 그러나 안록산은 그것까진 신경을 쓰지 못했다. 이런 이유로 하여 안사의 난은 단순한 반란으로 그친 것은 물론 당의 멸망을 가속화시켰다는 오명을 안은 채 역사 속에 남게 되었다.
추천자료
벤처 진화의 법칙을 읽고 난 후
I am Sam을 보고 난 후
네 손가락의 피아니스트를 읽고 난 후 독후감
피터 드러커의 뉴 소사이어티를 읽고난 느낌과 감상
앨빈 토플러의 부의 미래를 읽고난 느낌과 감상
다보스 리포트 힘의 이동을 읽고난 느낌과 감상
마시멜로 두 번째 이야기를 읽고난 느낌과 감상
세종문화회관 베니스 비엔날레 전시회를 보고 난 후 감상문
무릎팍도사 안철수 편을 보고 난 소감문
벼랑끝에 서는 용기를 읽고 난 후의 독후감-로렌커닝햄
일을 했으면 성과를 내라를 읽고난 감상-변하지 않는 성과창출의 패러다임
[외식 경영 사업계획서] 대박난 프렌차이즈 본죽 사업계획서 외식 경영 사업계획서[A+ 추천 ...
[청소년 복지][난 청소년이라서 괜찮아]
『인터넷 거미줄에 걸린사람들』 읽고난후 _ 박한우 저 [독후감]
소개글